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영어학습법) "학습하지 말고 체득하라" /외대통번역대학원 최정화 교수
[영어공부방법]/종합 학습법
2011. 11. 15. 22:25
|
"학습하지 말고 체득하라"
늘 ‘한국인 최초’ ‘동양인 최초’의 기록을 세워온 최정화 교수는 요즘도 새벽 4시면 일어나 신문과 방송을 훑고 공부한다. 자신의 지명도가 오히려 긴장감을 부르는 선순환을 낳고 있다는 얘기다. -김미옥 기자
최정화(崔楨禾·49) 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교수에게는 늘 ‘최초’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1981년 한국인 최초의 국제회의 통역사 자격증 획득, 86년 동양인 최초의 통역번역학 박사학위 취득, 92년 한국인 최초의 프랑스 교육훈장 기사상, 2000년 동양인 최초의 다니카 셀레스코비치상 수상, 2003년 한국 여성 최초의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서훈 등….
그중에서도 최 교수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것은 다니카 셀레스코비치상이다. 이는 91년 세계 통역계가 통역번역학의 선구자인 다니카 셀레스코비치 전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ESIT) 원장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상으로, 2년마다 뛰어난 업적을 남긴 국제회의 통역사나 통역번역학 부문에서 독창적인 연구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주어진다.
최 교수는 자신의 은사이기도 한 ‘셀레스코비치’의 이름으로 주어지는 이 상의 3번째 수상자. 지금까지 4차례 수여된 이 상의 수상자들은 최 교수 외에는 모두 60세 이상의 원로다.
13일 오후 서울 송파구의 올림픽공원이 내려다보이는 최 교수의 개인사무실. 2주간의 동남아 여행을 마치고 12일 귀국했다가 17일 다시 파리로 떠나기 전에 짬을 냈다. 자신의 베스트셀러 제목 ‘외국어를 알면 세계가 좁다’ 그대로 세계를 누비는 생활이다.
그러나 화려해 보이기만 하는 통역의 세계도 입 한번 잘못 뻥긋하면 모든 것이 무너지는 치열한 전쟁터다. 그래서 통역에서는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30분 통역하려면 사흘은 공부해야 합니다. 제 경우엔 더더욱 실수란 있을 수 없죠. 이런 긴장감이 악순환이 아닌 선순환을 낳는 듯합니다.”
최 교수는 어쩌다 통역이란 흔치않은 길로 들어섰을까. 대답은 ‘새옹지마’다.
“경기여고 수석졸업생이 서울대 입시에서 떨어졌습니다. 처음엔 낙심도 컸지만, 최선을 다한 결과니 받아들여야 한다고 자신을 다독였습니다. 그리고 후기대이던 한국외국어대 불어과에 입학했지요.”
삶의 결정적인 순간마다 그가 택하는 기준은 ‘즐거우냐 아니냐’, 다시 말해 ‘내가 원하는 것이냐 아니냐’다. “저로서는 한국외국어대의 커리큘럼과 학업환경이 굉장히 마음에 들었어요. 그때 결정을 아주 잘한 거죠. 그렇지 않았으면 4년 내내 프랑스어를 개인지도해 준 마리 블랑슈 교수를 만날 수 없었을 거고 파리 통역대학원으로 유학할 생각도 못했을 테니까요.”
‘개교 이래 최고의 점수’로 한국외국어대를 졸업하고 “시집 못 간다”며 결사반대하는 어머니를 설득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프랑스 유학길에 올랐다.
초등학교 입학 이래 1등을 놓치지 않던 그는, 파리에서 자존심이 무너지는 경험을 많이 했다. ESIT에 입학해 처음 치른 시험에서는 20점 만점에 2점을 받고 ‘통역사 불가능’ 판정을 받았다. 그런 그가 3년 뒤 동양인 최초의 국제회의 통역사가 되고 ESIT에서 6년간 교편을 잡은 일을 두고 ESIT 교수들은 지금도 ‘불가사의’의 하나로 소개한단다.
“통학시간을 아끼려고 학교 앞에 자취방을 얻어 죽어라 공부만 했습니다. 에펠탑이나 베르사유 궁전은 그림의 떡이었죠. 매일 영어와 프랑스어로 된 신문을 읽고 방송을 듣고 잠자고 다시 일어나 신문을 보는 일의 반복이었죠. 시험이 임박해선 꿈마저 영어 프랑스어 한국어가 총동원된 스테레오 악몽을 꿨습니다.”
최 교수는 그때의 3년을 ‘두 번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암흑기’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뒤 그가 워낙 ‘잘나가다’ 보니 당하는 질시나 음해도 적지 않았다.
“파리에 있을 때 정상회담 통역에 모교 강의까지 맡게 되니 온갖 험담이 들려 왔습니다. 다 그만두려고 셀레스코비치 교수를 만났더니 ‘그게 인간의 속성이다. 절대 대응하지 말고 네 길을 가라. 난 너를 믿는다’고 하더군요. 그 뒤 남의 뒷얘기에 담담할 수 있게 됐어요.”
그의 하루는 새벽 4시에 시작된다. 영자지를 포함해 조간 4개를 훑어보고 7시부터는 CNN 등의 TV뉴스를 본다. 8시부터는 개인사무실로 출근해 종일 ‘근무’한다. ‘지천명(知天命)’을 바라보는 나이지만 출퇴근 때 회화테이프를 듣고, 외국어로 할 일 정리하고, 모르는 단어는 그때그때 사전을 찾는 등 외국어 실력을 갈고닦는 노력은 학생 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95년 결혼한 동갑내기 프랑스인 남편과는 격주말 부부 생활을 한다. “인도네시아 인터콘티넨털 호텔 총지배인으로 혼자 지내는 남편에게 미안한 생각이 들 때면 ‘다 집어치우고 그곳으로 가랴’고 묻지요. 그러면 남편은 딱 잘라 안 된다고 합니다. ‘당신이 행복해야 내가 행복하다. 일을 그만두면 당신은 곧 못 견뎌 할 거다. 그러면 내가 어떻게 행복하겠냐’는 얘기죠.”
통역만으로는 성에 차지 않는다. 지금까지 써 낸 책이 19권, 외부 강연도 연 70회 정도 한다. 155cm 작은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특별하다. 기업체에서는 “최 교수 강연을 듣고 나면 한 달 이상 생산성이 오른다”고 말한단다.
지난해 6월엔 각국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한국을 제대로 알리겠다는 취지로 ‘한국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연구원’을 설립해 이사장을 맡았다. “서구인들은 한국에 대해 기껏해야 ‘붉은 악마’의 정열, 시위 때의 과격 투쟁 등의 인상을 갖는 정도지요. ‘전통’과 ‘휴대전화 강국’ 등 긍정적인 한국 이미지를 많이 만들어 전파해야 합니다.”
그는 한국인은 아는 것은 많지만 수행 능력이 부족해 그걸 써먹지 못한다고 평한다. “머릿속에 금과옥조가 들어 있어도 상대방 눈높이에 맞춰 끄집어내 전달하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는데, 그런 ‘수행 능력’은 훈련을 통해 키워집니다. 한국인 대부분은 그런 훈련이 부족하죠.”
그는 교육 쪽으로도 관심을 넓히고 있다. 올해 안에 초등학생과 함께 외국어 공부에 대한 책을 써 낼 예정이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우리는 누구인가’ 심포지엄도 열 계획이다.
후진 양성도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 마침 15일에는 국내 최초의 국제 통역번역학 박사학위 논문이 자신의 지도 아래 심사를 통과했다며 자랑한다.
통역은 60세까지만 할 작정이다. “왜냐고요? 65세가 돼 트렁크 들고 외국여행 하려면 힘들 것 같아서요.”
서영아기자 sya@donga.com
▼崔교수의 '외국어 공부법' ▼
‘학습하지 말고 체득하라.’
최정화 교수는 어떻게 하면 외국어 공부를 잘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외국어는 얼마나 꾸준히 집중적으로 반복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어찌 보면 싱겁기 짝이 없는 말이죠. 어느 외국어건 하루 13∼15시간씩 6개월에서 1년만 지속적으로 들으면 누구나 귀가 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걸 안 하고 평생 고민을 안고 살아가지요.”
모든 외국어 공부는 양(量)이 쌓여야 한다. 끊임없이 자신을 외국어에 노출시켜야 한다는 것. 그런 전제 아래, 최 교수는 ‘몸통 찾기’와 ‘깃털 찾기’, ‘부닥쳐 배우기’ 등 세 갈래로 나눈 외국어 학습법을 제시한다. 이는 파리 통역번역대학원 카를라 드장 교수에게서 전수받은 것.
‘몸통 찾기’는 사전 없이 통으로 읽어 내려가며 전체적인 뜻을 파악하고 글의 맥락과 표현방식에 익숙해지는 방법이다. 들리건 안 들리건 늘 테이프나 방송 등을 틀어 놓아 귓전에서 외국어가 맴돌게 하는 것도 그중 한 방법.
‘깃털 찾기’는 양보다 질을 강조한다. 신문 기사나 책에서 열 줄 정도를 암기하거나 10분 정도 라디오를 주의 깊게 청취하는 방법이다. 새로운 단어나 숙어 문장 표현법 등을 하나하나 정리하면서 완전히 자기 것으로 소화해 버린다.
‘부닥쳐 배우기’는 외국인과 실제 부닥쳐 깨지는 훈련이다. 말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인데 한국인들은 혼자서만 공부하다 막상 실전에서는 입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게 그의 지적.
최 교수에 따르면 언어는 매일 조금씩 나아지는 게 아니라, 계단식으로 발전한다. 어느 순간 한 단계 올라가고, 어느 순간 ‘귀가 트이는’ 식이다.
“단계를 뛰어넘는 게 중요합니다. 수영하다가 물에 뜨는 단계까지 가 본 사람은 몇 십 년 뒤에도 물에 뜨지만, 그 단계까지 가보지 못한 사람은 영영 못하는 것과 같은 이치죠.”
또 하나, 외국어 실력은 한국어 실력에 연동된다. 외국어 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실력을 갈고 닦아야 한다는 얘기다.
▼최정화 교수는 ▼
▽1955년 서울 생 ▽1973년 경기여고 졸 ▽1978년 한국외국어대 불어학과 졸
▽1981년 프랑스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 석사(국제통역사)
▽1986년 프랑스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 박사
▽1981∼87년 프랑스 외무부 한국어 통역관
▽1982∼87년 프랑스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 전임강사
▽1988∼현재 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현재 국제통역사, 프랑스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 국제통역사시험 심사위원, 아시아 유럽정상회의 자문위원, 국제회의 통역학회 회장, 한국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연구원 이사장 등
▽‘통역입문’(1988), ‘외국어를 알면 세계가 좁다’(1995) ‘국제회의 통역사 되는 길’(1999) ‘외 국어, 나도 잘 할 수 있다’(2000) 등 저서 19권
서영아 기자
최정화(崔楨禾·49) 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교수에게는 늘 ‘최초’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1981년 한국인 최초의 국제회의 통역사 자격증 획득, 86년 동양인 최초의 통역번역학 박사학위 취득, 92년 한국인 최초의 프랑스 교육훈장 기사상, 2000년 동양인 최초의 다니카 셀레스코비치상 수상, 2003년 한국 여성 최초의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서훈 등….
그중에서도 최 교수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것은 다니카 셀레스코비치상이다. 이는 91년 세계 통역계가 통역번역학의 선구자인 다니카 셀레스코비치 전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ESIT) 원장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상으로, 2년마다 뛰어난 업적을 남긴 국제회의 통역사나 통역번역학 부문에서 독창적인 연구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주어진다.
최 교수는 자신의 은사이기도 한 ‘셀레스코비치’의 이름으로 주어지는 이 상의 3번째 수상자. 지금까지 4차례 수여된 이 상의 수상자들은 최 교수 외에는 모두 60세 이상의 원로다.
13일 오후 서울 송파구의 올림픽공원이 내려다보이는 최 교수의 개인사무실. 2주간의 동남아 여행을 마치고 12일 귀국했다가 17일 다시 파리로 떠나기 전에 짬을 냈다. 자신의 베스트셀러 제목 ‘외국어를 알면 세계가 좁다’ 그대로 세계를 누비는 생활이다.
그러나 화려해 보이기만 하는 통역의 세계도 입 한번 잘못 뻥긋하면 모든 것이 무너지는 치열한 전쟁터다. 그래서 통역에서는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30분 통역하려면 사흘은 공부해야 합니다. 제 경우엔 더더욱 실수란 있을 수 없죠. 이런 긴장감이 악순환이 아닌 선순환을 낳는 듯합니다.”
최 교수는 어쩌다 통역이란 흔치않은 길로 들어섰을까. 대답은 ‘새옹지마’다.
“경기여고 수석졸업생이 서울대 입시에서 떨어졌습니다. 처음엔 낙심도 컸지만, 최선을 다한 결과니 받아들여야 한다고 자신을 다독였습니다. 그리고 후기대이던 한국외국어대 불어과에 입학했지요.”
삶의 결정적인 순간마다 그가 택하는 기준은 ‘즐거우냐 아니냐’, 다시 말해 ‘내가 원하는 것이냐 아니냐’다. “저로서는 한국외국어대의 커리큘럼과 학업환경이 굉장히 마음에 들었어요. 그때 결정을 아주 잘한 거죠. 그렇지 않았으면 4년 내내 프랑스어를 개인지도해 준 마리 블랑슈 교수를 만날 수 없었을 거고 파리 통역대학원으로 유학할 생각도 못했을 테니까요.”
‘개교 이래 최고의 점수’로 한국외국어대를 졸업하고 “시집 못 간다”며 결사반대하는 어머니를 설득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프랑스 유학길에 올랐다.
초등학교 입학 이래 1등을 놓치지 않던 그는, 파리에서 자존심이 무너지는 경험을 많이 했다. ESIT에 입학해 처음 치른 시험에서는 20점 만점에 2점을 받고 ‘통역사 불가능’ 판정을 받았다. 그런 그가 3년 뒤 동양인 최초의 국제회의 통역사가 되고 ESIT에서 6년간 교편을 잡은 일을 두고 ESIT 교수들은 지금도 ‘불가사의’의 하나로 소개한단다.
“통학시간을 아끼려고 학교 앞에 자취방을 얻어 죽어라 공부만 했습니다. 에펠탑이나 베르사유 궁전은 그림의 떡이었죠. 매일 영어와 프랑스어로 된 신문을 읽고 방송을 듣고 잠자고 다시 일어나 신문을 보는 일의 반복이었죠. 시험이 임박해선 꿈마저 영어 프랑스어 한국어가 총동원된 스테레오 악몽을 꿨습니다.”
최 교수는 그때의 3년을 ‘두 번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암흑기’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뒤 그가 워낙 ‘잘나가다’ 보니 당하는 질시나 음해도 적지 않았다.
“파리에 있을 때 정상회담 통역에 모교 강의까지 맡게 되니 온갖 험담이 들려 왔습니다. 다 그만두려고 셀레스코비치 교수를 만났더니 ‘그게 인간의 속성이다. 절대 대응하지 말고 네 길을 가라. 난 너를 믿는다’고 하더군요. 그 뒤 남의 뒷얘기에 담담할 수 있게 됐어요.”
그의 하루는 새벽 4시에 시작된다. 영자지를 포함해 조간 4개를 훑어보고 7시부터는 CNN 등의 TV뉴스를 본다. 8시부터는 개인사무실로 출근해 종일 ‘근무’한다. ‘지천명(知天命)’을 바라보는 나이지만 출퇴근 때 회화테이프를 듣고, 외국어로 할 일 정리하고, 모르는 단어는 그때그때 사전을 찾는 등 외국어 실력을 갈고닦는 노력은 학생 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95년 결혼한 동갑내기 프랑스인 남편과는 격주말 부부 생활을 한다. “인도네시아 인터콘티넨털 호텔 총지배인으로 혼자 지내는 남편에게 미안한 생각이 들 때면 ‘다 집어치우고 그곳으로 가랴’고 묻지요. 그러면 남편은 딱 잘라 안 된다고 합니다. ‘당신이 행복해야 내가 행복하다. 일을 그만두면 당신은 곧 못 견뎌 할 거다. 그러면 내가 어떻게 행복하겠냐’는 얘기죠.”
통역만으로는 성에 차지 않는다. 지금까지 써 낸 책이 19권, 외부 강연도 연 70회 정도 한다. 155cm 작은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특별하다. 기업체에서는 “최 교수 강연을 듣고 나면 한 달 이상 생산성이 오른다”고 말한단다.
지난해 6월엔 각국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한국을 제대로 알리겠다는 취지로 ‘한국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연구원’을 설립해 이사장을 맡았다. “서구인들은 한국에 대해 기껏해야 ‘붉은 악마’의 정열, 시위 때의 과격 투쟁 등의 인상을 갖는 정도지요. ‘전통’과 ‘휴대전화 강국’ 등 긍정적인 한국 이미지를 많이 만들어 전파해야 합니다.”
그는 한국인은 아는 것은 많지만 수행 능력이 부족해 그걸 써먹지 못한다고 평한다. “머릿속에 금과옥조가 들어 있어도 상대방 눈높이에 맞춰 끄집어내 전달하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는데, 그런 ‘수행 능력’은 훈련을 통해 키워집니다. 한국인 대부분은 그런 훈련이 부족하죠.”
그는 교육 쪽으로도 관심을 넓히고 있다. 올해 안에 초등학생과 함께 외국어 공부에 대한 책을 써 낼 예정이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우리는 누구인가’ 심포지엄도 열 계획이다.
후진 양성도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 마침 15일에는 국내 최초의 국제 통역번역학 박사학위 논문이 자신의 지도 아래 심사를 통과했다며 자랑한다.
통역은 60세까지만 할 작정이다. “왜냐고요? 65세가 돼 트렁크 들고 외국여행 하려면 힘들 것 같아서요.”
서영아기자 sya@donga.com
▼崔교수의 '외국어 공부법' ▼
‘학습하지 말고 체득하라.’
최정화 교수는 어떻게 하면 외국어 공부를 잘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외국어는 얼마나 꾸준히 집중적으로 반복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어찌 보면 싱겁기 짝이 없는 말이죠. 어느 외국어건 하루 13∼15시간씩 6개월에서 1년만 지속적으로 들으면 누구나 귀가 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걸 안 하고 평생 고민을 안고 살아가지요.”
모든 외국어 공부는 양(量)이 쌓여야 한다. 끊임없이 자신을 외국어에 노출시켜야 한다는 것. 그런 전제 아래, 최 교수는 ‘몸통 찾기’와 ‘깃털 찾기’, ‘부닥쳐 배우기’ 등 세 갈래로 나눈 외국어 학습법을 제시한다. 이는 파리 통역번역대학원 카를라 드장 교수에게서 전수받은 것.
‘몸통 찾기’는 사전 없이 통으로 읽어 내려가며 전체적인 뜻을 파악하고 글의 맥락과 표현방식에 익숙해지는 방법이다. 들리건 안 들리건 늘 테이프나 방송 등을 틀어 놓아 귓전에서 외국어가 맴돌게 하는 것도 그중 한 방법.
‘깃털 찾기’는 양보다 질을 강조한다. 신문 기사나 책에서 열 줄 정도를 암기하거나 10분 정도 라디오를 주의 깊게 청취하는 방법이다. 새로운 단어나 숙어 문장 표현법 등을 하나하나 정리하면서 완전히 자기 것으로 소화해 버린다.
‘부닥쳐 배우기’는 외국인과 실제 부닥쳐 깨지는 훈련이다. 말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인데 한국인들은 혼자서만 공부하다 막상 실전에서는 입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게 그의 지적.
최 교수에 따르면 언어는 매일 조금씩 나아지는 게 아니라, 계단식으로 발전한다. 어느 순간 한 단계 올라가고, 어느 순간 ‘귀가 트이는’ 식이다.
“단계를 뛰어넘는 게 중요합니다. 수영하다가 물에 뜨는 단계까지 가 본 사람은 몇 십 년 뒤에도 물에 뜨지만, 그 단계까지 가보지 못한 사람은 영영 못하는 것과 같은 이치죠.”
또 하나, 외국어 실력은 한국어 실력에 연동된다. 외국어 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실력을 갈고 닦아야 한다는 얘기다.
▼최정화 교수는 ▼
▽1955년 서울 생 ▽1973년 경기여고 졸 ▽1978년 한국외국어대 불어학과 졸
▽1981년 프랑스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 석사(국제통역사)
▽1986년 프랑스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 박사
▽1981∼87년 프랑스 외무부 한국어 통역관
▽1982∼87년 프랑스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 전임강사
▽1988∼현재 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현재 국제통역사, 프랑스 파리 제3대학 통역번역대학원 국제통역사시험 심사위원, 아시아 유럽정상회의 자문위원, 국제회의 통역학회 회장, 한국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연구원 이사장 등
▽‘통역입문’(1988), ‘외국어를 알면 세계가 좁다’(1995) ‘국제회의 통역사 되는 길’(1999) ‘외 국어, 나도 잘 할 수 있다’(2000) 등 저서 19권
서영아 기자
출처: http://roadtou1.egloos.com/172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