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edition of CNN Student News begins with coverage of demonstrations in the Muslim world. Afterward, you'll hear why many Chicago schools are still closed. We also explore the origins of the U.S. Democratic Party, and we show you what could be the first-ever colorized motion picture.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Source : http://english.hani.co.kr/arti/english_edition/e_editorial/551837.html

   

 

[국내 영자신문 사설입니다. 국내 사건 혹은 우리가 잘 아는 국제 사건을 다루고 있으므로 영어실력이 딸려도 충분히 추측하며 볼 수 있습니다.

초중급 정도의 실력에서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이런 글을 많이 보시는 것이 실력향상에 아주 유리합니다. 단어는 절대 찾지 마시고 그냥 추측하며 읽으시기 바랍니다. 마우스를 단어 위에 대기만 하면 발음과 뜻을 보여주는 다음꼬마사전 정도는 사용해도 좋습니다만 이것도 너무 자주 사용하면 사고의 흐름이 자주 끊겨서 독해가 아니라 문장 해석이 되어 버립니다. 숲은 놓치고 나무만 보게 되죠. 아니 나무라도 다 보면 다행이지만 그 마저도 다 보기 전에 질려서 그만 두게 되죠.]

 



 

[Editorial] China and Japan need to keep their dispute in check 
   
 

The discord between China and Japan over the Diaoyu islands (called Senkaku by Japan) is becoming ever more serious. If the situation continues to escalate, a physical clash could be next.
The situation erupted as the Japanese government decided to purchase the islands that had been privately owned. This move has aggravated the Chinese more than the time two years ago when the Japanese coast guard seized a Chinese boat that had crossed into its waters. The captain and crew were detained. China then halted its export of the mineral bastnaesite to Japan, which intensified the situation further. But in the end, the captain was released and stability was restored. 


On Sept. 10, the Japanese government purchased the Senkaku islands from their private owner. It all started when the ultra rightwing mayor of Tokyo, Shintaro Ishihara, proposed to buy the islands. To deal with this situation, Prime Minster Noda Yoshihito’s government decided to buy the islands to prevent major friction with China.
The Chinese Foreign Ministry immediately responded by saying that “This is the denial of the result of the global war against fascism and a challenge to world order.” Furthermore, it declared the Diaoyu the baseline of its territorial sea, thus expressing its strong determination to oppose Japan’s purchase of the islands.
On Sept. 14, China several Chinese Marine Surveillance vessels conducted surveillance of the waters surrounding the islands, some of them crossing into within 12 nautical miles of shore,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territorial boundary. To compare that to Japan and South Korea’s dispute over Dokdo, it was like Japanese vessels crossing our 12-mile zone.
This is a situation that could lead to physical clashes. China is hinting at further measures including economic measures, such as boycotts of Japanese products. The Chinese military have also used expressions like “ready for war”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s to their territory.
More serious are the anti-Japanese sentiments growing among ordinary Chinese people. There is fear for the safety of Japanese nationals traveling in China. 


Both China and Japan are big power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preserving and advancing peace, stability and prosperity not only in Northeast Asia but the entire world. China calls itself the second largest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and it is also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Japan is the world’s third largest economy and the only Asian country among the G8 nations. The two countries, thus, must behave according to their statuses and positions in the world and exert all their efforts so that the situation does not escalate further. Especially the heads of the two states must not allow nationalistic sentiments to take over so that the situation grows into one that gets out of hand.
From South Korea’s perspective, having a conflict like this in our neighborhood is nothing to be comfortable about because the negative effects are bound to spread. Accordingly, we must also take the initiative in creating a mood of reconciliation in the middle. In this regard, what was the sense of President Lee Myung-bak visiting Dokdo and the remarks that came afterward, irritating the situation as he did? It was far from wise.


Please direct questions or comments to [englishhani@hani.co.kr]


 
Registrated at : 2012-09-15 PM 12:05:52 
 
Copyright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원문보기

   
 
 사설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사설] 중-일 영토갈등 남의 일 아니다 
 
    

댜오위다오(일본 이름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 간의 갈등이 예사롭지 않게 전개되고 있다. 자칫 물리적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직접적 계기는 이 섬에 대한 일본의 국유화 조처다. 이번 갈등은 2년 전 일본의 중국 어선 나포 및 선장 구류 사건 때보다 강도가 훨씬 세다. 그때엔 중국이 선장 구속에 희토류 수출 중단이라는 보복 조처로 맞서면서 긴장이 고조되다가 일본이 선장을 석방함으로써 갈등이 가라앉았다.
일본 정부는 지난 10일 실효지배하고 있는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했다. 극우 성향의 이시하라 신타로 지사가 이끄는 도쿄도가 이 섬을 사들이려 하자, 노다 요시히코 내각이 중국과 마찰을 덜 일으키고 갈등 관리를 할 수 있다는 명분을 내세워 국유화 조처를 단행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이를 현상 타파로 보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즉각 외교부 성명을 내어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의 성과를 부인하는 것이고, 전후 국제질서에 대한 엄중한 도전”이라고 비난하고, 이 섬을 영해기선으로 선포했다. 일본의 국유화 조처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중국의 대응은 말을 넘어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어제는 중국 해양감시선 몇 척이 댜오위다오 12해리 안으로 진입해 순찰활동을 벌였다. 한-일 간 독도 갈등에 비유하자면, 일본의 해안 경비정이 독도 12해리 안에 들어온 셈이다. 언제라도 물리적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또 중국은 일본산 제품의 불매운동 등 경제보복 조처도 내비치고 있다. 군부는 한 치의 땅도 양보할 수 없다며 ‘전쟁 준비’까지 언급하는 지경이다. 더 심각한 것은 민간 차원으로 반일감정이 퍼지면서 중국에 거주하거나 여행하는 일본인들이 폭행당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점이다.
중국과 일본은 동북아 지역뿐 아니라 세계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국이다. 중국은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제2의 정치·경제 대국이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다. 일본은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이자 세계 주요 8개국(G8)의 유일한 아시아 회원국이다. 두 나라는 이런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책임감을 가지고 더 이상의 확전을 자제하기 바란다. 특히, 두 나라 지도자는 어떤 경우에도 맹목적 국수주의의 분출 속에서 돌이킬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 이웃 강국 사이의 갈등은 우리에게도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니만큼 우리도 화해 분위기 조성을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먼저 독도 갈등을 촉발한 것은 못내 아쉽다. 
  

기사등록 : 2012-09-14 오후 07:02:28 
 
ⓒ 한겨레 (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설정

트랙백

댓글

 

 

연설문 전문:

Barack Obama_State of the Union Address (January 27, 2010).txt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CNN Student News starts the week with reports on violence in Afghanistan, a typhoon that hit Okinawa, and a possible end to the Chicago teachers' strike. We also offer some background on Constitution Day and Rosh Hashanah. Plus, we explore the origins of the U.S. Republican Party, and we hear a U.S. Olympian's thoughts on the importance of her Hispanic heritage.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국가영어능력평가 도입 석달…조기교육 '들썩'

초등생 학부모 과반 "NEAT 안다" 연합뉴스 | 입력2012.09.18 04:38 | 수정2012.09.18 07:18

기사 내용

초등생 학부모 과반 "NEAT 안다"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지난 6월 첫 시험이 치러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에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부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정부 주도로 개발된 NEAT는 현재 중학생이나 초등학생이 대입을 준비할 즈음이면 수능 영어를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

18일 영어전문기업 윤선생영어교실이 자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초등학생 학부모 7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5.8%가 NEAT를 '알고 있다'고 답했다.

NEAT는 듣기, 읽기 위주의 수능 영어를 대체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영어인증시험이다.

NEAT를 안다고 응답한 학부모들은 '수능 외국어영역 대체 여부 논의 중'(응답자의 54.0%, 복수응답 가능), '올해 7개 대학에서 수시모집에 시범 도입'(34.9%), '연중 2회 응시 후 높은 점수 활용 가능'(30.1%), '인터넷 기반 시험 방식'(28.5%), '2ㆍ3급 중 선택해 응시'(25.3%) 등 시험의 세부내용까지 잘 알고 있었다.

정보는 대체로 언론매체(36.6%)나 블로그ㆍ카페(34.9%)에서 얻고 있었으며 49.2%가 도입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NEAT가 사교육 절감, 외화낭비 억제 등 도입취지에 맞게끔 실효가 있을지 묻는 질문에는 46.0%가 '아니다'라고 답했고 '그렇다'는 응답은 14.2%에 그쳤다.

개선점으로는 '사교육이 필요 없도록 공교육의 질 개선'(44.4%)이 가장 많이 꼽혔고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37.5%)와 'NEAT에 맞춘 EBS 방송 특화' 등이 있었다.

한편 사교육 시장에서는 학원수업, 교재개발, 동영상강좌, 방학 영어캠프 등 모든 종류의 영어교육 콘텐츠에 걸쳐 'NEAT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수능 영어 대신 NEAT를 치를 가능성이 큰 초등학교 4~6학년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많다.

윤선생영어교실의 박지호 선임연구원은 "NEAT는 말하기ㆍ쓰기 직접 평가가 포함돼 있어 단기간에 시험을 준비하기 어렵다"며 "말하기ㆍ쓰기 과정이 잘 설계돼 있으면서 수준에 맞고 꾸준히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pan@yna.co.kr

(끝)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이 기사 주소  http://media.daum.net/v/20120918043805902
 

설정

트랙백

댓글

전체(1장~35장) 대본:

The Adventures of Tom Sawyer (Chapters 1~35).txt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Chapter 4

 

Chapter 5

 

Chapter 6

 

Chapter 7

 

Chapter 8

 

Chapter 9

 

Chapter 10

 

Chapter 11

 

Chapter 12

 

Chapter 13

 

Chapter 14

 

Chapter 15

 

Chapter 16

 

Chapter 17

 

Chapter 18

 

Chapter 19

 

Chapter 20

 

Chapter 21

 

Chapter 22

 

Chapter 23

 

Chapter 24

 

Chapter 25

 

Chapter 26

 

Chapter 27

 

Chapter 28

 

Chapter 29

 

Chapter 30

 

Chapter 31

 

Chapter 32

 

Chapter 33

 

Chapter 34

 

Chapter 35

 

 

 

 

 

설정

트랙백

댓글

Adventure 1: “A Scandal in Bohemia”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1-adventure-1-a-scandal-in-bohemia.pdf

 

 

--------------------------------------

 

Adventure 2: “The Red-Headed League”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2-adventure-2-the-red-headed-league.pdf

 

--------------------------------------

 

Adventure 3: “A Case of Identity”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3-adventure-3-a-case-of-identity.pdf

 

--------------------------------------

 

Adventure 4: “The Boscombe Valley Mystery”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4-adventure-4-the-boscombe-valley-mystery.pdf

 

--------------------------------------

 

Adventure 5: “The Five Orange Pips”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5-adventure-5-the-five-orange-pips.pdf

 

--------------------------------------

 

Adventure 6: “The Man with the Twisted Lip”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6-adventure-6-the-man-with-the-twisted-lip.pdf

 

--------------------------------------

 

Adventure 7: “The Adventure of the Blue Carbuncle”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7-adventure-7-the-adventure-of-the-blue-carbuncle.pdf

 

--------------------------------------

 

Adventure 8: “The Adventure of the Speckled Band”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8-adventure-8-the-adventure-of-the-speckled-band.pdf

 

--------------------------------------

 

Adventure 9: “The Adventure of the Engineer’s Thumb”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09-adventure-9-the-adventure-of-the-engineers-thumb.pdf

 

--------------------------------------

 

Adventure 10: “The Adventure of the Noble Bachelor”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10-adventure-10-the-adventure-of-the-noble-bachelor.pdf

 

--------------------------------------

 

Adventure 11: “The Adventure of the Beryl Coronet”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11-adventure-11-the-adventure-of-the-beryl-coronet.pdf

 

--------------------------------------

 

Adventure 12: “The Adventure of the Copper Beeches”

 

대본:

the-adventures-of-sherlock-holmes-012-adventure-12-the-adventure-of-the-copper-beeches.pdf

 

 

 

 

 

 

 

설정

트랙백

댓글

새해가 되면 연말쯤 ‘영어 달인’이 되어 있는 자신의 모습을 꿈꾼다. 그래서 TOEIC 만점을 만들어준다는 교재도 사고, 드라마로 귀가 열렸단 수기에 솔깃해 미국 드라마를 통째로 내려받기도 한다. 여기까지는 ‘달인’과 ‘일반인’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 그런데 1년이 지나면 왜 영어 실력이 현격하게 차이 나는 걸까. 영어 달인을 꿈꾸는 이들에게 부족한 2%를 찾기 위해 지난해 ETS TOEFL 장학생으로 선발된 2명을 만나봤다. 부산대생 김호준씨와 한양대생 조은송씨는 성장하는 동안 장기 해외 체류 경험이 없는 순수 국내파로 다양한 영어 공부법을 섭렵한 끝에 장학생으로 선발됐다.

아버지와 놀이처럼 영어대화 국어·과학 수업도 영어로 필기

6살 은송이가 가족들과 동물원에 갔다. 아빠는 “은송아, 기린 목이 길다.”라고 하더니 곧 이어 “The giraffe has long neck.”이라고 했다. 차를 타고 가다가 은송이가 “하늘이 참 푸르다.”라고 하면 아빠는 “The sky is blue.”라고 말을 받아줬다. 아빠의 영어는 때로 어법에 맞지 않았고, 단어에도 한계가 있었다. 그래도 어린 시절 아빠의 영어를 들으며 “영어 단어가 친숙해졌고, 놀이처럼 재미있어졌다.”고 조은송씨는 회상했다.

한양대 경영학과 2학년인 은송씨의 아버지 조희련씨는 현재 서울 영등포경찰서 경비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아버지 조씨는 경찰대에서 영어 회화 수업을 받으며 “나중에 영어 말하기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아이들을 교육하겠다.”는 결심을 했다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자녀들과 영어로 말하기를 실천하고, 길에서 외국인을 만나면 적극적으로 말을 붙였다. 말을 배울 적부터 영어에 흥미를 느낀 은송씨가 영어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

→아버지와 영어로 대화를 했어도 막상 외국인을 접하면 자신감이 사라지지는 않던가.

-아무리 연습을 해도 외국에 살다 온 친구들보다 발음이 좋지 않다는 것은 늘 콤플렉스로 작용한다. 친구들이 쓰는 욕(slang)이나 일상적인 표현을 못 알아들을 때는 “한국에서 아무리 열심히 해도 소용없다.”는 생각에 자신감이 떨어졌다. 하지만 그런 마음 때문에 오히려 더 분발한 측면도 있다. 영어뿐 아니라 다른 어떤 언어를 배울 때에도 자신감이 없어서 말을 내뱉지 못하고 공부를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그것을 극복하느냐, 못 하느냐에 승부수를 띄웠다. 어차피 한국말이 아닌 언어를 원어민처럼 하기는 힘드니,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노력하겠다고 생각을 바꾼 것이다.

→가정 학습으로 영어를 배운 셈인데, 그럼 수준 높은 영어를 배우기가 어렵지는 않았나.

-어렸을 때 아버지와 영어로 대화하면서 기초를 다졌다면, 이후에는 어머니의 공이 크다. 매주 일요일 오후마다 동생과 영어 서점에 갔다. 그곳에서 영어 동화책을 사고, 한달에 한번씩 비디오를 바꿔가며 봤다. 중학교에 들어가서는 미국 드라마 프렌즈(Friends)를 보면서 영어를 공부했다. 사실은 너무 재미있어서 공부에 방해가 될 정도로 보고 또 봤다. 처음에는 자막과 함께 보고, 내용을 이해하면 자막 없이 보면서 모르는 문장을 찾아봤다. 통째로 외우다시피 해서 자막 없이 미드를 이해할 정도가 되어서는 국어나 과학 시간에 선생님의 말씀을 영어로 필기했다. 처음에는 단어 한두개만 영어로 썼지만, 점점 영어 필기 분량이 늘어났다.

→여전히 영어 공부를 하고 있나.

-2009년 겨울에 친구와 괌에 여행을 갔는데, 현지에서 영어를 해 보니 다른 점이 많았다. 말하는 속도도 생각보다 빨랐고, 안 들리는 단어도 있어서 당황했다. 그런데 그때 “내가 한국에서만 해서는 안 되겠구나.”라는 좌절감 대신 “한국에서 이 정도 실력을 만들었으니 다음에 기회를 잡으면 더 크게 도약할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했다. 어렸을 때 외국에 나갈 기회가 없더라도, 한국에서 최대한 실력을 갖추고 외국에 가면 더 많이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 공부 비법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영어는 계단식으로 느는 것 같다. 잘하게 되는 순간이 따로 있다기보다 한 계단씩 올라가다 보면 처음에는 말하기와 듣기만 되다가 읽기와 쓰기도 되는 식으로 실력이 향상되는 것 같다.

시험 아닌 실생활용으로 연습 다큐멘터리·뉴스도 좋은 교재

“이공계 학생이 무슨 영어야.” 언뜻 생각하면 인문계열 학생보다 자연계열 학생이 영어를 쓸 기회가 적은 것 같다. 그런데 실상은 다르다. 영어 교재를 활용하는 이공계 수업이 많아지고, 해외 석학들의 강의를 직접 듣는 채널도 넓어졌다. 영어를 잘할수록 전공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기회도 늘어난다는 뜻이다.

부산대에서 생물학을 전공하는 07학번 김호준씨는 영어를 통해 다양한 기회를 얻게 된 좋은 예로 꼽힐 만하다. 미국 드라마를 보며 영어에 흥미를 붙인 김씨는 홍콩 중문대학교에 교환학생으로 간 뒤 영어뿐 아니라 다양한 외국어에도 관심을 갖게 됐다. 무엇보다 외국인 친구를 만나 다양한 삶의 모습과 형태를 알게 된 것이 큰 보람이라고 김씨는 말했다. 그는 “홍콩에 있었을 때 향수에 시달리며 빨리 떠나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면서도 “그럴 때마다 나를 붙잡은 것은 좋은 사람들의 진심 어린 미소였다.”고 회상했다.

→미국 드라마를 영어 공부의 일등 공신으로 꼽았다. 미국 드라마로 영어를 익히는 방법이 있나.

-자신이 좋아하는 방법으로 영어를 접하고 익히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다. 미국 드라마가 맞지 않는다면, 다큐멘터리·영화·뉴스 등 다른 프로그램을 봐도 좋을 것이다. 그중에서 미국 드라마를 선택한 것은 언젠가 유학을 갈 것에 대비해 미국에서의 일상생활이나 문화를 이해해야겠다는 생각이 강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공계 학생이라서 그런지 ‘빅뱅이론’이란 드라마에 심취했다. 과학 이론밖에 모르는 어설픈 인물들이 좌충우돌하며 만드는 사건들이 재미있었다. 전문적인 용어가 많이 나와 자막을 보면서도 따라 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재미있어서 여러 차례 봤다. 영어 연습을 할 때에는 ‘가십걸’도 도움이 됐다. 뉴욕 고교와 대학교를 배경으로 하고, 일상 대화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영어를 익히기에 적절했다.

→홍콩 교환학생 시절, 영어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어났다고 들었다.

-한국에서 영어는 ‘금테를 두른 언어’와 같았다. 영어는 다른 언어보다 우월한 무언가였다. 영어를 잘하면 좀 더 나은 사람이 되고, 더 잘난 사람이 된다고 생각했다. 홍콩에서 다양한 국적의 친구를 만나고 그들의 언어를 익히면서 영어도 하나의 언어로서 수단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 언어를 통해 무엇을 느끼고 나눌 것인가, 무엇을 고민할 것인가’였다. 언어 자체가 아니다.

그래서 홍콩 현지 사람들이 쓰는 광둥어를 배우기도 했다. 택시 기사나 학교 식당 직원들과 서툰 광둥어로 이야기하자 그들이 매우 신기해하면서 호의를 베풀었다. 언어가 높은 지위를 얻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사람들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을 깨닫게 됐다.

→영어 공부법에 대해 한마디로 조언을 한다면….



-토플 첫 시험에서 97점을 맞았다. 이 점수를 끌어올리는 동안 영어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영어 시험 공부를 하더라도 시험 자체만을 위한 공부가 아니라 실제 영어 사용과 연결 지을 수 있는 연습을 많이 하기 바란다. 또 영어 실력에 완성이란 없다고 생각한다. 한국어만 봐도 세련되고 완벽하게 구사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다. 자기가 구사할 수 있는 수준에서 자신감을 갖고 말하고자 하는 것을 명확하게 전달하려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잘못 말했을 때의 어색함,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시행착오에 익숙해지다 보면 자신 있게 영어를 구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Source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0104023005

설정

트랙백

댓글

 

목마르지 않은 사람이 물을 찾을까요?


가장 많이 틀려보는 사람이 가장 빨리 배웁니다. 틀려보는 사람에게는 정답(=올바른 영어)에 대한 갈증이 생겨나고 언젠가 정답과 마주치면 바로 흡수하게 되지만, 틀려보지 않는 사람은 자신이 뭘 모르는지 알지도 못하며 당연히 정답에 대한 갈증도 없고 그것을 알 기회가 와도 그냥 흘려 버립니다. 올바른 영어에 대한 갈증을 가장 크게 느끼려면 평소에 많이 틀려봐야 합니다. 틀릴 기회를 많이 잡으려면 비록 형편없는 실력이지만 틈만 나면 종이에다 쓱쓱...쓱쓱..., 마음 속으로는 중얼중얼...중얼중얼...합시다.

 

마음 속에서 온갖 감정과 느낌과 현상을 영어로 표현해 보십시오. 끊임없이 연습하십시오. 엄청난 시행착오를 하셔야 합니다. 원어민 아이들이 그냥 말을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상상을 초월하는 시행착오를 거치며 모국어를 배우는 것입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특히 영어공부에서는 더 그렇습니다. 오늘부터라도 마음 속으로 중얼중얼...중얼중얼...합시다.


저는 개인적으로 모든 생각을 영어로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한 30년 전부터...그런데 실제로 영어로 제대로 생각이 되기 시작한 것은 한 10여 년 전부터입니다. 요즘은 대체로 모든 생각의 약 60~70% 정도는 영어로 하는 것 같습니다.

 

'영어로 생각하기'는 실제로 원어민을 만나서 영어로 대화하는 것 보다 훨씬 힘든 일이며 또한 훨씬 도움이 되는 일입니다. 원어민들과 만나면 그저 피상적인 대화나 하고 깊이 있는 대화가 오가기 힘들지만, 혼자서 생각을 영어로 하면 일상 생활과 사고의 가장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표현들을 모두 영어로 하게 되므로 그 효과는 원어민과의 대화와는 비교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단점은 엄청 귀찮다는 것입니다. 상대가 없으니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고 다 해야 하죠. 너무 너무 귀찮고 피곤하지만 영어회화나 영작문에 이보다 더 좋은 효과를 내는 것은 절대 없을 듯합니다.


Make mistakes, make more mistakes and continue to make mistakes. The only way you will learn is by making mistakes. Feel free to make them and make them often.

설정

트랙백

댓글

 

 

연설문 전문:

Ronald Reagan_Farewell Address (January 11, 1989).txt

 

설정

트랙백

댓글

 

 

 

연설문 전문: 

John F. Kennedy_Report on the Berlin Crisis (July 25, 1961).txt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연설문 전문:

Barack Obama_Inaugural Address (January 20, 2009).txt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Watch Friday, September 14, 2012 on PBS. See more from PBS NewsHour.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