카이로스와 크로노스


    아주 오래전 시계는 고가품의 하나로 시계를 차는 사람은 부유한 계층의 사람임을 보여주는 표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요즈음은 누구나 시계를 차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가 하루에 몇번이나 시간을 볼까 생각해보면 그리 많은 횟수는 아닌 것 같다. 그만큼 우리는 시간을 의식하지 않고 살고 있다는 것이다.

    헬라어에는 시간(때)을 두가지로 표현한다, '크로노스’(chronos)와 ‘카이로스’(kairos)가 그것이다.‘크로노스’는 단순히 흘러가는 시간이요 일련의 불연속적인 우연한 사건을 뜻하고 ‘카이로스’는 때가 꽉 찬 시간으로 구체적인 사건의 순간, 감정을 느끼는 순간, 구원의 기쁨을 누리는 의미있는 순간이다. 카이로스는 자신의 존재의미를 느끼는 절대적인 시간이다.

    성경 속 969세를 산 므두셀라의 시간이 크로노스였다면 33년의 짧은 생애동안 위대한 삶을 산 예수 그리스도의 시간은 카이로스였다고 할 수 있다.

    임신부가 임신한 후 열달동안 아이를 복중에 간직하고 있다가 아이를 낳았다고 할 때 그 열 달은 흘러가는 시간으로서의 ‘크로노스’이고 해산의 고통을 경험하면서 아이를 잉태하는 바로 그 순간,즉 산모의 생명에 대한 기쁨과 다 이루었다는 안도의 평온함을 갖는 순간이 곧 ‘카이로스’이다.

    얼마전 대선을 위한 후보문제가 화두가 되엇던 때가 있었다. 야당이든 여당이든 오랜 시간을 지내오면서 저마다 자기들의 업적을 주장하고 자기들이 집권해야 나라가 잘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그들은 자기들에게 주어진 시간을 정당하게 사용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즉 크로노스의 시간만을 보냈다는 것이다.

    역사는 카이로스의 시간을 살아가는 자에게 의미가 있다. 그때 그 시절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는 교과서에서 다 알 수 있다. 그것은 크로노스적 시간이해이다. 카이로스의 시간속에 사는 사람은 비록 ‘그 때 그 일’을 경험하지 못하였다하여도‘살아있는 정신’을 가진 사람이다.

    철새처럼 이리저리 양지를 좇아가는 사람은 카이로스의 시간을 모른다. 그들은 카이로스적인 살아있는 정신들이 소멸되고 크로노스적인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부정과 불의, 투쟁과 타협, 전쟁과 싸움, 가난과 억압 등의 수많은 사건들을 경험한다. 크로노스의 시간을 사는 사람은 역사가 자신을 어떻게 판단할 지에 관심이 없다. 오직 현재만이 중요할 뿐이다. 그러나 카이로스의 시간을 사는 사람은 끊임없이 자신을 반추하며 사는 사람이다.

    크로노스는 영어의 chronology와 관련되는 것으로 연대기란 뜻이다. 순차적인 역사를 말한다. 고려시대, 조선왕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분단시대, 이렇게 연대기적으로 역사를 기록하고 이해하는 관점을 chronology라고 한다. 이 관점에서 보면 오늘은 21세기 초반이다. 그런데 그리스도인이 이해하는 카이로스 역사관은 질적으로 다르다. 카이로스는 하나님과의 관계성 안에 있는 시간이다. 그것은 또한 더불어 사는 삶의 연대성 안에 있는 시간이다. 따라서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말씀은 카이로스의 시간을 살아가야 함을 지시한다고 하겠다.

    크로노스의 시간은 끝이 없다. 그러나 카이로스의 시간에는 그 마지막이 있다. 즉 하나님의 정하신 때가 있다는 말이다. 그 때를 일컬어 파루시아라고 한다.

    파루시아라는 단어는 헬라어 Para와 ousia가 결합된 말로서, Para는 "along side" 즉 '나란히' 라는 뜻이고 ousia는 "substance" 즉 '본질 혹은 실재'란 뜻이다. 이 두 단어를 결합한 뜻은 '본질과 나란히 온다'라는 뜻이다. 즉, 파루시아는 "실재로서 오시는 예수"의 재림을 의미한다. 예수께서는 우리가 예수의 영적 임재를 믿는 것처럼 그 날에 몸으로(bodily) 혹은 육체적으로(physical) 다시 오실 것이다. 이것은 실재적 사건이다. 우리 모두가 실제로 체험하게 될 재림을 의미하는 이 종말론적 단어는 예수께서 종말에 심판의 주로 다시 오신다는 것을 강하게 암시한다.

    그리스도인은 누구나 파루시아의 도래 앞에 놓여있다. 아무도 그날의 심판 앞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파루시아는 하나님의 전적인 주권 안에서 우리를 향해 내려오기 때문이다. 초대 교회는 언제나 임박한 파루시아에 대한 기대로 충만해 있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짐승의 이빨 앞에서도, 불타는 기둥에 묶여 죽어가면서도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다. 그들은 인간의 시간으로 잴 수 없는 파루시아의 때가 다가오고 있음을 보았다. 그러나 그것은 시간적인 개념만은 아니었다. "심판의 주"로 오시는 예수를 바라보았기에 세상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세상에서 얻는 즐거움을 과감히 벗어 던지고 무소유의 삶을 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루터의 유명한 말 중에 꼬람 데오(Coram Deo)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하나님 앞에서"라는 뜻이다. 그리스도인은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사람"이다. 결코 "사람 앞에 서 있는 이"가 아니다. 하나님 앞에 서 있는 그리스도인은 오늘을 종말처럼 산다. 날마다 순간마다 파루시아를 느끼며 살기에 결코 주어진 시간을 탕진하거나 삶을 포기하지 않는다. 그 어떤 질곡에서도 파루시아에 대한 대망은 그를 "하나님 앞에 선 인간"으로 다잡아 놓으며,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다시 일어나게 한다. 여기에 그리스도인의 진정한 소망이 있다.

    바울은 예수의 재림이 없으면 우리의 믿음이 헛되다고 말한 바 있다. 파루시아는 실재할 것이기에, 파루시아를 기다리는 우리 믿음의 길과 기다림이 세상의 눈으로는 미련하게 보인다할지라도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삶을 책임있게 살아가도록 하는 능력(power)이 되며 가장 지혜로운 선택이 되는 것이다.

    카이로스의 시간이 끝나는 지점 즉 파루시아의 때를 알고 있는 사람은 크로노스의 시간을 카이로스의 시간으로 변화시킨다. 우리는 크로노스의 시간에 살지만 동시에 카이로스의 시간 안에 있다. 누구나 크로노스의 시간을 살지만 카이로스의 시간을 사는 사람에게는 역사와 하나님 앞에서의 책임을 감당해야 할 자기 몫의 시간이 있다. 그리스도인은 그 시간을 만들어 가는 사람이다.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주님의교회(http://lord.kehc.org) 목사 박찬희



Chronos and Kairos

Fr. Patrick Reardon

Whereas English has only one word for time, other European languages more carefully distinguish between time as instance ("How many times?") and time as sequence ("How much time?").

The ancient Greeks, who thought a great deal about time (among many subjects), also had two different words that we English-speakers are forced to translate with the single word "time." Since there is a very profound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words, and because time is an important theological subject in the New Testament (itself written in Greek), it is useful to examine this difference.

The first Greek term is chronos, meaning time on the move, time as before and after, time as the future passing through the present and so becoming the past. From this Greek word chronos we derive such English terms as chronic, chronicle, and chronology. Thus, we call an illness chronic if it lasts a long time. A chronicle is an account of events through a sequence of time. Chronology is the itemized, studied measurement of time.

Indeed, measurement is one of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chronos, which is a quantitative concept. Time that cannot be measured is not chronos. Time in this sense is dimensional, quantifiable; it can be "accounted for."

It is very important, moreover, to measure chronos in order to give it identifiable shape, to gain imaginative and rational control over it, because chronos is otherwise wild and destructive. The Greeks believed it ate its children. Chronos, you see, is sort of crazy. It is not only dimensional; it readily becomes demented.

Indeed, time does not truly exist in the way that other familiar things exist. I cannot hear it. It has no fragrance. I can't point to it and say, "Aha, there it is. Don't let it get away!" Time in a sense is terribly close to non-existence. After all, chronos deals with the past and future, neither of which has real existence.

No wonder, then, that chronos is so difficult to measure. I mean, how do we enclose time and say, "hey, stand still, you, so we can size you up." The only way to measure time, in fact, is by some arbitrary reference to space, and we normally use spatial prepositions with respect to it, such as the earth's journey around the sun, or the shadow's daily progression across a sundial, and the cockcrow through the night.

Now chronos, because it is made up of some things that don't exist anymore and other things that don't yet exist, is a true image of non-existence, a veritable icon of death. In fact, only dead time can be measured. Moreover, chronos is, in this respect, rather ghoulish. Even dead, it continues to feed on us. We may speak of "killing time," but it invariably ends up killing us. Chronos is, therefore, an image of everlasting death, what the Bible calls the "bottomless pit," or hell. What is hell but the reign of death in ongoing, unending sequence?

In addition to chronos, however, the Greeks also spoke of time as a moment, time as occasion, time as qualitative rather than quantitative, time as significant rather than dimensional. This second word for time is kairos.

Strictly speaking, we don't measure kairos. We don't ask someone, for example, "How much Christmas did you have?" We inquire, rather, "what sort of Christmas did you have?" With kairos we employ the category of qualis, not quantum.

The reason that time in the sense of kairos cannot be measured is because it is always a now. A now is obviously indivisible; an instant is, so to speak, too brief to account for. By the time you stop to measure a now, it is already gone. Now is punctuated by a swift, indecipherable passage from this to that. Furthermore, if now cannot be measured, it can also not be counted. It is futile, for example, and probably a threat to sanity, to ask how many nows there are in an hour.

Unlike the past and the future, nonetheless, the now really exists. Indeed, now is the only time that does exist. In the strictest sense, "there's no time like now."

Kairos, because it is present, is an icon of eternal life. To experience the now, after all, one must be alive. The dead know nothing of now. Therefore, the now, the kairos, is an icon of the life of heaven. Indeed, eternal life is an everlasting now, in which there is no sequence, no before and after.

Eternity is not a long time. Strictly speaking, there is simply no length to it. Nothing elapses. The infinite is not measurable. Thus, "when we've been there ten thousand years/ bright shining as the sun/ we've no less days to sing God's praise/ than when we've first begun."

Here on earth, kairos is time as significant and decisive. This is the time of which St. Paul speaks in 2 Corinthians 6:1--"In a favorable time (kairo dekto) I heard you, and in a day of salvation I have helped you. Behold, now is the most favorable time (nun kairos euprósdektos); behold, now (nun) is the day of salvation." The only time we can ever really seize is the now. Now is the present instant, the marked pulsing of the heart, the moment to lay hold on eternity.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