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4529건
- 2012.09.03 [CBS 최근주요이슈 동영상] (2012-9-3)
- 2012.09.03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9-3
- 2012.09.03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9-3)
- 2012.09.03 [영어뉴스] NPR 5분 뉴스 (2012-9-3)
- 2012.08.31 [콘서트 7080] 100회 특집 Full Time Live (2006.11.25/장소:서울대 문화관)
- 2012.08.31 [미국공화당 전당대회, 밋롬니 부인의 연설] Ann Romney speaks at the Republican National Convention.
- 2012.08.31 [오디오/35분/WSJ 최근국제경제동향] The Wall Street Journal 'This Morning' (2012-8-31)
- 2012.08.31 [초보자용 VOA 음성+대본]American History: Life After 9/11 (2012-8-31) 4
- 2012.08.31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8-31
- 2012.08.31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8-31)
- 2012.08.31 [영어뉴스] NPR 5분 뉴스 (2012-8-31)
- 2012.08.30 Typhoons Bolaven and Dembin are like movies.
- 2012.08.30 ‘영어짱 손녀’ 만든 할머니 김 신숙 씨의 영어 교육법
- 2012.08.30 [영어,한국에서 잘하는법] 알고 있는 영어 단어부터 연결해 보자 [중앙일보 2009/04/21] 1
- 2012.08.30 [BBC 어린이 영어방송] The Rhyme Rocket: Clothes
- 2012.08.30 [오디오/35분/WSJ 최근국제경제동향] The Wall Street Journal 'This Morning' (2012-8-30)
- 2012.08.30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8-30
- 2012.08.30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8-30)
- 2012.08.30 [영어뉴스] NPR 5분 뉴스 (2012-8-30)
- 2012.08.29 [BBC 어린이 영어방송] The Rhyme Rocket: Clothes
- 2012.08.29 [BBC 어린이 영어방송] Raa Raa the Noisy Lion: Huffty Loses his Voice
- 2012.08.29 [BBC 어린이 영어방송] Driver Dan's Story Train 2
- 2012.08.29 [BBC 어린이 영어방송] Driver Dan's Story Train
- 2012.08.29 [BBC 어린이 영어방송] I Spy: E and F
- 2012.08.29 [BBC 6분 영어] Driving on Mars 2
- 2012.08.29 [BBC 6분 영어] Snail racing
- 2012.08.29 [BBC 6분 영어]Ancient Italian shipwreck
- 2012.08.29 [BBC 6분 영어] Nigerian oil theft
- 2012.08.29 최정화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 2012.08.29 [미국대선관련 전문가 대담] Will Americans Buy Romney's Proposals to Turn Around the Economy?
글
글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9-3
글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9-3)
글
글
[콘서트 7080] 100회 특집 Full Time Live (2006.11.25/장소:서울대 문화관)
나의 10대, 20대가 흐르던 시절...
내 인생의 활기가 넘치던 시절...
고민하고 좌절하던 시절...
기뻐하고 열광하던 시절...
내 인생의 주제 중 하나인 "추억 만들기"...
아직도 진행 중인 나의 "추억 만들기"...
이 노래들을 들으면 나는 아직도 슬퍼하고 기뻐하고 열광한다.
Brian
글
[미국공화당 전당대회, 밋롬니 부인의 연설] Ann Romney speaks at the Republican National Convention.
글
[오디오/35분/WSJ 최근국제경제동향] The Wall Street Journal 'This Morning' (2012-8-31)
글
[초보자용 VOA 음성+대본]American History: Life After 9/11 (2012-8-31)
This week in our series, we look at America after the events of September eleventh, two thousand one.
(MUSIC)
► Listen to this story in high-quality 192kbps audio (or right-click/option-click to save)
DAN RATHER: "A stunning and cowardly strike on the United States. Terrorists send mighty skyscrapers crumbling to the ground. Many innocent people are dead. The president vows the killers will pay for this attack on America."
The United States changed as a result of the September eleventh terrorist attacks. CBS newsman Dan Rather expressed what many Americans were feeling.
DAN RATHER: "You will remember this day as long as you live. A series of coordinated terror strikes today at this country, its people, our freedom. Strikes that came without warning."
(MUSIC)
On the morning of that sunny September day that came to be known as 9/11, the nation came under attack from al-Qaida, an extremist group led by Osama bin Laden. Its targets were world-famous buildings representing America's economic and military power.
Al-Qaida operatives hijacked four American passenger airplanes. The hijackers were from Middle Eastern countries. Each group included a pilot trained to fly two kinds of Boeing airliners, the 757 and the 767.
At eight forty-six on that morning, one group of hijackers flew a Boeing 767 into the North Tower of the World Trade Center in New York City. Seventeen minutes later, another group flew a second 767 into the Trade Center's South Tower.
The planes exploded in fireballs that sent clouds of smoke into the air. The intense heat of the burning jet fuel from the planes caused structural failures that brought down both buildings.
About an hour after the first plane hit the World Trade Center, another group of al-Qaida operatives flew a 757 airliner into the Pentagon, the headquarters of the Defense Department, in Arlington, Virginia. The plane exploded against a wall of the huge building where more than twenty thousand people worked.
A fourth group had taken control of another 757. But some of the passengers on that flight, United 93, had heard about the terrorist attacks through phone calls to their families. Several passengers and crew members attempted to retake control of the plane. It crashed near the town of Shanksville, Pennsylvania. Investigators later said the hijackers probably planned to attack the Capitol, a major government building in Washington, D.C., where Congress meets.
There was also concern that the White House could have been a target.
The 9/11 attacks saw the worst loss of lives on American soil since Japan attacked Pearl Harbor in nineteen forty-one. That attack caused the United States to enter World War Two.
GEORGE W. BUSH: "The pictures of airplanes flying into buildings, fires burning, huge structures collapsing have filled us with disbelief, terrible sadness, and a quiet, unyielding anger."
As expressed by President George W. Bush on 9/11, the attacks left Americans in a state of shock and disbelief. But that was soon replaced by anger and a resolve that this would not be allowed to happen again.
GEORGE W. BUSH: "These acts of mass murder were intended to frighten our nation into chaos and retreat. But they have failed. Our country is strong. A great people has been moved to defend a great nation.
"Terrorist attacks can shake the foundations of our biggest buildings, but they can not touch the foundation of America. These acts shatter steel, but they can not dent the steel of American resolve."
At Ground Zero, the site of the World Trade Center destruction, rescue efforts continued into the night. New York City Mayor Rudy Giuliani was asked if Arab-American or Muslim groups in New York might be targeted due to the nature of the attacks.
RUDY GIULIANI: "Just the opposite. They will receive extra protection. Nobody should engage in group blame. The particular individuals responsible, the groups responsible, that's up to law enforcement, and it's up to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to figure out. And citizens of New York should -- even if they have anger, which is understandable, and very, very strong emotions about this -- it isn't their place to get involved in this. Then, they're just participating in the kind of activity we've just witnessed, and New Yorkers are not like that."
And Giuliani spoke of the strength of the spirit of the people of his city.
RUDY GIULIANI: "People tonight should say a prayer for the people that we've lost, and be grateful that we're all here. Tomorrow, New York is going to be here, and we're going to rebuild, and we're going to be stronger than we were before."
(MUSIC)
On September twentieth, President Bush went before a joint session of Congress to declare a war on terror.
GEORGE W. BUSH: "Our war on terror begins with al-Qaida, but it does not end there. It will not end until every terrorist group of global reach has been found, stopped and defeated. [Applause]"
President Bush explained that the war on terror would be different from other wars.
GEORGE W. BUSH: "Our response involves far more than instant retaliation and isolated strikes. Americans should not expect one battle, but a lengthy campaign, unlike any other we have ever seen. It may include dramatic strikes, visible on TV, and covert operations, secret even in success. We will starve terrorists of funding, turn them one against another, drive them from place to place, until there is no refuge or no rest. And we will pursue nations that provide aid or safe haven to terrorism.
"Every nation, in every region, now has a decision to make. Either you are with us, or you are with the terrorists. [Applause] From this day forward, any nation that continues to harbor or support terrorism will be regarded by the United States as a hostile regime."
(MUSIC)
President Bush demanded that the Taliban rulers of Afghanistan stop sheltering Osama bin Laden and surrender him. The president also called on the Taliban to close terrorist training camps in Afghanistan.
The Taliban refused. They demanded evidence that Osama bin Laden had been involved in the attacks of 9/11. They said that if such evidence was provided, he would be tried in an Islamic court. The United States refused to provide evidence.
(MUSIC)
On October seventh,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launched air strikes against Taliban targets. What became known as the War on Terror had begun.
Tribal groups from the opposition Northern Alliance led a ground attack. But suicide bombers had killed their leader, Ahmad Shah Masood, on September ninth, two days before the 9/11 attacks.
By November, Taliban control began to collapse in several provinces. Taliban forces fled Kabul, the capital. But the ouster of the Taliban government did not mean the end of the war on terror.
Some of President Bush's advisers had long supported an invasion of Iraq. As early as October two thousand one, Defense Secretary Donald Rumsfeld suggested that military action against Iraq was possible. Government officials accused Iraq of having links to terrorist groups like al-Qaida. They noted that Iraqi leader Saddam Hussein had used chemical weapons. And they said he was seeking to develop biological and nuclear weapons as well.
(MUSIC)
In October, two thousand one, Congress passed the U.S.A. Patriot Act. This law provided the government with more power to gather information about suspected terrorists in the United States. Critics said the law invaded constitutional rights to privacy. Civil liberties groups said the Patriot Act gave law enforcement and other agencies too much power.
In January two thousand two, President Bush gave his State of the Union report to Congress. He accused some nations of supporting terrorist organizations. He said the United States would not wait to be attacked by such groups. Instead, it would strike first at the countries that sheltered them. The president identified three nations – North Korea, Iran and Iraq -- as supporters of terror.
GEORGE W. BUSH: "States like these, and their terrorist allies, constitute an axis of evil, arming to threaten the peace of the world. By seek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se regimes pose a grave and growing danger. They could provide these arms to terrorists, giving them the means to match their hatred."
(MUSIC)
In two thousand two, the United States opened a detention center at its naval base at Guantanamo Bay, Cuba. Some of the fighters arrested in Afghanistan were sent there. They were not considered prisoners of war. Instead, the detainees were treated as "unlawful enemy combatants." As such, the Bush administration said they did not have the same rights as war prisoners under international trea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government also detained some foreign citizens, mostly for violating immigration laws. No terrorism charges were brought against these detainees. Human rights activists and some legal experts protested the detentions.
After 9/11, government agencies were criticized for failing to prevent the terrorist attacks. Critics said the agencies should have been working together to gather intelligence. Government officials said part of the issue involved legal restrictions on the gathering and sharing of intelligence.
(MUSIC)
The attacks of 9/11 had a major effect on the commercial aviation industry. The skies over Washington and other cities became strangely silent.
Washington's busy Ronald Reagan National Airport was closed for several weeks after the attacks. When it reopened, new security measures for inspecting passengers and their belongings were put in place. Similar measures were in force at other airports across the nation.
Fears over safety among the traveling public led to a drop in the number of airline passengers. As a result, the airlines began to use smaller planes. Costly changes were necessary to "harden" the cockpit, to prevent more terrorist attacks.
The increased security led to delays and other problems. But slowly, Americans began to fly again in greater numbers. But airlines had to work hard to win back the trust of the traveling public.
(SOUND: United Airlines commercial)
One carrier, United, ran a low-key television advertising campaign, in which actor Robert Redford, at the end of each ad gently suggested
ROBERT REDFORD: "It's time to fly."
In January two thousand three,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opened for business.
ANNOUNCER: "Maybe you see something suspicious, but you don't want to get involved. It's nothing, you think. Can you be sure?"
There was a lot to do.
ANNOUNCER: "If you see something, say something. Report suspicious activity to local authorities."
Transportation security, immigration, law enforcement, border protection. It represented the biggest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more than half a century. All or part of twenty-two federal agencies and departments were combined into the new agency. Its job: to keep America safe in a world that had changed in a single day.
(MUSIC)
The War on Terror, which began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on the United States, escalated in March 2003, when a coalition of American-led forces invaded Iraq. The mission, as stated by President Bush and British Prime Minister Tony Blair, was "to disarm Iraq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o end Saddam Hussein's support for terrorism, and to free the Iraqi people."
(MUSIC)
This is the final program of a summer series that has featured encore performances of some of our favorite programs. I’m Steve Ember. I hope you’ve enjoyed hearing some of these programs again – or possibly, for the first time. All summer, we’ve been at work on the production of a new series of THE MAKING OF A NATION, starting with program number one, which we’ll have for you next week at this time.
You can find our series online with transcripts, MP3s, podcasts and pictures at voaspecialenglish.com. You can also follow us on Facebook and Twitter at VOA Learning English. Remember, American history “re-starts” next week at this time, in VOA Special English. See you then.
글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8-31
글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8-31)
글
글
Typhoons Bolaven and Dembin are like movies.
Bolaven is gone and Dembin is about to be gone.
These typhoons are somewhat like movies.
We feel some great movies don't live up to their fames when we actually see them after hearing a lot of great news about them.
Likewise, after we had heard so much about Bolaven, what actually happened?
However surprising some things are, I think, they are no longer surprising once we get familiar with them beforehand.
Brian
글
‘영어짱 손녀’ 만든 할머니 김 신숙 씨의 영어 교육법
‘영어짱 손녀’ 만든 할머니 김 신숙 씨의 영어 교육법
"Grandma, I'm hungry"
최은송 양(10·경북 포항시 동부초)이 27개월이 되었을 무렵, 할머니 김신숙 씨(57·경북 경주시)에게 영어로 말을 걸어왔다. 은송이는 국어와 영어를 거의 동시에 말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외국인과의 대화에 어려움이 없을 정도로 유창한 회화 실력을 자랑한다.
외국에서 나고 자란 것도 아니고 영어 유치원 한 번 다니지 않은 은송이의 영어 실력은 오로지 할머니 김 씨의 '영어 교육법' 덕분이다.
김 씨는 21살에 결혼한 딸 덕분에 마흔 일곱 나이에 할머니가 되었고 딸과 사위가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은송이의 육아를 자청했다.
손녀 육아를 인생의 새로운 도전으로 받아들인 김 씨는 은송이가 생후 4개월이 되었을 때부터 영어 테이프를 들려주었다. 'Bird'나 'Horse'의 발음조차 가물가물 했지만 35년 만에 먼지가 뽀얗게 쌓인 영어사전을 펼치고 한 단어씩 찾아가며 영어책도 읽어 주었다. 덕분에 은송이는 옹알이도 영어로 시작했다. 이야기를 듣다보면 김 씨 자신이 원래 영어에 능통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 역시 영어와 거리가 멀었다.
"저도 처음에는 영어를 가르치려면 저부터 영어에 능통해야 한다고 생각했지요. 그런데 가르치다 보니 아이가 배우는 속도를 따라 잡을 수가 없더라고요. 그걸 깨닫고부터는 아이가 항상 영어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데 주력 했습니다."
보통 영어를 배우는 아이들은 유치원이나 학원에 가면 영어를 쓰지만 집에 돌아오면 국어를 쓴다. 김 씨는 반대로 은송이가 어린이집에 가면 국어를, 집에 오면 영어를 쓰도록 격려했다. 규칙적으로 영어 테이프를 들려주었으며 다양한 놀이법을 개발했다.
먹고 난 우유팩을 깨끗이 씻어 만든 'Rice''Fish''Water' 등 글자카드로 밥상을 차리는가 하면, 식탁 아래 'Table' 침대 아래 'Bed'를 숨겨 놓고 찾기 놀이를 한다. 'Ant'-'Butterfly'-'cat' 등 ABC 순서대로 글자 잇기 놀이도 은송이가 좋아했다.
"은송이의 1학년 교실로 6학년 학생이 영자신문을 들고 찾아 왔더래요. 여기 영어 잘 하는 아이가 있다던데 신문 읽을 수 있냐고 물어 보려고요. 은송이가 줄줄 읽고 뜻을 설명해주는 모습을 본 선생님이 은송이 교육법을 공유해 주실 수 없냐고 물어보시더군요. 벌써 3년이 넘게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네요."
김 씨는 은송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간 이후에는 방과후 수업 '영화 동화 읽기' 교사로도 활약 중이다. '송이 할머니'라는 필명으로 유명한 그는 영어 교육에 관심 있는 엄마들 사이에서는 이미 스타 강사이기도 하다. 2002년부터 인터넷에 연재한 은송이의 영어 육아일기는 폭발적인 조회수를 기록했고 현재는 전국 문화센터를 돌며 엄마들을 상대로 '영어교육법을 강의한다. 지난해 11월에는 연재 칼럼을 모아 '시골할머니의 영어짱 손녀 만들기(해피니언)' 라는 책도 냈다.
"손녀 육아를 맡게 되면 노후까지 힘들게 지내야 한다는 한탄의 소리를 많이 듣습니다. 하지만 그저 아이를 밥만 먹이고 재우고 할 것이 아니라 자식 키우던 노하우를 활용해 미래의 인재들을 길러낸다면 그만큼 보람이 있는 일이 어디 있겠어요? 아이와 함께 배우면서 자기계발을 할 수도 있고 사랑으로 자식들이 편하게 직장생활 하도록 돕기도 하고요."
마지막으로 김 씨는 육아를 조부모에게 맡긴 부모들에게 부탁의 말을 했다.
"아이를 맡길 때 할아버지, 할머니에게 컴퓨터를 사 드리세요. 조부모들은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기쁨을 느낄 수 있고 잠시 휴식을 취할 수도 있지요. 영어 동화나 영어 노래를 들을 수 있으니 아이 교육에도 좋은 일이지요."
아래는 '송이 할머니' 김 씨가 알려주는 영어 교육 노하우 5가지.
1) 영어 테이프는 책을 보여주며 들려주어라. 책의 그림을 보고 단어의 뜻을 연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매체 활용을 70%, 엄마가 직접 읽어 주는 것을 30% 비율로 활용해라. 아이는 스스로 발음을 교정해 나가니 엄마의 발음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3) 절대 국어로 해석해 주지 마라. 영어의 의미를 영어로 유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석 대신에 체험을 하도록 하라. 예를 들어 "The sugar is melting"이라는 문장이 나오면 프라이팬에 설탕을 녹이는 모습을 직접 시연해 보이는 식이다.
4) 아이의 학습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아이의 학습 속도는 계단형이나 대각선형으로 늘지 않는다. 조금씩 좋아지다가 나빠지기를 반복하면서 실력이 향상된다.
5) 공부가 아닌 놀이로 느끼게 하라. 밥상 차리기, 김밥말기 등 글자카드 놀이, 낱말 잇기 놀이, 숨바꼭질 놀이 등 아이가 끊임없이 영어에 흥미를 갖도록 유도하라.
글
[영어,한국에서 잘하는법] 알고 있는 영어 단어부터 연결해 보자 [중앙일보 2009/04/21]
[영어,한국에서 잘하는법] 알고 있는 영어 단어부터 연결해 보자 [중앙일보 2009/04/21]
영어를 잘하는 방법이 있을까. 있다. 우선 영어를 한국말처럼 생각하자. 우리는 한국말을 할 때 미리 주어 동사 목적어를 정해놓고 말하지 않는다. 영어도 한국말처럼 자연스럽게 암기한 단어나 문장을 떠올리려고 하지 말고, 알고 있는 단어만 연결해보자.
◆상황묘사 훈련 (Insentive Reading)= 언어는 대부분 어떤 상황을 묘사하는 것이다. 가령 우리가 어떤 사람에게 ‘팔’에 대해 설명하라고 하면 그냥 팔을 펴며 “이것이요”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팔은 신체의 일부다. 팔은 어깨와 손을 연결한다. 팔은 두개며 길다”라는 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Arm is the body part. Arm connects the shoulder to the hand, we have two long arms. 이렇게 영어로 말할 수 있다. 이것을 다듬어 Arm is the two long body part which connect the shoulder to the hands. 정도로 쉽게 엮어낼 수 있다.
물론 이때 우리말로 미리 “팔은 두개의 긴 신체일부이고, 이것은 연결하는데 어깨와 손을…” 이라며 유도하며 수업한다면. 이런 문장을 만들어내는 데 불과 5분조차 걸리지 않는다.
그림이나 사진이 있으면 더 쉽다. 가령 농장의 그림을 보고 아이들에게 “농장이 영어로 뭘까요?” 라고 물으면 “몰라요”라거나, “farm이요” 라고 대답한다. 다 모른다고 하면 가르쳐준다. “farm이예요”라고. 영어는 쉬워야 한다. 모르면 미리 가르쳐주면 된다. 그러고 나서 “그럼 농장(farm)이 뭘까요?”라고 물으면 “가축을 길러요.”, “넓은 땅이 있어요”, “곡식도 길러요”라고 말을 한다. 역시 “We keep animals.” “There is an large area”. “We grow crops” 이런 짧은 문장으로 “The farm is an area of land with buildings, it used for growing crops and keeping animals“ 라는 영영사전식 묘사를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그림이나 사진을 보고 짧은 문장을 이용하여 묘사하고, 그 짧은 문장 몇 개를 연결하여 긴 문장으로 표현하는 것이 Intensive Reading이다. 이러한 Intensive Reading 방식으로 공부를 하면, 글에 담긴 내용 뿐 아니라 구성, 표현, 느낌 까지 완벽하게 소화해내는 방식으로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의 4대 영역을 골고루 짚어가는 학습으로 기억에 오래남고 자신감을 심어주는 눈부신 효과가 돋보이는 방식이다.
교재 내용 해석 → 관련 단어 암기 → 문법 설명의 3단계로 끝나는 기존의 방식은 책 한권을 공부해도 단어 몇 개, 문법 어렴풋이 몇 가지 정도만 기억하는 것이 전부이므로 학습효과는 비교의 가치가 없다.
◆다양한 훈련 (Extensive Reading)= 위의 Intensive Reading 훈련이 어느 정도 된 상태에서 레벨을 올리기 보다는 비슷한 난이도의 다양한 fiction과 nonfiction 등 비교적 긴 글을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읽으면서 주제와 연결하여 글의 흐름과 언어의 feel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영자신문이나 영어잡지 읽기가 쉬워짐을 느끼게 되어 영어를 쉬운 일상으로 끌어내어 한층 영어가 쉽다는 인식을 줄 수 있다.
◆영어 몰입(Immersion Course)= 새 정부 들어 가장 많이 들어본 단어가 영어몰입(Immersion)이 아닌가 싶다. 몰입한다고 하니까 대략 집중해서 영어 공부하는 것이라고 착각하기 쉬운데 실상은 영어를 언어로 수학이나 과학, 사회 같은 다른 과목을 공부하는 것이 Immersion이다. 이는 영어로 듣고, 말하고, 읽고, 쓸 줄 모르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외국에서 유학생활을 가능하게 해주는 과정이다. 수학, 과학, 사회 등의 과목을 영어로 배우는데 전문 분야의 새로운 단어들과 기본개념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수학공식, 그래프, 지도, 역사적 사진 및 과학실험 등 학습내용에 대한 기존의 지식들을 가지고 토론한 후, 세부적인 내용을 익힌다. 그후 이해력을 테스트하는 문제들을 풀어보고, 주제를 골라 자신의 의견을 적거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고 모델 실험 등을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영어에 대한 구속에서 어느정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
실제로 토플시험에서 말하기와 쓰기가 추가된 것이 아시아 지역 학생들이 높은 토플점수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업에선 영어가 서툴기 때문이다.
◆풍부한 표현연습 (Expressive Course)=가장 쉽고 이상적인 언어로 자신을 표현하는 법부터 시작해 당당하고 유창하게 말할 수 있도록 인도해주는 학습과정이다. 인사하는 법, 가족, 몸, 의류, 취미, 쇼핑, 친구, 날씨, 스케줄, 좋아하는 것들, 음식, 애완동물 등의 토픽을 이용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맞는 표현을 익히고,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화술을 익히는데 목적이 있다.
또 주제에 맞게 논리적인 의견 전개를 하는 스킬을 익힌다. 도표나 차트 등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정보 공유를 효율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익히고,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대화나 표현들을 집중적으로 연습한다. 대화를 듣고 요약하는 연습,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말로 표현하기, 주어진 대화 패턴에 맞추어 친구와 대화하는 연습,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작문하기, 그림을 보고 객관적인 설명을 읽은 다음, 주관적인 상상을 더해 표현하기 등 다양한 형태의 말하기 스킬을 배움으로써, 말하기와 표현하기에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영어 공부의 기본은 절대 해석이나 단어암기가 아니라 영작이다. 잘 알고 있는 쉬운 단어부터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한다. 다소 틀릴지라도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묘사해 낼 수 있고 이것이 진정한 영어사용의 시작인 것이다. 그러려면 영어에 관심을 갖는 것은 필수이다.
필자는 항상 자동차 운전학원 강사를 자칭한다. 요즈음 정말 많은 유명한 프랜차이즈학원과 많은 교재들이 쉴 세 없이 나오고 있다. 마치 시장에 여러 자동차가 판매되듯이 그러나 정작 우리는 운전하는 법을 안배우고 자동차의 구조나 성능에만 매달리는지 꼼꼼히 봐야한다. 그 차가 티코든 에쿠스든 일단 운전해보아야 운전이 정말 재미있고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느낄 것이다. 단순히 핸들만 공부하고, 엔진만 공부하면 차를 운전하는 일은 요원할 것이다.
우리가 영어를 못하는 이유 즉, 체계적이지 못한 교육과 시간부족은 전문가의 손길로 한국어처럼 구사하는 영어를 찾아 공부하면 다 된다. 어느 정도 시간이 좀 걸리니 그 기간은 진득히 공부하며 기다리자. 라면도 끓어야 먹으니까.
필자의 경험으로 영어를 잘하는 법은 두가지만 지키면 된다.
첫째 “시스템을 잘 갖추어라” 이것은 영어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어휘 등 6가지로 세분화되는데 이것을 따로 따로 정복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정복하는 비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소화할 시간을 기다려라.” 잘 차려진 잔치상도 내가 먹을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듯이 공부도 먹고 소화할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의 학부모님들은 자주 학생들에게 천재적으로 암기 잘 하고 잘 사용하는 영어를 원한다. 그것도 아주 단시간에 자신들도 포기한 영어를 말이다. 심지어 유치원에서 단어 10개, 20개씩 암기를 시키고, 한 장을 빽빽이 채울 만큼의 쓰기능력을 요구한다. 이제 겨우 7살짜리한테까지….
글
글
[오디오/35분/WSJ 최근국제경제동향] The Wall Street Journal 'This Morning' (2012-8-30)
글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8-30
글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8-30)
글
글
글
[BBC 어린이 영어방송] Raa Raa the Noisy Lion: Huffty Loses his Voice
글
글
[BBC 어린이 영어방송] Driver Dan's Story Train
All aboard the Story Train for another story with Driver Dan! Today's story 'Wizz and Ping' was written by Rebecca Elgar.
글
[BBC 어린이 영어방송] I Spy: E and F
Alex introduces some I Spy stories. Why don't you join in and see how many things you can spot beginning with today's letters E and F?
글
[BBC 6분 영어] Driving on Mars
글
[BBC 6분 영어] Snail racing
글
[BBC 6분 영어]Ancient Italian shipwreck
글
[BBC 6분 영어] Nigerian oil theft
글
최정화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의사와 환자 사이엔 통역사가 없으니…
최정화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최 정화 교수를 설명할 수 있는 많은 말 중에 가장 간단한 것은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까지 모두 다섯 대통령의 한불 정상회담 통역을 전담했다는 사실이다. 프랑스 대통령 얼굴은 기억 못해도 두 대통령과 함께 한 화면에 잡히던 최 교수의 얼굴은 기억한다는 사람도 있으니 말이다. 그는 1981년 파리 3대학 통역번역대학원(E.S.I.T) 국제회의통역사 자격을 한국인 최초로, 이 대학 통번역학 박사학위는 아시아인 최초로 취득했으며, 프랑스정부교육공로훈장(Palme Academique), 통역계 학술업적공로상인 다니카 셀레스코비치 상 , 프랑스정부 최고훈장인 레지옹도네르(Legion d’Honneur)상을 수상하는 등 프랑스에서 공로를 인정하는 동시통역가다. 화려한 이력은 프랑스에서 얻었지만 그는 지금 우리나라를 알리기 위해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 연구원 이사장, 한국국제교류재단 <Koreana>지 불어판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기도 하다. 수많은 국제회의와 컨퍼런스를 겪은 그에게 의사들은 어떤 존재로 비춰지고 있을까. 한국외국어대학 통역번역대학원 최정화 교수를 만났다.
Q. 귀로 듣는 동시에 머릿속으로는 다른 나라 말로 정리해서 입으로 말하는 과정을 거치려면 에너지 소모가 굉장할 것 같다. 국제회의통역사만의 직업병이 있다면?
- 국제회의 통역은 집중력, 분석종합능력, 순발력, 이 세 가지 요소가 동시에 발휘되어야 하는 고난도의 지적 작업이다. 가끔 적절한 용어가 즉각 생각나지 않아 망설이는 1~2초 시간이 몇 시간으로 느껴질 때도 있다. 통역하는 동안은 단 1초도 다른 생각을 할 여유가 없다 보니 짧게 두 시간 정도의 회의를 통역하고 난 후라도 에너지 소비가 엄청나다. 그래서 우리는 열량이 높거나 당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초콜릿, 쿠키를 항상 부스 한 쪽에 대기시켜(?) 놓는다. 컨퍼런스 중간에 커피 브레이크가 시작되면 가장 먼저 커피와 쿠키를 가지러 달려나가는 사람도 아마 통역사들일 것 같다. 동시통역사들에게 직업병이라면 바로 ‘분석병’이다. 일상적인 대화를 나눌 때도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왜 그런 얘기를 하는지 등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곤 한다. 맥락에 맞도록 조리있게 말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병이다, 하하. 그래서 이른바 ‘커뮤니케이션’, 즉 소통 능력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버릇이 있다.
Q. 말투나 표정을 보면 웬만한 일에는 당황하지도 않는 침착한 성격에 스트레스로 괴로워하지도 않을 것 같은 느낌이다. 스트레스를 푸는 비결은 무엇인지?
- 통역이 힘든 일이기는 하지만 통역 그 자체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진정한 통역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어려운 주제를 통역해야 할 때에는 준비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기는 한다. 하지만 그런 준비 과정 후 통역에 임할 때에는 잘 모르던 분야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는 희열을 느낀다. 예측 불가능한 수만 가지 상황을 컨트롤 하는 것도 통역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중 하나다. 에너지가 넘치게 얘기하는 편이라 사람들이 귀에 편하게 잘 들려서 비교적 소통이 잘된다는 분들이 많아 통역을 한 후 뿌듯하다. 상대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어휘를 구사하려 노력한다. 통역을 하려면 우선 말하는 것을 즐겨야 한다. 또 신이 나서 통역해야 듣는 사람도 빨려든다.
Q. 의료분야는 전문용어가 특히 까다로운데 의학전문 회의와 세미나에서 통역을 맡은 경험이 있나?
- 그야말로 난해한 전문용어들이 넘쳐난다. 대부분의 연사들이 전문용어를 영어로 바로 이야기 하는데 이런 부분은 통역사들에게는 오히려 큰 도움이 된다. 비영어권 통역사들도 영어를 어느 정도 구사하기 때문에 아무리 어려운 용어라도 영어로 듣고 나면 해당언어로 통역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려운 전문용어를 너무나 빠른 속도로, 게다가 정확하지 않은 발음으로 말해 버리는 연사들이 간혹 있다. 순차통역이면 몰라도 동시통역의 상황에서는 정말 당혹스럽다. 통역사들 아니,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해 연사들이 전문용어를 또박또박 정확히 발음해주셨으면 좋겠다.
Q. 우리나라 의사들의 글로벌지수(?)를 매긴다면?
- 감히 판단내릴 수는 없지만 여러 분야 컨퍼런스가 한국에서 꾸준히 개최되고, 또 해외 컨퍼런스에 참석하는 한국의사들이 점점 많아지는 것으로 보아 의학 분야 교류가 계속 발전하는 것이 느껴진다. 이런 컨퍼런스에서는 지식 정보 교류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 폭도 넓어지니 다른 것을 받아들이는, 열린 자세를 가진 의사들도 점점 많아지는 것 같다. 특히 의사들에게는 이러한 교류, 소통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의사마다 다르겠지만 다른 직업군에 비해 글로벌지수가 높은 것 같다.
Q. 프랑스에서 겪었던, 의사에 대한 인상적인 기억이라면?
- 프랑스에서는 진료를 받으려면 두세 시간은 기본이다. 접수를 하고 기다리는 것은 똑같은데 문제는 그 다음이다. 진료실에 들어가면 의사들은 왜 환자가 이 병에 걸렸는지, 이 병을 잘 알고는 있는지, 어떠한 주의를 해야 하는지 정말 상세히 설명한다. 심각한 병이 아닌, 감기에 걸려도 마찬가지다. 만약 환자가 특정 의학용어나 인체장기 이름을 잘 이해 못한다면 종이를 꺼내 열심히 인체해부도를 그리기 시작한다. 환자가 외국인일 경우에는 마치 의학용어를 가르치듯이 아주 천천히 정확한 발음으로 설명을 하고 때로는 다 노트해서 주기도 한다. 바쁠 때에는 이런 절차가 귀찮게 느껴질 때도 있지만 외국어를 도구로 사용해 활동하는 사람에게는 정말 좋은 기회다, 하하. 외국 의사들이 환자에게 원인, 진행과정, 결과 등을 자세히 설명해주는 것에 비해 한국 의사들은 환자에게 적은 시간을 할애하고 궁금한 점에 대한 설명에 좀 인색한 것 같다. 환자와 좀 더 많은 대화를 하고 열린 마음으로 대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Q. 혹, 친분이 있거나 기억에 남는 의사가 있나?
- 친구 남편이다. 동생이 디스크로 며칠째 꼼짝 못하다 수술했는데 5시간이 넘는 대수술 후 경과 설명을 듣느라 뵈었을 때 등뼈 모형을 놓고 찬찬히 다 알아들을 때까지 설명하면서 용기를 줬다. 아플 때는 정말 한없이 작아지는데, 설명을 다 듣고 나올 때 다시 평상심이 됐던 기억이 있어서 그 분을 생각하면 마음이 뭉클하고 감사하다. 몸이 비교적 건강해 병원에 갈 일이 많지 않아서 주치의 같은 의사는 없지만 이런 의사분이면 주치의로도 좋겠다.
Q. 우리나라 의사들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은?
-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정말 두세 마디로 진료를 끝내는 분들이 간혹 있다. 가령 “어떻게 오셨어요?”, “아- 해 보세요”, “약 드시고 이틀 후에 오세요” 같이. 좀 더 환자의 말을 경청하고 아픔을 헤아릴 줄 아는 따뜻한 의사, 환자와 커뮤니케이션 할 줄 아는 의사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
김민아 기자
글
[미국대선관련 전문가 대담] Will Americans Buy Romney's Proposals to Turn Around the Economy?
Watch WIll Americans Buy Romney Plan to Turn Around the Economy? on PBS. See more from PBS NewsH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