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rtesy Economic Strategy Institute
Clyde Prestowitz

Clyde Prestowitz, a labor economist who came to prominence as one of America’s top trade negotiators during the Reagan Administration, for decades has worried about the decline of U.S. economic competitiveness.

In the 1980s, he worried about Japan’s takeover of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s and steel, which the U.S. had long dominated. He has long been critical of Washington’s embrace of free trade and its aversion to the industrial policy that countries like South Korea practice.

Last month, Mr. Prestowitz got attention in South Korea when he published a column on the Web site of Foreign Policy called “Korea as Number One.”

“The South Koreans have long been confident that anything the Japanese can do, they can do better,” he wrote. “But now they’re proving it.”

We caught up with Mr. Prestowitz, who is now president of the Economic Strategy Institute in Washington, when he was in Seoul last week doing more research. Here’s a portion of what he said:

WSJ: If South Korea has repeated Japan’s success, how can it avoid Japan’s failures?

Mr. Prestowitz: Korea is doing to Japan right now what Japan did to the United States in the 1980s. I guess one way Korea can avoid, and maybe has avoided, Japan’s failures is Korea went through the 1997 financial crisis and, as a result of that, cleaned up its financial system. Where the major downfall of Japan was the bubble of the late 80s and the collapse of the bubble, and the failure to respond quickly to the collapse of the bubble, Korea doesn’t appear to be facing that kind of situation. And the IMF helped it to clean up.

But I think that all of these things run in cycles. One problem that Korea shares with Japan, and is I think even farther along than Japan, is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shrinkage of the population. Demographics is increasingly going to be an issue for Korea. And Japan being a much bigger economy came under pressur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onform more and respond to trade frictions. Korea has kind of been under the radar. But now it’s getting big, so it’s getting more attention. That will also bring its own complications.

Then you also have the factor that, in industries like semiconductors particularly, the investment requirements to stay in the game are just enormous. And they’re the kind of investment requirements that, if you slip, can bring down the whole company and even the country’s industry. Korea so far has made the right investment bets. The question is will it always be making the right investment bets and what happens if one of those goes wrong?

It’s not a cloudless sky, but it’s still pretty bright.

WSJ: Often we hear Koreans quietly talk about their fears about China. They are reluctant to air them in the mass media. But that seems to be a trait a lot of the world shares.

Mr. Prestowitz: It’s a trait that a lot of the world shares. I was last week in conferences in Singapore, then in Nanning and Hong Kong. The one commonality of the three conferences was that people were very careful about what they said and how they said it about China.

I think it’s kind of a problem in the global discourse. Where China is concerned, because of the lack of transparency in China, there’s a great reluctance on the part of businesses that have a stake in China to speak frankly.

WSJ: You’ve been worried about the long-term direction of the U.S. for a long time. What is your view of what’s happening with the American economy right now?

Mr. Prestowitz: The U.S. economy is struggling. The employment numbers are not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Investment is not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I fear it’s going to be hurt a lot more by the European situation. Europe looks to me like it’s falling off a cliff. People don’t think about it this way but the EU is the biggest economy, bigger than the U.S. If that goes over the cliff, there’s no way it can’t have severe damage to the U.S. and Asia.

Ironically, I think the U.S. is in some ways in a better position than the rest of the world in that Europe is in for years of austerity and difficulty and the Asian countries are still so export-reliant. One myth that has been shattered is the myth of decoupling. So the impact of a slowdown in Europe will have a big impact on the Asian economies.

But because the U.S. is a deficit economy in trade, the U.S. does, if it got its act together, have an option for growth. That is to produce more domestically and import relatively less. There are discussions going on along those lines in the White House. President Obama has talked about the importance of manufacturing and making stuff in the U.S. That may be a straw in the wind of where the U.S. is going.

 

 

한국어 번역본

 

레이건 전 대통령 시절 미국정부의 무역협상전문가로 유명해진 노동경제학자 클라이드 프레스토비츠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미국경제의 경쟁력 저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해왔다.

1980년대에 그는 미국이 지배했던 철강 및 전자제품 등 각종 산업을 일본이 장악하고 있다고 걱정했으며, 한국과 같은 국가의 산업정책에 거부감을 나타내며 자유무역을 포용하는 미국정부를 비난하기도 했다.

지난 달 프레스토비츠는 국제관계 전문잡지 ‘포린 폴리시’ 웹사이트에 ‘1위 한국’(Korea as Number One)이라는 칼럼을 게재하면서 한국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한국인들은 과거부터 일본인이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더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왔으며 이러한 자신감을 실제로 증명하고 있다.”

워싱턴 소재 경제전략연구소(ESI)에서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프레스토비치가 지난 주 추가 연구를 위해 서울에 방문했을 때 본지는 그와 인터뷰를 가졌다. 다음은 인터뷰 발췌문이다.

WSJ: 한국이 일본의 성공을 반복했다면 앞으로 일본의 실패는 어떻게 피할 수 있는가?

프레스토비츠: 1980년대 일본이 미국을 상대로 보인 행보를 한국이 취하고 있다. 이번에는 상대가 일본이다. 한국이 일본의 실패를 답습하지 않은 이유 또는 답습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을 꼽자면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금융시스템을 쇄신했다는 사실이다. 일본이 침체의 길을 겪게 된 주요인은 1980년대 후반 거품 형성과 붕괴, 거품붕괴에 대한 신속한 대응 미흡이다. 한국은 이러한 상황에 직면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IMF가 한국 금융시스템 개편에 도움을 주었다.

그렇기는 하지만, 나는 이러한 모든 것들이 순환한다는 생각이다. 한국과 일본의 공통된 문제이면서 일본에게 좀더 심각한 문제는 인구고령화 및 감소이다. 앞으로 한국에서 인구는 점점 큰 문제가 될 것이다. 한국보다 규모가 더 큰 경제국인 일본은 국제무역기준을 준수하고 무역마찰에 대응하라는 국제사회 압력을 한국에 비해 크게 받아왔다. 반면, 한국은 이러한 압력을 받지 않은 편이었으나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다.

반도체산업 등 특정 산업에서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투자규모가 엄청나다는 사실도 고려해야 한다. 실수할 경우 기업 전체, 한 나라의 해당 산업 몰락을 초래할 수 있는 투자규모이다. 한국은 이제까지 올바른 투자결정을 내려왔다. 문제는 앞으로도 그럴 것인지, 만약 하나라도 실수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이다.

완전히 창창가도라고는 할 수 없지만 전망이 여전히 밝은 편이다.

WSJ: 한국인들이 중국에 대한 두려움을 조용히 이야기할 때가 많으며 언론에서는 이러한 내용 보도를 꺼리고 있다. 한국을 포함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는 것 같다.

프레스토비츠: 그렇다. 지난 주 싱가포르와 난닝, 홍콩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이들 컨퍼런스의 한가지 공통점은 사람들이 중국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이야기하는지에 대해 매우 조심스러웠다는 사실이다.

글로벌 담화에서 문제가 되는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중국의 투명성결여 때문에 중국에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기업들이 중국 관련 문제에 대해 솔직히 말하기를 꺼리는 것이다.

WSJ: 오래 전부터 당신은 미국의 장기적 방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해 왔다. 현재의 미국경제에 대한 의견은?

프레스토비츠: 미국경제는 고전하고 있다. 일자리수치가 바람직한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투자도 마찬가지이다. 유럽사태 때문에 상황이 크게 악화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유럽은 추락하려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미국보다 더 큰 규모의 경제인 유럽연합이 추락한다면 미국과 아시아가 받을 타격이 엄청날 수 밖에 없다.

유럽이 몇 년 동안 어려움을 겪으며 긴축정책을 시행했으며 아시아국가들이 여전히 수출의존적이라는 면을 고려해볼 때 아이러니하게도 어떤 면에서는 미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유리한 것 같다. 디커플링(탈동조화)에 대한 신화는 이미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이 났다. 유럽경기침체는 아시아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그러나 무역적자국인 미국은 올바른 선택을 한다면 성장할 수 있다. 바로 국내생산을 늘리고 무역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백악관에서는 현재 이러한 맥락의 논의가 오가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내 제조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은 미국 경제정책 향방의 단서라 할 수 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In an interview with The Wall Street Journal, Nokia CEO Stephen Elop talks about innovation, management, and guiding the embattled company through a difficult transition.

Frank Nuovo, the former chief designer at Nokia Corp., NOK1V.HE -7.36%gave presentations more than a decade ago to wireless carriers and investors that divined the future of the mobile Internet.

More than seven years before Apple Inc. AAPL -1.63%rolled out the iPhone, the Nokia team showed a phone with a color touch screen set above a single button. The device was shown locating a restaurant, playing a racing game and ordering lipstick. In the late 1990s, Nokia secretly developed another alluring product: a tablet computer with a wireless connection and touch screen—all features today of the hot-selling Apple iPad.

Enlarge Image

image

Former Nokia designer Frank Nuovo says the company had prototypes that anticipated the iPhone.

"Oh my God," Mr. Nuovo says as he clicks through his old slides. "We had it completely nailed."

Consumers never saw either device. The gadgets were casualties of a corporate culture that lavished funds on research but squandered opportunities to bring the innovations it produced to market.

Nokia led the wireless revolution in the 1990s and set its sights on ushering the world into the era of smartphones. Now that the smartphone era has arrived, the company is racing to roll out competitive products as its stock price collapses and thousands of employees lose their jobs.

This year, Nokia ended a 14-year-run as the world's largest maker of mobile phones, as rival Samsung Electronics Co. 005930.SE -0.33%took the top spot and makers of cheaper phones ate into Nokia's sales volumes. Nokia's share of mobile phone sales fell to 21% in the first quarter from 27% a year earlier, according to market data from IDC. Its share peaked at 40.4% at the end of 2007.

The impact was evident in Nokia's financial report for the first three months of the year. It swung to a loss of €929 million, or $1.1 billion, from a profit of €344 million a year earlier. It had revenue of €7.4 billion, down 29%, and it sold 82.7 million phones, down 24%. Nokia reports its second-quarter results Thursday and has already said losses in its mobile phone business will be worse than expected. Its shares currently trade at €1.37 a share, down 64% so far this year.

Nokia is losing ground despite spending $40 billion on research and development over the past decade—nearly four times what Apple spent in the same period. And Nokia clearly saw where the industry it dominated was heading. But its research effort was fragmented by internal rivalries and disconnected from the operations that actually brought phones to market.

Instead of producing hit devices or software, the binge of spending has left the company with at least two abandoned operating systems and a pile of patents that analysts now say are worth around $6 billion, the bulk of the value of the entire company. Chief Executive Stephen Elop plans to start selling more of that family silver to keep the company going until it can turn around its fortunes.

"If only they had been landed in products," Mr. Elop said of the company's inventions in a recent interview, "I think Nokia would have been in a different place."

Nokia isn't the only company to lose its way in the treacherous cellphone market. Research In Motion Ltd. RIMM -2.66%had a dominant position thanks to its BlackBerry email device, but it hasn't been able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e iPhone either.

As a result, the company has lost about 90% of its market value in the past five years, and its CEO is trying to convince investors the company isn't in a "death spiral."

Whereas RIM lacked the right product, Nokia actually developed the sorts of devices that consumers are gobbling up today. It just didn't bring them to market. In a strategic blunder, it shifted its focus from smartphones back to basic phones right as the iPhone upended the market.

Mobile Designs

Dan Krauss for The Wall Street Journal

Some of the devices Mr. Nuovo designed for Nokia.

"I was heartbroken when Apple got the jump on this concept," says Mr. Nuovo, Nokia's former chief designer. "When people say the iPhone as a concept, a piece of hardware, is unique, that upsets me."

Mr. Elop, a Canadian who took over as Nokia's first non-Finnish chief executive in 2010, is now trying to refocus a company that he says grew complacent because of its market dominance.

Shortly after taking the job, Mr. Elop scrapped work on Nokia's homegrown smartphone software and said the company would use Microsoft Corp.'s MSFT -1.79%Windows mobile operating system. By doing so, he was able to deliver a new line of phones to compete with the iPhone in less than a year, much quicker than if Nokia had stuck with its own software, he says.

Those phones aren't selling strongly. The company hasn't broken out numbers but said in April that initial sales were "mixed," and two months later said competition had been tougher than expected. Mr. Elop was forced in mid-June to announce another 10,000 layoffs and $1.7 billion in cost cuts that will fall heavily o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unday, Nokia cut the U.S. price of the phones in half, to $50.

Nokia has a long history of successfully adapting to big market shifts. The company started out in 1865 as a lumber mill. Over the years, it diversified into electricity production and rubber products.

At the end of the 1980s, the Soviet Union's collapse and recession in Europe caused demand for Nokia's diverse slate of products to dry up, leaving the company in crisis. Jorma Ollila, a former Citibank banker, took over as CEO in 1992 and focused Nokia on cellphones.

Nokia factories eventually sprang up from Germany to China, part of a logistics machine so well-oiled that Nokia could feed the world's demand for cellphones faster than any other manufacturer in the world. Profits soared, and the company's share price followed, giving Nokia a market value of €303 billion at its peak in 2000.

Mr. Ollila and other top executives became stars in Finland, often requesting private dining rooms when they went out to eat, senior executives said.

Early on, the CEO started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company's next reinvention. Nokia executives predicted that the business of producing cellphones that do little but make calls would lose its profitability by 2000. So the company started spending billions of dollars to research mobile email, touch screens and faster wireless networks.

In 1996, the company unveiled its first smartphone, the Nokia 9000, and called it the first mobile device that could email, fax and surf the Web. It weighed slightly under a pound.

"We had exactly the right view of what it was all about," says Mr. Ollila, who stepped down as chief executive in 2006 and retired as chairman in May. "We were about five years ahead."

The phone, also called the Communicator, made an appearance in the movie "The Saint" and drew a dedicated following among certain business users, but never commanded a mass audience.

In late 2004, U.S. manufacturer Motorola scored a world-wide hit with its thin Razr flip-phones. Nokia weathered criticism from investors that it was expending too much effort on high-end smartphones while its rival ate into its lucrative business selling expensive "dumb" phones to upwardly mobile people around the world.

[image]

After Olli-Pekka Kallasvuo, Nokia's former chief financial officer, took the helm from Mr. Ollila in 2006, he merged Nokia's smartphone and basic-phone operations. The result, said several former executives, was that the more profitable basic phone business started calling the shots.

"The Nokia bias went backwards," said Jari Pasanen, a member of a group Nokia set up in 2004 to create multimedia services for smartphones and now a venture capitalist in Finland. "It went toward traditional mobile phones."

Nokia's smartphones had hit the market too early, before consumers or wireless networks were ready to make use of them. And when the iPhone emerged, Nokia failed to recognize the threat.

Nokia engineers' "tear-down" reports, according to people who saw them, emphasized that the iPhone was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only worked on second-generation networks—primitive compared with Nokia's 3G technology. One report noted that the iPhone didn't come close to passing Nokia's rigorous "drop test," in which a phone is dropped five feet onto concrete from a variety of angles.

Yet consumers loved the iPhone, and by 2008 Nokia executives had realized that matching Apple's slick operating system amounted to their biggest challenge.

One team tried to revamp Symbian, the aging operating system that ran most Nokia smartphones. Another effort, eventually dubbed MeeGo, tried to build a new system from the ground up.

People involved with both efforts say the two teams competed with each other for support within the company and the attention of top executives—a problem that plagued Nokia's R&D operations.

"You were spending more time fighting politics than doing design," said Alastair Curtis, Nokia's chief designer from 2006 to 2009.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was so convoluted, he added, that "it was hard for the team to drive through a coherent, consistent, beautiful experience."

In 2010, for instance, Nokia was hashing out some details of software that would make it easier for outside programmers to write applications that could work on any Nokia smartphone.

At some companies, such decisions might be made around a conference table. In Nokia's case, the meeting involved gathering about 100 engineers and product managers from offices as far-flung as Massachusetts and China in a hotel ballroom in Mainz, Germany, two people who attended the meeting recall.

Over three days, the Nokia employees sat on folding chairs and jotted notes on an array of paper easels. Representatives of MeeGo, Symbian and other programs within Nokia all struggled to make themselves heard.

"People were trying to keep their jobs," one person there recalls. "Each group was accountable for delivering the most competitive phone."

Key business partners were frustrated as well. Shortly after Apple began selling the iPhone in June 2007, chip supplier Qualcomm Corp. QCOM -1.29%settled a long running patent battle with Nokia and began collaborating on projects.

"What struck me when we started working with Nokia back in 2008 was how Nokia spent much more time than other device makers just strategizing," Qualcomm Chief Executive Paul Jacobs said. "We would present Nokia with a new technology that to us would seem as a big opportunity. Instead of just diving into this opportunity, Nokia would spend a long time, maybe six to nine months, just assessing the opportunity. And by that time the opportunity often just went away."

When Mr. Elop took over as CEO in 2010 Nokia was spending €5 billion a year on R&D—30% of the mobile phone industry's total, according to Bernstein research. Yet it remained far from launching a legitimate competitor to the iPhone.

Before the latest round of cuts, he said, the company was still struggling to focus on useful R&D. Mr. Elop has sifted through data and visited labs around the world to personally terminate projects that weren't core priorities—like one to help buyers in India link their phones to new government identification numbers.

Mr. Elop is refocusing around services like location and mapping, which came with the company's $8 billion 2008 acquisition of Navteq.

But he is having trouble rolling out products that catch on with consumers. Nokia's latest phone, the Lumia, has been well reviewed, but sales may suffer as consumers hold out for the next version of Microsoft's software, due later this year.

Jo Harlow, whom Mr. Elop appointed head of smartphones shortly after he became CEO, said Nokia will launch lower-priced Lumia devices in the coming months to better compete with aggressive Asian device makers such as China's Huawei Technologies. Ms. Harlow said the company is also "very interested" in entering the tablet market.

Mr. Elop has shaken up a sales and marketing department, replacing Chief Operating Officer Jerri DeVard and two other executives after the Lumia launch. In June, Mr. Elop picked Chris Weber, a 47-year-old former Microsoft colleague who had been running Nokia's North American effort, to take over. Ms. DeVard couldn't be reached for comment.

Nokia still is struggling to turn its good ideas into products. The first half of the year saw Nokia book more patents than in any six-month period since 2007, Mr. Elop said, leaving Nokia with more than 30,000 in all. Some might be sold to raise cash, he said.

"We may decide there could be elements of it that could be sold off, turned into more immediate cash for us—which is something that is important when you're going through a turnaround," Mr. Elop said.

Write to Anton Troianovski at anton.troianovski@wsj.com and Sven Grundberg at sven.grundberg@dowjones.com

 

 

 

 

한국어 번역본

 

By ANTON TROIANOVSKI and SVEN GRUNDBERG

노키아의 수석디자이너였던 프랭크 누오보는 10년여 전 이동통신사와 투자자들 앞에서 모바일인터넷의 미래를 예측한 프레젠테이션을 선보였다.

애플이 아이폰을 내놓기 7년여 전에 버튼 하나 위에 컬러 터치스크린이 있는 휴대전화를 선보인 것이다. 음식점을 찾고 레이싱게임을 하고 화장품을 주문할 수 있는 기기였다. 1990년대 후반 노키아는 비밀리에 또 하나의 제품을 개발했다. 인기상종가를 달리고 있는 애플 아이패드처럼 무선인터넷연결과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태블릿컴퓨터였다.

당시 슬라이드를 보면서 누오보는 “우리가 완전히 잡을 수 있는 시장이었는데”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들 기기는 출시되지 않았다. 연구개발에는 엄청난 돈을 들이면서도 제품출시기회를 낭비하는 노키아 기업문화의 희생양이 된 것이다.

1990년대 무선혁명을 이끈 노키아는 스마트폰 대중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지금, 노키아는 주가가 폭락하고 수천 명의 직원이 정리해고되는 가운데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내놓기 위해 고투 중이다.

14년 동안 세계 최대의 휴대전화 제조사였던 노키아는 올해 삼성전자에 1위 자리를 내주었으며 저가 휴대전화 제조사에 점유율을 빼앗기고 있다. 시장데이터업체 IDC에 따르면 2007년 말 40.4%라는 점유율을 누렸던 노키아의 올해 일사분기 휴대전화 시장점유율이 전년 동기의 27%에서 추가 하락한 21%를 기록했다고 한다.

금년 일사분기 재무보고서에서도 노키아가 처한 상황은 명백하게 드러난다. 3억4,440만 유로 이익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와는 달리 9억2,900만 유로 손실을 기록한 것이다. 매출은 29% 하락한 74억 유로였으며 휴대전화 판매대수는 24% 하락한 8,270만 대였다. 목요일 이사분기 재무성과를 발표할 예정인 노키아는 이미 휴대전화 사업부문 손실이 기대치보다 나쁠 것이라고 예고했다. 올해에만 64% 하락한 노키아 주식은 현재 1.37유로에 거래되고 있다.

Bloomberg
The new Nokia Lumia 900

지난 10년 동안 애플이 지출한 연구개발비보다 약 4배나 많은 400억 달러를 연구개발에 지출했음에도 노키아의 입지는 계속 좁아지고 있다. 휴대전화산업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예측했지만, 파벌싸움 때문에 개발노력이 분열되고 휴대전화를 시장에 출시하는 부문과 연구개발부문이 유리된 데 따른 결과이다.

베스트셀러 기기나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대신 연구개발에 돈을 뿌린 결과, 2개 이상의 개발중단된 운영체제와 60억 달러 규모의 특허만이 남게 되었다. 현재 특허가치가 노키아 시장가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테판 엘롭 최고경영자는 전세를 역전시킬 때까지 노키아를 연명시키기 위해 특허매각에 들어갈 예정이다.

“연구개발을 통해 개발된 기기들이 실제로 출시되었다면 노키아의 상황은 달라졌을 것이다”고 엘롭 최고경영자는 최근 인터뷰에서 말했다.

변동이 심한 휴대전화시장에서 길을 잃은 기업은 노키아 뿐만이 아니다. 블랙베리 덕택에 우위를 누려왔던 리서치인모션 역시 아이폰에 대적할 만한 기기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지난 5년 동안 리서치인모션의 시가총액은 약 90% 감소했으며 리서치인모션 최고경영자는 투자자들에게 회사가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설득 중이다.

시장을 파악한 제품을 개발하지 못한 리서치인모션과는 달리, 노키아는 오늘날 소비자들이 열심히 사들이고 있는 제품과 비슷한 종류의 기기를 개발했으나 출시하지 않았다. 아이폰이 스마트폰시장에 변혁을 가져온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일반 휴대전화로 중점을 변경하는 전략적 실수를 저지른 것이다.

“애플이 우리가 생각했던 개념의 제품을 내놓았을 때 마음이 아팠다”고 프랭크 누오보는 말한다. “아이폰이 고유한 개념이며 기기라는 말을 들을 때면 화가 난다.”

캐나다 출신으로 2010년 노키아 최초의 외국인 CEO가 된 엘롭 최고경영자는 시장우위 때문에 자기만족에 빠졌던 노키아의 집중력을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취임 직후 엘롭 최고경영자는 자체 스마트폰 운영체제 프로젝트를 폐기하고 윈도우 모바일 운영체제를 쓰겠다고 발표했다. 윈도우로 갈아탄 덕에 자체 운영체제를 고수할 때보다 훨씬 빠른 1년이라는 기간 내에 신규 라인 루미아를 출시할 수 있었다고 그는 말한다.

그러나 루미아폰은 저조한 매출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인 수치를 발표하지 않은 노키아는 4월에 초기 매출성과가 “반반”이라고 밝혔으며 2개월 후에는 예상했던 것보다 경쟁이 치열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6월 중순 엘롭 최고경영자는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한 17억 달러 비용삭감과 1만 명 직원감축을 발표할 수 밖에 없었다. 지난 주 일요일 노키아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루미아 가격을 반으로 깎았다.

[슬라이드쇼 보기]

노키아는 오랜 세월 동안 시장의 거대한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해 왔다. 1865년 제재소로 출범한 노키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력생산과 고무제품으로 사업부문을 다각화했다.

1980년대 말 소련이 무너지고 유럽 경기침체가 닥침에 따라 다양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말라붙으면서 노키아는 위기에 처했다. 시티뱅크 출신으로 1992년 취임한 요르마 올릴라 최고경영자는 휴대전화 집중전략을 펼치기 시작했다.

글로벌 휴대전화 수요를 다른 제조사보다 빨리 충족시키기 위한 물류전략의 일환으로 독일부터 중국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국에 노키아 공장이 지어졌다. 이익이 급증했으며 주가가 따라 오르면서 2000년 전성기 당시 노키아 시가총액은 3,030억 달러에 이르렀다.

핀란드에서 유명인사 반열에 오른 올릴라 최고경영자 등 고위임원이 음식점에 갈 때면 전용연회실을 요구할 때가 많았다고 한다.

올릴라 최고경영자는 취임 초기부터 노키아 차세대 혁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임원진은 통화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는 휴대전화가 2000년 즈음에는 수익성을 잃게 될 것이라 예측했다. 이에 따라 노키아는 모바일 이메일과 터치스크린, 빠른 무선통신망 연구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기 시작했다.

1996년 노키아는 자사 최초의 스마트폰 노키아 9000을 내놓으면서 이메일과 팩스, 인터넷기능이 있는 최초의 모바일기기라고 홍보했다. 중량은 450그램 가량이었다.

Dan Krauss for The Wall Street Journal
Frank Nuovo’s past Nokia cell phones.

2006년 최고경영자직에서 물러났으며 금년 5월 회장직에서 은퇴한 요르마 올릴라는 “스마트폰에 대해 정확하게 예측했었다. 업계보다 5년이나 빨랐다”고 말한다.

커뮤니케이터라고도 불린 노키아 5000은 영화 ‘세인트’에 등장했으며 일부 사업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기는 했으나 대중적 성공은 기록하지 못했다.

2004년 말 미국업체 모토로라는 얇은 휴대전화 레이저로 글로벌 히트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경쟁업체가 값비싸고 “기능이 별로 없는” 휴대전화시장을 잠식하고 있는데도 노키아가 고기능 스마트폰에 너무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고 비난했다.

최고재무관리자였다가 2006년 최고경영자 직에 오른 올리페카 칼라스부오는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 사업부문을 통합했다. 그 결과 수익성이 더 높은 일반 휴대전화사업이 스마트폰 사업까지 좌지우지하게 되었다고 임원들은 전한다.

2004년 노키아가 스마트폰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한 단체 회원이며 현재 벤처자본가로 활동하고 있는 야리 파사넨은 “노키아는 반대 방향으로 나아갔다. 일반 휴대전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다”고 말한다.

노키아 스마트폰은 일반소비자와 이동통신사가 준비도 되기 전에 너무 일찍 출시되었고 그 후 아이폰이 등장했다. 노키아는 아이폰의 위협을 인식하지 못했다.

노키아 엔지니어들이 내놓은 분석보고서는 아이폰 제조단가가 비싸며 노키아의 3G에 비해 원시적인 2G네트워크에서만 작동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고 한다. 한 보고서는 아이폰이 1.5미터 높이에서 전화기를 다양한 각도로 떨어트리는 노키아의 엄격한 “추락테스트”를 전혀 통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소비자들은 아이폰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2008년 노키아 임원들은 아이폰의 세련된 운영체제에 대항할 만한 운영체제를 내놓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노키아 스마트폰 대다수에 탑재되어 있던 구식 운영체제 심비안을 개선하려는 팀도 있었고 처음부터 운영체제를 새로 개발하려는 팀도 있었다.

당시 프로젝트 관계자에 따르면 두 팀이 사내에서 지원을 이끌어내고 고위임원의 관심을 받기 위해 경쟁했다고 한다. 이러한 경쟁은 노키아 연구개발에 있어 고질적인 문제였다.

“사내정치싸움에 디자인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고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수석디자이너로 근무했던 알레스테어 커티스는 말한다. “조직구조가 워낙 복잡했기에 일관적이고 미적인 경험을 완성해 내기가 어려웠다.”

2010년 외부개발자가 노키아 스마트폰에 호환되는 앱을 쉽게 개발하개 해주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세부사항에 대한 회의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이러한 의사결정이 회의실에서 이루어지지만, 노키아의 경우에는 엔지니어 100여명, 중국과 메사추세츠 등 각지에서 비행기를 타고 온 제품관리자들이 독일 호텔 연회장에 모여 회의를 벌였다고 한다.

회의가 진행된 3일 동안 직원들은 접이식 의자에 앉아 이젤에 메모를 했다. 각 프로젝트 대변인들은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경쟁을 벌였다.

“모두 자기 일자리를 지키려고 했다. 각 팀은 가장 경쟁력 있는 휴대전화를 내놓아야 한다는 책임을 맡고 있었다.”

핵심 협력업체들도 힘들기는 마찬가지였다. 애플이 2007년 7월 아이폰을 출시한지 얼마 후 칩공급업체 퀄컴은 노키아를 상대로 한 오랜 특허 법정전을 합의로 마무리짓고 프로젝트 협력을 시작했다.

Bloomberg
Nokia CEO Stephen Elop

폴 제이콥스 퀄컴 최고경영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2008년 노키아와 처음 협력하면서 놀랐던 점은 노키아가 다른 기기제조사에 비해 전략수립에 훨씬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사실이었다. 노키아에 큰 기회가 될 만한 새로운 기술을 보여주면 기회를 당장 포착하는 대신 6~9개월을 들여 기회를 평가했다. 그때쯤이면 이미 기회가 지나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010년 엘롭 최고경영자가 취임했을 때 노키아는 전체 휴대전화산업의 총 연구개발비 30%에 이르는 50억 유로를 매년 연구개발에 지출하고 있었음에도 아이폰에 대항할 만한 스마트폰을 내놓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비용삭감 결정이 있기 전부터 노키아는 유용한 연구개발에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엘롭 최고경영자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각국의 연구소를 방문해서 핵심우선순위가 아닌 프로젝트를 직접 폐기했다. 인도 소비자들이 정부 신규 식별번호에 휴대전화를 연결하게 해주는 프로젝트도 이중 하나였다.

엘롭 최고경영자는 2008년 80억 달러에 내브텍을 인수하면서 수중에 들어온 위치 및 지도서비스에 대한 집중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고객이 호응하는 스마트폰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신 스마트폰 루미아는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소비자들이 올해 말 출시예정인 윈도우 8을 기다림에 따라 매출이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엘롭 최고경영자 취임 직후 스마트폰 부서장으로 임명된 조 할로는 화웨이와 같은 저가스마트폰 제조사와 효과적으로 경쟁하기 위해 수개월 내에 루미아 저가라인을 출시할 예정이라 밝혔다. 또한 태블릿시장 진출에도 “매우 관심이 있다”고 한다.

엘롭 최고경영자는 루미아 출시 이후 제리 드바드 최고운영관리자 등 고위임원 3명을 해임하면서 영업 및 마케팅부서를 개편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출신으로 노키아 북미사업부문을 이끌던 크리스 웨버가 신임 최고운영관리자로 선임되었다. 드바드 전 최고운영관리자와는 연락이 닿지 않았다.

노키아는 여전히 좋은 아이디어를 제품화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엘롭 최고경영자는 올해 상반기 2007년 이래 최대 건수의 특허를 등록한 노키아가 3만 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일부는 현금확보를 위해 매각할 수 있다고 한다.

“특허 중 매각해서 현금화할 수 있는 것이 있다고 결정할지도 모른다. 재기를 위해서는 현금확보가 중요하다.”

설정

트랙백

댓글

1. [Beatles]Yesterday

 

 

설정

트랙백

댓글

오디오 듣기

 

Jong-un named a marshal, top military honor

Pattern follows past, but Songun policy is questioned
北 김정은 관련 갑작스런 '파격 발표' 뒤엔…  

July 19,2012

Kim Jong-un
Pyongyang awarded its second-highest military title, marshal, to new leader Kim Jong-un, accelerating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the young leader’s power.

The North’s official state media - Korean Central Television, the Korean Central News Agency and the Pyongyang Broadcasting Station - yesterday issued an “important announcement” at noon signaled in advance by news alerts.

“A decision was made to award the title of marshal to Kim Jong-un,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the Korean Central News Agency said in a report.

His promotion came in the middle of a surprise military reshuffle reportedly led by the ruling Workers’ Party and Kim.

Ri Yong-ho, the high-profile chief of the general staff of the North Korean army, suddenly lost all his posts on Sunday. Two days later, a little-known four-star general, Hyon Yong-chol, was promoted to vice marshal, raising speculation that he might replace Ri.

The highest military rank, grand marshal, has been bestowed on only two people: North Korea’s founding leader Kim Il Sung and his son and successor Kim Jong-il.

The former was given the title in 1992, two years before he died. Kim Jong-il was named grand marshal in February, two months after he died.

Aside from members of the Kim dynasty, three other men have been named marshal in the past. Two of them, former Japanese guerrilla fighters with founder Kim Il Sung, have died. Ri Eul-sol, a 91-year-old former guerilla and bodyguard of Kim Il Sung, is alive.

Kim Jong-un’s promotion is reminiscent of his father’s, according to Kim Min-seok, spokesman of the National Defense Ministry of South Korea.

“The late leader Kim Jong-il was awarded the title ‘supreme commander’ in 1991, and a year after, he was given the rank of ‘marshal,’?” Kim said. “Jong-un was promoted to supreme commander in 2011 and became a marshal within a year.”

Jong-un was made a four-star general in September 2010 during a ruling party conference. Technically, in order to become a marshal, he should have been given the rank of vice marshal first, but he skipped that step.

The regime currently has 21 four-star generals and nine vice marshals, including the newly promoted Hyon.

Analysts said Kim is trying to strengthen his grip on the military with his promotion.

“In such a sensitive situation, when the dismissal of Ri Yong-ho could trigger turmoil in the military, the regime is trying to stabilize Kim’s control over the army,” Cheong Seong-cheang, a senior fellow at the Sejong Institute, said. “The rank of marshal that he was awarded yesterday is a bit different from what the others have been given. Pyongyang called it ‘marshal of the DPRK [the acronym for the full name of North Korea]’ not just of the military, which means he is the top military official controlling the whole nation.”

Kim Yeon-chul,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Korean Unification of Inje University, said that Jong-un is apparently widening the power of the ruling party and curbing that of the military.

“Under former leader Kim Jong-il, the military was strong because of his Songun or ‘military first’ policy,” Kim said. “Ri Yong-ho played a pivotal role in stabilizing the rule of the young leader during the sensitive succession period, but Kim doesn’t need him any more. Kim wants to boost the local economy, and to do that, he needs to rein in the powerful military first.”

The regime’s priority will not be “military first” but “party first,” he added. “Personnel matters will be dealt with by the two political heavyweights, Kim’s uncle Jang Song-thaek and General Political Bureau Chief Choe Ryong-hae.”

By Kim Hee-jin [heejin@joongang.co.kr ]

Source : http://koreajoongangdaily.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56470&cloc=joongangdaily|home|top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고유명사에는 원칙적으로 관사를 붙이지 않지만 아래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보시면 일부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Articles with Miscellaneous Proper Names

This material contains a list of topically grouped proper names, such as names of schools, organizations, companies, buildings, places of interest, awards, nationalities, illustrating the use of articles.

Note: Articles with geographic names and personal names are described in Articles: Geographic Names and Articles with People's Names in the section Grammar.

 

Schools, colleges, universities, academies

No article:

Lincoln Elementary School, Ford High School;

Amherst College, Barnard College, Boston College, Teachers College;

Cambridge University, Chicago State University, Columbia University, Harvard University, London University, Moscow State University, Ohio State University, Oxford Un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Rockefeller University, Stanford University, Yale University.

But: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the John Hopkins University, the Sorbonne.

Article th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the University of Chicago,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the Harvard School of Business, the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 the Julliard School of Music, the Mayo School of Medicine;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the College of the Holy Cross;

the Royal Academy of Art,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the U.S. Military Academy.

 

Organizations, government, committees, parties, associations, foundations, clubs

Article the:

the United Nations (the UN),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ut: Congress), the Senate,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Parliament of Great Britain (but: Parliament), the House of Commons, the House of Lords;

the European Parliament, the British Parliament, the Irish Parliament, the Swedish Parliament;

the Reagan Administration (but: Reagan's Administration), the Bush Administration (but: Bush's Administration);

the Finance Committee, the Judiciary Committee, the Department of Commerce,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the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the FBI);

the Republican Party, the Democratic Party, the Socialist Party;

the Canadian Library Association, the Teachers' Association,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the NBA), the American Automobile Association (the AAA);

the Ford Foundation, the Rockefeller Foundation,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the IMF), the World Wildlife Fund (the WWF);

the Kennel Club, the Cotton Club, the Rotary Club, the nuclear club.

 

Companies, corporations, businesses, firms

No article:

Ford, General Motors,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IBM), Microsoft, Mitsubishi, Samsung Electronics, Citibank, Time Warner Inc., British Telecom, McDonald's, Sears, Procter and Gamble, Estee Lauder Inc.

Article the:

the Ford Motor Company, the Mitsubishi Manufacturing Company, the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the World Bank, the Bank of New York.

 

Museums, galleries, monuments, memorials, cathedrals, palaces, places of interest

Article the:

the Louvre Museum, the British Museum, the Vatican 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he Prado Museum, the Hermitage (Museum), the Pushkin Museum, the Historical Museum;

the National Gallery, the Tate Gallery, the Tretyakov Gallery;

the Washington Monument, the Lincoln Memorial, the Statue of Liberty, the Tomb of the Unknown Soldier;

the Pyramids, the Colosseum / the Coliseum, the Parthenon, the Taj Mahal, the Kremlin, the Great Wall of China;

the Cathedral of Notre Dame de Paris, the Cathedral of Saint Basil;

the Palace of Versailles, the Palace of Heavenly Purity, the Forbidden City.

No article:

Stonehenge, Buckingham Palace, Westminster Palace;

Saint Peter's Basilica, Saint Paul's Cathedral, Canterbury Cathedral, Westminster Abbey.

 

Halls, centers, buildings, houses, towers, theaters, libraries

No article:

Carnegie Hall, City Hall, Avery Fisher Hall, Radio City Music Hall;

Rockefeller Center, Lincoln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Epcot Center.

Article the:

the Royal Albert Hall, the John Hancock Center, the Kennedy Center of the Performing Arts, the Kennedy Space Center, the Civic Center.

the Empire State Building, the Chrysler Building, the Seagram Building, the Capitol (Building);

the Houses of Parliament, the Sydney Opera House, the Metropolitan Opera House;

the Sears Tower, the Eiffel Tower, the Tower of London, the Leaning Tower of Pisa;

the Bolshoi Theatre, the Moscow Art Theatre, the Apollo Theater;

the Library of Congress, the New York Public Library, the British Library, the Bibliotheque Nationale, the Lenin Library.

 

Parks, national parks, amusement parks, gardens, squares

No article:

Gorky Park, Central Park, Hyde Park, Yellowstone National Park, 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 Grand Canyon National Park;

Disney World, Disneyland, Europa Park;

Saint Peter's Square, Red Square, Trafalgar Square, Times Square, Union Square, Harvard Square.

But: the Cathedral Square.

Article the:

the Botanical Gardens, the Brooklyn Botanic Garden, the Longwood Gardens, the Montreal Botanical Garden, the Arnold Arboretum, Tivoli / the Tivoli Gardens.

 

Bridges

Article the:

the Brooklyn Bridge, the George Washington Bridge, the Verrazano-Narrows Bridge, the Golden Gate Bridge, the Albert Bridge.

No article:

London Bridge, Tower Bridge, Waterloo Bridge, Westminster Bridge.

 

Airports

No article:

Heathrow Airport, Charles de Gaulle Airport, Schiphol Airport, Frankfurt International Airport,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 Kennedy Airport.

Article the:

the John F. Kennedy International Airport, the Los Angeles International Airport, the Sheremetyevo International Airport.

 

Hotels

Article the:

the Hilton Hotel, the Sheraton Hotel, the Plaza, the Hotel California, the Waldorf-Astoria Hotel, the Ambassador Hotel.

But: Holiday Inn.

 

Newspapers, magazines

Newspapers, Article the:

The New York Times, The Washington Post, The Wall Street Journal, The Boston Globe, The Daily Telegraph, The Guardian, The Observer.

the Los Angeles Times, the Financial Times, the New York Post, the Daily News, the Chicago Tribune, the San Francisco Chronicle.

But: USA Today.

Magazines, No article:

Newsweek, Time, Reader's Digest, National Geographic, Sports Illustrated, PC World, Classic Rock, Mad.

Good Housekeeping, Better Homes and Gardens, Harper's Bazaar, Canadian Living, Cosmopolitan, Vogue.

But: The New Yorker, The Economist.

Note:

The definite article is part of the name: The New York Times. The definite article is not part of the name: the Los Angeles Times.

 

Conferences, documents

Article the:

the Washington Summit, the Moscow Summit, the Yalta Conference;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 the UN Charter, the Helsinki Accords,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 the U.S. Constitution, the Bill of Rights;

the Truman Doctrine (but: Truman's program).

 

Prizes, awards

Article the:

the Nobel Prize,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the Nobel Prize for Peace;

the Pulitzer Prize, the Pulitzer Prize for Music, the Academy Awards, the Academy Award for Best Actor, the Grammy Award, the Tony Awards;

the Order of Suvorov, the Order of the Red Banner, the Order of Friendship, the Medal for Valour.

Note:

the + name of the award = the name of the award. Examples: Max Planck received the Nobel Prize for physics in 1918. Bertrand Russel received the 1950 Nobel Prize for literature. Oliver Stone received the Academy Award for best screenplay in 1978.

a/an + name of the award = one of such awards. Examples: Mary Pickford received a special Academy Award in 1976. Jack Nicholson won an Academy Award for best actor for his performance in the film 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Holidays

No article:

Christmas, Chrismas Eve, New Year's Day, New Year's, New Year's Eve, Saint Patrick's Day, Easter, April Fools' Day, Mother's Day, Memorial Day, Independence Day, Labor Day, Halloween, All Saints' Day, Veterans Day, Thanksgiving, Mardi Gras.

But: the Fourth of July, the Cherry Festival, the Jazz Festival.

 

Languages

No article:

German, Italian, Russian, Korean, English, Spanish, Danish, Swedish, Polish, French, Dutch, Arabic, Greek, Chinese, Japanese, Hindi, Latin;

British English, American English, Australian English, Canadian English.

But: the English language, the French language, the Russian language, the Arabic language, the Chinese language, the Greek language.

Examples: Canada has two official languages, English and French. Do you speak Spanish? Diana is studying th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Nationalities, population, inhabitants of countries and cities

Singular, Article a/an (in general):

an American, a Belgian, a Canadian, a German, an Italian, a Mexican, a Russian, a Californian, a Texan;

an Englishman, an Englishwoman, an Irishman, an Irishwoman, a Frenchman, a Dutchman;

a Greek, a Spaniard, an Arab, a Dane, a Swede, a Finn, a Pole, a Turk, an Israeli, a Swiss, a Chinese, a Japanese, a Portuguese, a Vietnamese.

a Bostonian, a Parisian, a Chicagoan, a Londoner, a New Yorker, a Los Angeleno, a Denverite.

Examples: There are two Mexicans, a Greek, and a Chinese in Tom's class. Article the (if specific): Juan is the Mexican I told you about.

Plural, No article (in general):

Europeans, Africans, Asians, Australians, Americans, North Americans, South Americans, Latin Americans, Hispanic Americans, African Americans, Chinese Americans;

Belgians, Canadians, French Canadians, Germans, Italians, Russians, Ukrainians, Englishmen, Irishmen, Frenchmen, Californians, Texans;

Bostonians, Parisians, Chicagoans, Londoners, New Yorkers, Los Angelenos, Denverites.

Examples: French Canadians constitute about 80 percent of the population of Quebec. Germans and Norwegians began to settle in Minnesota in the 19th century. Italians love festivals.

Plural, Article the (to single out as a group of people):

the Arabs, the Danes, the Swedes, the Finns, the Greeks, the Poles, the Turks, the Israelis, the Italians, the Russians.

Examples: The Danes constitute about 95 percent of the population of Denmark. The Italians were the first nation in Europe to develop nutritious and tasty cuisine that required little cooking time.

 

People collectively, Article the + adjective:

Meaning: the British = the British people, the Chinese = the Chinese people.

the British, the English, the Irish, the Spanish, the French, the Dutch, the Swiss;

the Chinese, the Japanese, the Lebanese, the Portuguese, the Vietnamese.

Examples: The French started to settle in Quebec in the 17th century. New York was settled by the Dutch in the 17th century. The Statue of Liberty was a gift from the French people to the American people.

BE + adjective, No article: Alicia is Spanish. Anthony is English. Karen is German. Takeshi is Japanese. Gabrielle and Gaston are French. Olga, Tanya, and Ivan are Russian.

 

Note: Typical use in conversation

Karen is from Germany. John is from Ireland. Tom is from the United States. Gabrielle and Gaston are from France. I'm from Russia.

Alice is from Boston. Marie is from Paris. Kevin is from Texas.

Alicia is Spanish. Giuseppe is Italian. Andre is French. Mary and John are Irish. Mr. and Mrs. Suzuki are Japanese. I'm Russian.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news.donga.com/3//20090706/8752055/1

 



《해외 어학연수 또는 영어캠프 경험이 없는데도 영어 실력이 뛰어난 학생이 적지 않다. 이런 ‘토종파 학생’ 중엔 ‘영어책 다독(多讀)’으로 실력을 쌓은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영어평가 방식이 여러 분야에 걸쳐 쌓은 배경지식을 묻는 영어 인터뷰, 에세이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영어책 읽기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영어책은 읽기 실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말하기, 쓰기에 활용할 좋은 표현까지 익힐 수 있어 1석 3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양한 분야에 대한 배경지식까지 넓혀주기 때문에 단순한 글쓰기를 넘어 논술, 에세이 작성 실력을 키우는 데도 효과적이다. 다가오는 여름방학은 그동안 미뤄뒀던 영어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수준에 맞는 영어 동화책이나 영어 소설을 선택하고, 체계적으로 영어 실력을 쌓는 방법을 알아보자.》

영어책 READING 무조건 다독?
수준에 딱맞는 책 골라야 흥미가 오래오래∼

처음엔 스토리북, 낯선 단어는 먼저 뜻 유추… 읽은 뒤엔 반드시 독후감… 중학생은 영어백과사전으로 배경지식도 함께




● 학습목표·주제·소재 고려해 영어책 선택

영어책은 문학, 사회과학, 예술 등 분야와 주제, 평소 관심 있는 소재를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좋다.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어야 균형 있게 지식을 쌓을 수 있고, 흥미를 유지하며 책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영어책 읽기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분량이 적고 단어 수준도 어렵지 않은 스토리북 위주로 선택해 읽는 것이 좋다. 처음엔 200자의 책을, 그 다음엔 400자, 500자, 1000자의 책으로 점차 수준을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책 읽기에 익숙지 않은 학생이라면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 위주로 책을 골라 읽도록 한다. 선택한 책의 아무 페이지나 펼친 다음 보이는 100∼200개 단어 가운데 모르는 단어가 7개 이하라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책을 골랐다고 보면 된다.

새로운 어휘를 발견하면 사전을 바로 찾지 말고 문장을 서너 번 천천히 읽으며 문맥에서 단어의 뜻을 유추하는 식으로 책을 읽어야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해리포터 시리즈를 무턱대고 펼치는 건 금물이다. 자신의 실력에 맞는 책을 읽으면서 원서를 읽는 즐거움을 먼저 느껴야 영어책 읽기를 이어나갈 수 있다.

연령대별로 적절한 어휘 수는 스스로 단어를 읽을 수 있는 초등학교 3, 4학년이라면 400개, 어느 정도 영어 실력을 쌓은 5, 6학년이라면 1200개 정도가 적당하다. 미국의 뉴베리 수상작이나 미국 교사협회가 선정한 도서 위주로 골라 읽으면 도움이 된다. 책을 읽을 때 이해를 도와주는 삽화의 비중은 4, 5학년의 경우 50% 정도, 6학년 이상은 40%, 중학교 이상은 30% 정도가 좋다.

중학생은 일반적으로 1500개 정도의 단어로 구성된 스토리북을 읽는 것이 좋다. 특목고나 국제고, 민족사관고 등을 목표로 영어 에세이 실력을 쌓고자 하는 중학생이라면 영어 백과사전을 보며 배경지식을 쌓는 게 도움이 된다.

청소년용 영어 백과사전은 문장의 수준이 그리 높지 않으면서도 학생들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로 구성돼 있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문장 완성도도 높기 때문에 문장을 여러 번 소리 내 읽거나 에세이를 쓸 때 좋은 표현을 활용하면 말하기·쓰기 실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 수준에 맞는 독서 계획을 세워라

방학 동안 달성할 수 있는 독서 목표와 계획을 세우면 더욱 체계적으로 영어책을 읽을 수 있다. 목표를 방학 한달 간 30권으로 정했다면 독서 계획은 하루에 한 권씩, 600자 단어의 영어책을 읽겠다는 식으로 구체적으로 짜야 한다.

‘영어 완전 정복’이란 목표를 두고 책을 읽다보면 며칠이 지나지 않아 포기하기 쉽다. 영어에 대한 흥미 자체를 잃을 수도 있으므로 무리한 독서계획은 세우지 않도록 한다.

특히 국제중 또는 특목고, 영어토론대회, 에세이 실력 향상을 목표로 한 학생이라면 독서기입장이나 독서목록표를 만들어 이미 읽은 책, 앞으로 읽을 책을 꾸준히 기록해 나가는 방식으로 균형 잡힌 독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독서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실천에 옮긴다면 방학이 끝난 후에는 시작할 때보다 영어에 대한 감각과 단어의 뜻을 유추하는 능력이 향상됐음을 느끼게 된다.

영어책을 읽으며 다양한 학습활동을 병행하면 영어 실력을 쌓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방학 동안 자신이 읽은 독서 이력을 쭉 적어보면 읽기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독서목록표를 만들어 읽은 책 제목과 작가, 내용을 짧게 정리해 놓는 것이 좋다. 영어책은 여러 번 반복해 읽어야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독서목록표에 같은 책을 몇 번 읽었는지도 표시해 놓도록 하자.

책을 읽다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3∼5회 반복해 읽으며 단어의 뜻을 유추해 본다. 그래도 이해가 되지 않는 단어는 따로 노트를 만들어 정리해 사전에서 그 뜻과 발음, 문장 내 쓰임새 등을 찾아 기록한다. 이렇게 정리한 나만의 단어장은 매일 반복해서 들여 다 보며 자기 것으로 만들도록 한다. 포스트잇에 모르는 단어와 그 뜻을 정리해 놓고 해당 페이지에 붙여 놓는 것도 방법.

읽기 속도를 높이고 싶다면 1분 동안 읽은 단어 수를 확인해 책 밑 부분에 기록하는 ‘1분 리딩 훈련’을 꾸준히 하도록 한다. 분당 읽는 단어 수를 점차 늘려나가는 것이 핵심. 영어 교육전문가들이 권하는 이상적인 읽기 속도는 분당 약 180개 단어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고생 평균 읽기 속도는 분당 70개 정도다.

쓰기 실력 향상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영어책을 다 읽은 뒤 독후감을 쓰는 것이 좋다. 책을 읽은 다음 단락의 내용을 영어로 요약하거나 새롭게 배운 사실 세 가지 정도를 영어로 써보자. 어느 정도 실력을 쌓은 학생이라면 줄거리 요약에서 벗어나 책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에 딸린 오디오북을 자주 들으며 큰 소리로 따라하는 연습을 하면 말하기, 듣기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큰 소리로 따라 읽는 연습은 발음교정에도 효과적이다.



● 영어책, 마음껏 누리려면?

대형 서점이나 온라인 서점, 영어교육 사이트에는 영어도서 코너가 따로 마련돼 있어 원하는 책을 쉽게 구입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사이트에는 수준별 도서, 연령별 영어 학습 방법 같은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오프라인 도서관을 찾아 무료로 영어책을 빌려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 가면 외국 아동 자료실과 청소년 자료실에 영어 동화책을 비롯한 외국 교과서 등 1만여 권의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다. 대출은 할 수 없지만 홈페이지에서 미리 예약하면 이용이 가능하다. 마포구, 서초구 등에도 어린이 또는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영어도서관이 잘 갖춰져 있다.

▶자세한 설명은 easynonsul.com

최병길 확인영어사 콘텐츠연구소 이사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SHIRLEY GRIFFITH: This is SCIENCE IN THE NEWS in VOA Special English. I’m Shirley Griffith.
 
BOB DOUGHTY: And I’m Bob Doughty. Today, we will talk about diet and weight loss. Exercise is important if you want to get in good shape. But experts say exercise alone is not enough if your goal is to lose weight.
 
(MUSIC)

SHIRLEY GRIFFITH: It is that time of year again! Warm weather has returned to Earth’s northern hemisphere. Summer is a time when people of all ages feel like getting their swimwear and going to the nearest swimming pool or seashore. But first, there is that troublesome little thing called winter weight gain. Many of us gain weight because of inactivity during the winter.
 
Some people go to extremes to lose that extra weight before going to the beach. In the weight loss industry, there is never a lack of ideas about how to lose weight. Consider the sleeping beauty diet, where you sleep your way to weight loss. You cannot eat if you are sleeping, or so the theory goes. Then there is the tapeworm diet. The tapeworm is said to help people lose weight by eating the food that is stored in their stomach. But first you have to be willing to swallow the little creature. This may be more trouble than many people want.
 
Strange, new diets, treatments and exercise programs arrive on the market every day. Each one promises to help people lose weight and get a beach beautiful body. The weight loss industry takes in billions of dollars each year, and it is growing.

BOB DOUGHTY: One research company says the weight loss business will be worth more than five hundred eighty billion dollars worldwide by the year twenty fourteen. MarketsandMarkets also says the food and drink market represents the largest part of that growth. It is expected to reach more than three hundred fifty five billion dollars by twenty fourteen.
 
There is a seemingly endless supply of ideas about how to lose weight. There are low-carbohydrate diets and low-fat diets, diets that limit calories and ones that let you eat as much as you want. And, there are thousands of different kinds of diet pills and programs. So where does one begin? Which one is best?
 
SHIRLEY GRIFFITH: Experts say there is no single diet plan that works best for everyone. Many experts agree on one thing: that to lose weight, you must use or burn off more calories than you take in. When you eat more calories than your body needs, it stores that extra energy as fat.
 
Calories are a measure of energy in food. A pound of fat is equal to about four hundred fifty three grams or three thousand five hundred calories. To lose that fat in a week, you have to burn off at least that amount in calories or eat that much less. The best thing to do is to combine both ideas. Eat fewer calories and increase physical activity so that you burn off more.
 
America’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has suggested that women limit calories to no less than one thousand two hundred calories a day without medical supervision. It also says men should have no less than one thousand five hundred calories. Debate continues about the best way to fill those calorie requirements.
 
(MUSIC)
 
BOB DOUGHTY: For years, eating a diet low in fat was said to be the best way to lose weight. A low-fat diet is one in which less than thirty percent of a person’s daily calorie intake comes from fat.
 
Dean Ornish developed one of the most popular low fat diets after years of research on ways to control heart disease. His dietary ideas were first published in the medical journal The Lancet in nineteen ninety. The Ornish diet plan became more popular in nineteen ninety-three with the release of his book “Eat More, Weigh Less.”
 
Dr. Ornish studied the effects of carbohydrates –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energy for the body. He found that carbohydrates were not to blame for making people fat. Instead, he said, fat makes people fat. He noted that a baked potato is not high in fat, but it becomes fatty when people add sour cream and butter to it.
 
Dr. Ornish’s diet plan limits daily calories from fat to less than ten percent, with little to no saturated fat or cholesterol. He also suggested that people get seventy to seventy-five percent of their calories from complex carbohydrates, and fifteen to twenty percent from proteins.
 

The screen o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displays a calorie counter
​​SHIRLEY GRIFFITH: Like other low-fat diets, the Ornish plan suggests that people eat diets high in whole grains, fruits, vegetables, beans and other legumes. The plan advises people to avoid all meat and meat products, and to stay away from oils, nuts and seeds. It does not limit the number of calories people eat. But, eating the foods suggested by the diet plan would reduce the number of calories.
 
The Ornish diet has proved to be effective for many people. However, critics say it lets dieters eat too many carbohydrates while setting restrictions on calories from fat. They also say the changes required in eating habits may be too extreme for many people to follow.
 
(MUSIC)

BOB DOUGHTY: Unlike the Ornish diet, low carbohydrate diets limit foods that are high in carbohydrates. These diets advise people to avoid things like white flour, pasta, rice, potatoes and foods high in sugar. Instead they suggest that people eat foods that are high in proteins and fats. These include foods like meat, fish, chicken, eggs, cheese and nuts.
 
The Atkins diet is one of the most popular of these diets. It suggests that people eat fewer than twenty grams of carbohydrates a day. This amount is slowly increased to forty to between forty and one hundred grams of carbohydrates a day to keep the weight off.

SHIRLEY GRIFFITH: Both weight loss plans have been carefully studied over the years. But, no one plan has come out as a clear winner. In two thousand eight, a study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found low-carb diets to be the best at providing the most weight loss. The study was led by researchers at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 Boston and Ben Gurion University in Israel.
 
The researchers studied more than three hundred obese patients who followed one of three diet plans. These included a low-fat diet, a low-carb diet and a Mediterranean diet, which is made up of fruits, vegetables, lean proteins, olive oil and nuts.
 
BOB DOUGHTY: A similar study published a year later looked at more than eight hundred dieters. The study found that low fat diets and high fat diets were equally successful at providing and maintaining weight loss over a two year period. The researchers conclud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ny diet is that people stick with it. And you must burn more calories than you take in no matter what you eat.
 
(MUSIC)

​SHIRLEY GRIFFITH: Some people are unable to lose weight through diet and exercise, no matter how hard they try. Others are just not willing to put in the effort. Many of these people choose to have surgical operations to reach their weight loss goals.
 
One kind of weight loss surgery reduces the size of the stomach. This is done by separating the stomach into two parts, including a very small section at the top. People who have had this operation are forced to eat smaller amounts of food because their top stomach fills up much faster. Research suggests that most people lose about half of their overweight pounds in the first year after surgery. However, a large number of people regain the weight in three to five years.
 
BOB DOUGHTY: Another report suggests similar results for a different popular weight loss surgery. Liposuction has been widely used since the nineteen seventies to improve the body’s appearance. It improves body shape by removing fat from certain parts of the body. The most common areas are the stomach, waist, hips, thighs, neck and arms.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says liposuction is the most popular form of cosmetic surgery worldwide.

Recentl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found that the effects of the surgery may not be long-lasting. They said people who have liposuction usually experience weight gain within one year after the surgery. And the fat that comes back reappears in a new area of the body, most noticeably the shoulders, arms and upper abdomen. The researchers say this is one more reason to try to prevent obesity before it happens.
 
(MUSIC)
 
SHIRLEY GRIFFITH: This SCIENCE IN THE NEWS was written and produced by June Simms. I’m Shirley Griffith.
 
BOB DOUGHTY: And I’m Bob Doughty. Join us next week for more news about science in Special English on the Voice of America.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번역가가 되려는 P에게 건네는 편지


번역가가 되려는 P에게,


무척 오랜만에 편지를 띄우는 것 같군요. 날도 쌀쌀하고 분위기도 가라앉은 연말입니다. 노동 시장도 꽁꽁 얼어붙은 마당에 신종 플루까지 가세하여 젊은이들 기를 꺾어놓는군요. 부디 몸 건강히 지내기를 바랍니다


오늘 이렇게 오랜만에 펜을 든 것은 P에게 건네주고 싶은 이야기가 생각났기 때문입니다. 내가 처음 편지를 건넨 지도 1년이 훌쩍 넘었으니 이제 P가 공부 시작한 후로 적지 않은 시간이 흐른 듯하군요. 아마 이쯤 되면 마음을 늘 따라다니는 고민이 하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이것이지요. '내가 번역가가 될 정도로 재능이 있는 건가?'


이것은 어떤 분야에서나 흔히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어릴 적부터 재주가 남다른 사람이라면 자신이 무엇을 잘하는지 대개 잘 알기 때문에 이런 고민을 그다지 하지 않을지 모릅니다. 문제는 그렇게 눈에 띌 정도는 아니지만 소중한 재능을 숨기고 있는 사람들이지요. 이런 사람들은 자기 재능이 무엇인지 잘 모르기 쉽습니다.


이런 현상은 또 우리 교육과도 연관이 있지요. 한국은 아직까지도 자신이 잘하고 좋아하는 것을 장려하기보다는 '이것을 해야 한다'식으로 밀어붙이는 교육이 대세인 듯하니까요. 이런 분위기에서 자라다 보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재능을 키우기보다는 시키는 일을 하는 데 익숙해지고 그 과정에서 차차 자신의 기호와 재능에 무감각해지게 됩니다.


자기가 무엇을 좋아하고 잘하는지 아직 잘 모른다 하더라도 너무 자책하지 마세요. 이제부터 찾아나가면 됩니다. 평생 찾지 못하고 '타인의 삶'을 살다가 가는 사람도 많지 않던가요.


그렇다면 문제는 자기가 번역에 잘 맞는지, 번역에 필요한 재능이 있는지 어떻게 해야 알 수 있는가, 그것입니다. 이 의문의 답은 사실 아주 간단합니다. 그 일에 일정 기간 푹 빠져보면 됩니다.


저는 명상을 한 지 10년이 조금 넘었지만 아직도 이 길이 제가 찾는 그 길인지 잘 모릅니다. 그런 저에게 가끔은 자신의 길을 권해주는 분들이 계시지요. 선한 의도로 자신의 길을 권해주니 고마운 일입니다만, 저는 그 분들의 제안을 완곡하게 거절하는 뜻으로 이렇게 대답합니다.


"저는 아직 제가 선택한 이 길도 제대로 시도해보지 못했습니다. 사람이 어떤 길이 자신에게 맞는지 아닌지 판단하는 데도 최소한 일정 수준으로 시도해보아야 하지 않던가요. 저는 아직 그 단계도 오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길에 눈길을 줄 여유가 없습니다. 우선 이 길부터 좀 더 걸어가봐야 합니다."

 

물론 내가 고민하는 문제와 P가 고민하는 문제는 조금 다릅니다. 나는 재능과 별로 상관없이, 이것이 내가 찾는 길인지 궁금한 것이고 P는 자신에게 이 길을 걷는 데 필요한 재능이 있는지 궁금한 상황이니까요. 그렇다 하더라도 기본은 같습니다. 어떤 일이 자신에게 맞는지 알아보려면 최소한 일정 기간 그 일에 투신해보아야 합니다. 그러지 않은 상태에서 포기한다면 결국 늘 그 일이 가슴에 응어리처럼 남습니다.


이렇게 투신해보고 나면, 우선 자신이 그 일을 좋아하는지 어느 정도 느낄 수 있습니다. 또 실제로 그 일을 해보는 과정에서 자신의 성향과 맞는지도 조금은 알 수 있지요.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자신에게 이 일에 필요한 재능이 있는지도 느낄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을 판단할 때는 냉정해져야 합니다. 자신이 이 일과 관련해서 과연 얼마나 준비했고, 하루에 몇 시간이나 투자해서 현재까지 얼마나 발전했는지 따져봐야겠지요.


예를 들어 평소 책도 많이 읽지 않은 사람이 하루에 두세 시간 번역 공부해서 1년 안에 번역가로 데뷔하겠다는 생각은 무척 야무진 꿈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경우도 재능이 특별한 사람이라면 가능할지 모르지만, 그런 특별한 경우를 일반론으로 이야기해서는 안 되겠지요. 아마도 평소 책을 좋아해서 늘 곁에 두고 읽고, 글쓰기를 좋아해서 이제까지 써둔 일기를 모으면 책 몇 권은 되며, 자기가 번역하려는 외국어 소설도 큰 무리 없이 읽을 정도로 이미 준비한 사람이라면 1년이라는 시간에 어느 정도 판단이 설 듯합니다. 이런 기본이 아직 부족한 상태라면, 재능을 이야기하기 전에 독서하고 느끼고 생각하고 써보는 시간부터 만들어야겠지요. 하루에 매일 3시간 정도 독서와 쓰기 등에 할애해서 10년이 지난 사람과, 같은 기간에 이것을 별로 하지 않은 사람이 똑같이 1년 만에 실력이 는다고 한다면 거짓말일 것입니다. 냉정하게 판단하라는 말은 이제까지 자신이 읽고 쓰는 데 투자한 시간까지도 따져보라는 뜻입니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실력을 판단할 때는 혼자서 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 그 중에도 특히 조금 경험 있는 선배의 말을 들어보는 편이 좋습니다. 스스로 점검해보는 한 가지 방법은 1년 전에 번역해본 텍스트를, 과거에 번역한 문장을 보지 않고 다시 번역한 뒤 서로 비교해보는 것입니다. 둘을 비교했을 때 1년 후의 번역이 한결 낫다면, 적어도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겠지요. 1년간 전혀 나아진 것이 없다면, 무엇이 문제인지 점검해봐야 할 것입니다. 이 두 개의 번역본을 선배나 주변 사람(글을 볼 줄 아는 사람이 좋겠지요)에게 보여주고 의견을 들어볼 수도 있겠군요. 이렇게 하면 하루에 몇 시간이나 투자해서 얼마나 발전했는지, 흐릿하게나마 느낌이 올 것입니다.


깔끔하게 포기한다는 표현이 다소 경박할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미련 남기지 않고 그만두려면 미쳐봐야 합니다. 자나 깨나 그 일이 마음에서 떠나지 않도록 온 마음을 그 일로 채울 정도로 거기에 빠져봐야 하지요. 그것도 일정 기간 동안. 내 생각에 직업을 결정하는 일처럼 일생에 중요한 선택을 할 때라면 최소한 1년 정도는 부딪혀봐야 할 듯합니다. 더구나 번역처럼 기존 교육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분야라면 그 기간으로도 부족할지 모르지요. 솔직하게 말해서 실제로 그 일을 전문적으로 하기 시작하고 3-4년 정도가 지나야 비로소 앞으로도 오래도록 해야 할지 아닐지 어느 정도 판단이 설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재능이 있느냐와는 다른 문제이겠지요.

 

치열하게 도전해본다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하다면 마츠모토 타이요의 만화 <핑퐁>을 추천합니다. 운동선수가 되려면 아마도 번역가가 되려고 할 때보다 재능이 더 필요할 테지만 (운동선수로 먹고살려면 전국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가 돼야 하니까요) 이 책을 읽으면서 기본 자세는 느낄 수 있을 듯합니다. 

 

번역가가 된다는 것, 번역가로 살아간다는 것은 멋지기만 한 일은 분명 아닙니다. P가 이 길을 도전해보려고 하는 까닭이 장밋빛 환상 때문이라면, 번역가가 되고 나서 매우 실망할지도 모르지요. 그렇지만 모두가 빨리빨리를 외치며 앞다투어 달려가려고만 하는 이런 시대에, 돈이 최고의 가치로 공공연히 인정받는 어두운 시절에, 남들을 쫓아가기보다 자신의 길을 가려고 도전하는 그 모습에서, 나는 가녀린 희망을 봅니다. 부디 스스로 납득하기 전에 쉽게 포기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러고 나서 남는 것은 후회와 미련뿐이니까요.

 

쌀쌀한 날에 가슴까지 얼어붙지 않기를 기원하며,

 

-멀리서 당신을 지켜보는 K가

 

 

http://translatorsweekly.com/howto5.php

설정

트랙백

댓글

번역가가 되려는 L에게 건네는 편지


번역가가 되려는 L에게,

이제 제법 날이 많이 따뜻해졌네요. 엊그제 산책하다가 올해 처음으로 개나리를 보았습니다. 새 생명이 으레 그렇듯, 싱그러움과 에너지를 주체하지 못하여 자신을 터뜨리는 모습이 안스럽기도 하고 사랑스럽기도 하더군요. 번역가로 탄생하려고 몸부림하고 있을 L에게도, 바로 이런 싱그러움과 에너지가 있겠지요.

 

오늘은 번역가가 되려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점을 다시 점검해볼까 합니다. L이 길을 제대로 가고 있는지, 한번 뒤돌아보자는 뜻이지요. L이 생각하기에, 번역가라는 일에서 가장 기초는 무엇인가요? 재능? 끈기? 좀 더 구체적으로, 문장력? 이해력? 사고력? 네, 모두 맞습니다. 모두 번역가에게 알짬이라 할 수 있는 자질이지요. 그렇다면 이것들 전부에 공통의 바탕이 되는 활동은 무엇일까요? 그렇지요, 바로 그것입니다, 독서. 독서야말로 번역이라는 집의 가장 밑바탕이 되는 기초공사입니다.

 

지금까지 L이 책을 어떻게 읽었든지, 과거는 잠시 잊어버리고 앞으로는 '능동적 독서'에 힘을 쏟아보세요. 번역가나 작가가 되려는 사람, 즉 글을 쓰려는 사람에게 필요한 독서는 일반 독자처럼 느긋하게 여가 선용하듯 읽는 독서와는 다릅니다. 훨씬 더 치밀하고 고되고 따분하기까지 하기도 하지요. 책을 모두 이런 식으로 읽을 필요는 없으나, 그렇게 읽어야 할 책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우리말 문장을 배우려고 어떤 소설가의 작품을 집어들다고 하지요. 문장을 배우겠다는 사람이 슥, 빠르게 한 번 읽어내려가는 것으로 끝낸다면 그런 걸 두고 하는 말이 있습니다. 네, '뻘짓'입니다. 혹은 '자기기만'이라고도 하지요. 이런 식으로는 문장이 나아질 리가 없습니다. 좋은 문장은 표시해두고 옮겨 적어두었다가, 자기 문장에 적용해봐야 합니다. 그러자면 독서에서 그쳐서는 안 되고 글쓰기도 병행해야겠지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독서란 이처럼, 그저 읽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읽으면서 화자와 저자와 대화한 내용을 글로 써보고, 책에서 던진 철학적/사회적/역사적 문제를 파고들어가보고, 저자의 문장을 흉내 내보는 것입니다.

 

책을 한 권 읽는다는 것은 사실 굉장한 일입니다. 세상에 책이 너무나 많아서 한 권 한 권에 담긴 의미를 느끼기가 어렵기도 하고 실제로 함량 미달인 책도 얼마든지 있지만, 어떤 책은 저자가 수년간 천착하어 얻은 빛나는 보고와 같아서, 읽는 이가 수년간의 고된 노동이라는 대가보다 훨씬 가벼운 값으로 저자와 비슷한 위치에 올라가도록 길을 열어줍니다. 일전에 소개한 <번역의 탄생> 같은 책도 그러합니다. 거기에는 저자가 십수년 간 온갖 문장과 드잡이하면서 느꼈을 고뇌와 땀이 스며 있습니다. 그런 지식을, 고작 2만원도 안 되는 값으로 살 수 있다는 사실이 때로는 경악 그 자체지요. 이것은 어찌 보면 일종의 '사회 봉사'가 아닐까 싶습니다. 제가 보기에 그 책에 담긴 내용은 적게 잡아도 번역 대학원에서 1년간 배울 수 있는 것보다 낫습니다.

 

이 책뿐인가요. 뛰어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책은 어쩌면 모두 이와 같습니다. 문학 작품도 마찬가지지요. 훌륭한 작품에는 한결같이 한 사람의 인생 역정이 담겨 있습니다. 비판적으로 읽는 자세는 꼭 필요하겠지만,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토론'하는 느낌의 비판이어야 합니다. 저자가 앞에 있다고 상상하고, 그에게 묻는다는 느낌으로 하면 좋겠지요.

 

여러 가지 이유로, 번역가가 되려는 사람에게 독서는 단순한 지적 유희나 여가 활동에서 멈추지 않습니다. 그렇게 읽어야 할 책도 있겠으나, 중요한 것은 앞서 언급했듯이 어떤 책을 집중해 읽어야 하는지 '능동적'으로 판단하며 읽는 일입니다. 중요하고 의미 있는 작품과 시간 떼우기 작품에 같은 시간과 열정을 쏟아붓는다면, 화장실에서 일을 볼 때나 작품을 구상할 때나 똑같은 힘을 쓰는 것처럼 우스꽝스러워지겠지요. 그런 까닭에, 번역가가 되려는 L처럼 책을 많이 접하고 읽어야 하는 사람은 책에 맞는 독서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독서의 기술>(혹은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법>)에 나오듯이, 빠르게 내용을 대강 파악하며 읽을 것인지, 하나하나 분석해가며 저자의 의도와 핵심 주장과 근거 등을 살펴볼 것인지, 다른 작품과 연계해서 비교해가며 읽을 것인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책을 읽어나가기 바랍니다. 처음에는 구분하기가 어렵겠지만, 차츰 책을 보는 안목이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그렇게 하게 될 것입니다.

 

세상에는 작품도 많고 인물도 많습니다. 사는 동안 우리가 읽을 수 있는 책은 기껏해야 얼마 되지 않지요. 번역가라면 적어도, 자기가 번역할 작품을 어느 평론가 못지 않게 음미하고 분석해낼 능력은 있어야 합니다. 그러자면 기본 독서량이 받쳐줘야만 하지요. 부디, 많이 읽고 많이 써보기 바랍니다. 그냥 휘리릭 읽고 잊어버리지 말고, 읽은 내용을 화제로 삼아 글을 써보세요. 그 과정에서 사고력과 문장력과 이해력, 삼박자를 두루 갖출 수 있을 겁니다. 그렇게 될 때, 번역가가 되겠다는 L의 꿈은 이미 눈앞으로 바짝 다가서 있을 것입니다.

 

햇살 좋은 오후, 가볍게 산책하며 자연을 느껴보세요. 감수성을 풍성하게 하는 데 자연만큼 멋진 친구도 없으니까요. 건강히 지내길 바라며,

 

-멀리서 당신을 지켜보고 있는 K가

설정

트랙백

댓글

 

한 방울 한 방울이 모두 중요하다.

 

Every drop counts.

설정

트랙백

댓글

그는 기적을 행했다.
He did a miracle.
He worked a miracle.
He performed a miracle.

 

기적이 일어났다.
A miracle happened.
A miracle occurred.

 

그것은 기적과 같았다.
It was like a miracle.

 

그것은 그들에게는 기적처럼 보였다.
It seemed like a miracle to them.

 

그것은 기적의 약이었다.
It was a miracle drug.

 

그것은 기적의 치료법이었다.
It was a miracle cure.

 

그것은 나에겐 항상 기적이었다.
It was always a miracle to me.

 

내가 그것을 하지 않았다. 그건 기적이다.
I didn't do it. It's a miracle.

설정

트랙백

댓글

그는 언제나 마지막 순간에 꽁무니를 뺀다.

 

He always chickens out at the last moment.

설정

트랙백

댓글

 

 

번역가가 되려는 J에게 건네는 편지


번역가가 되려는 J에게,

 

번역 공부는 잘 되고 있는지요? 그래요, 생각한 대로 잘 되지 않을 겁니다. 마음먹고 공부하기만 하면 죽순 자라듯 하루가 멀다고 쑥쑥 자라날 줄만 알았는데, 막상 공부해보면 도무지 진전이라고는 있는 것 같지도 않고 지금 하는 방식으로 계속 해야 하는지도 의문스러워질 테지요. 무엇이든 공부는 혼자 하기가 참 어려습니다. 자신이 얼마나 왔는지, 아직 초심자의 눈으로는 판단하기가 어려운 까닭이지요. 오늘은 이 이야기를 조금 해보겠습니다.

 

나는 J가 어떤 사람인지 잘 모릅니다만, 적어도 한 가지는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지금 하는 일이 무엇인지 모르겠으나, 책 번역가가 되겠다고 마음먹었다는 점으로 미루어 짐작컨대 J는 순진하거나 아니면 용감한 사람일 겁니다. 순진하다는 것은 세상을 아직 잘 모른다는 이야기고, 용감하다는 것은 알면서도 무릅쓴다는 뜻이지요. 왜 그러느냐. 주위를 한번 둘러보세요. J 주위에, 한 달에 10권은 고사하고 한 주에 한 권이라도 꾸준히 읽는 독자가 과연 몇이나 되는지 헤아려보세요. J가 가끔이라도 연락하는 사람이 100명이라고 할 때, 그 중에 몇 명이나 일주에 한 권 정도 책을 볼까요? 10명? 아마 그조차 되지 않을 겁니다, 보통의 경우라면. 그러면 그 절반으로 줄여서 일 년에 스무 권 정도 보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이 역시 얼마 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책'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삼겠다는 것은 세상을 모르기 때문이거나 반대로 알면서도 용감하기 때문이지요.

 

그것이 순진함 때문이든 용기 때문이든, 나는 J의 그런 점을 높이 삽니다. 요즘과 같이 돈을 삶의 중심에 두는 세태에서 꼭 필요한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자본주의'와 '민주주의'가 지배 이데올로기인 세상에 살고 있지만, 진정 우리가 바라는 것은 '자본'도 '민주'도 아닌 '행복'이나 '가치'일 것입니다. 가치 있는 것이 우리에게 행복을 준다고 할 때 둘은 같은 맥락으로 쓸 수 있겠지요. 그리고 책은 그런 '가치' 중심 사회를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도구입니다. 굳이 책이 아니어도 무엇이 가치로운지 전달할 수 있으나, 책이 그런 것들의 상징이라는 뜻이지요.

 

바로 그 때문에 번역가가 되려고 공부하는 일이 어려운 것입니다. 번역가는 책에서 가치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합니다. 책에서 찾아낸 가치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려는 열의로 넘치는 사람, 그런 사람이 바로 번역가입니다. 그러자면 준비할 것이 많습니다. 어떤 책이 좋은지 판별하는 눈부터 길러야 하는데, 그러려면 스스로 지혜로워져야만 합니다. 깊은 지식을 쌓기보다는 지식을 해석할 줄 알아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어떤 지식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읽어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기에 먼저 두루 읽어서 눈을 넓혀야 합니다. 이것이 요즘 번역가나 작가에게 무척 부족한 듯한데, 참으로 아쉬운 일입니다. 자신만의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는 일 역시 매우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치우침 없는 마음입니다.

 

이렇게 이야기해놓고 보니, 마치 번역가가 되려면 도부터 닦아야겠다고 생각할지 모르겠군요. 그렇습니다. 번역의 길은 수행의 길과 같습니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번역가는 단순한 기술자에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자기가 번역하는 책이 독자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할 줄 아는, 양심적인 인간이 먼저 되어야 합니다. 나 역시 이런 면이 아직도 많이 부족하기에, 함께 노력했으면 합니다. 그럴 때 진정으로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느끼게 될 것이고, J가 번역가가 된 것에 일말의 후회도 남지 않을 테니까요.

 

공부 이야기로 들어가서, 자신의 번역 실력이 느는지 알아내려면 먼저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번역 실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무엇인지 알아야겠지요. 그것조차 모르면서 번역 실력을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 잣대를 알려면 '좋은 번역'과 '나쁜 번역'을 가르는 요소들을 파악해야 하는데, 여기에도 공부가 필요합니다. 한마디로 '번역론'이 있어야 그것을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는 뜻이지요. 그런데 이런 번역 이론을 습득하는 데도 시간이 제법 걸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번역이 좋은지 나쁜지 판별하는 데도 상당한 시간을 투입해야 하지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마냥 앉아서 기다려야만 하는가? 그래서 나는 두 가지 방법을 권합니다. 첫째로 함께 공부하는 겁니다. 여럿이 함께 공부하다 보면 반드시 자기보다 나은 사람과 모자란 사람이 있게 마련이고, 비교해보면 자신의 번역 수준을 어느 정도는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실력이 좋다고 평가받는 번역가의 번역문을 하나의 견본으로 삼아 공부할 수 있겠지요. 둘째로는 교육을 받는 겁니다. 바른번역에서 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도 바로 그런 까닭입니다. J가 보지 못하는 부분도 경험자는 짚어줄 수 있으니까요. 게다가 이렇게 배울 때 또 한 가지 좋은 점은 선배 번역가가 스스로 이미 소화한 내용을 좀 더 씹기 좋게 전달해주기 때문에, 지망생이 힘겨운 텍스트와 씨름하는 시간도 압축된다는 겁니다. 불필요한 내용을 공부하느라 시간 낭비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요.

 

간혹 교육 비용이 부담된다며 혼자서 공부하는 지망생도 있고 나 역시 그렇게 공부했지만, 좋은 선생이 없을 때야 그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겠으나 좋은 선생이 있을 때는 오히려 시간을 축내게 됩니다. 제아무리 총명한 학생이라 해도, 경험의 간극까지 뛰어넘기란 너무나 어렵기 때문이지요. 어떤 텍스트를 공부해야 할지 모른다면 총명함을 발휘할 기회가 언제 오겠습니까. 다만, 좋은 강의는 많지 않으니 잘 판단해야겠지요.

 

오늘도 두서없이 적다보니 길어지고 말았군요. 부디 흔들리지 않고 계속 공부해나가기 바랍니다. 씨앗을 심어 햇살과 물을 적절하게 주면 싹은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노력의 결과를 의심하지 말고, 더 좋은 방법이 없을지 고민하세요. 더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없을지, 지금보다 더 나은 방법이 없는지, 늘 고민하면서 공부하세요. 오늘은 이미 길어졌으니 여기서 줄이겠습니다. 몸 따뜻하게 하기를.

 

-멀리서 당신을 지켜보는 K가


출처:
http://translatorsweekly.com/howto.php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번역가가 되려는 M에게 건네는 편지
 

M의 마음은 누구보다도 잘 압니다. 나 역시 직장생활을 하며 그것이 내 길이 아니라고 느껴보았기 때문이지요. 아마도 어서 직장을 그만두고 번역가가 되는 길에 매진해야 할지, 지금 상태로 좀 더 시간을 두고 준비해야 할지 고민이 많을 겁니다. 그와 관련하여 몇 가지 변변치 않은 조언을 해볼까 하니 들어보고 슬기롭게 판단하기 바랍니다.


사람은 꿈을 먹고 삽니다. 꿈이 없는 사람은, 미래가 없는 사람은 공허함을 떨쳐버리기 어렵지요. 하루하루 연명하는 것은 동물의 삶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그것으로도 좋다면 누가 비난하겠냐마는, M이 고민하는 까닭은 거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인간이기 때문이 아닌가요. 꿈이 있다면, 하고 싶고 되고 싶은 뭔가가 있다면 아무것도 없는 것은 아닙니다. 세상에는 자기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일단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이미 절반은 온 셈이지요.


강을 건너간다고 상상해보세요. 가고 싶은 곳, 목적지는 있지만 아직 그곳에 다다르지 못했기에 강을 건너려 하는 것이지요. 강의 물살이 센지, 강의 폭이 얼마나 넓은지, 그것도 모르는 채 덮어놓고 물에 몸을 던진다면 중간에 빠져 죽게 될지도 모릅니다. 건너가지도 못하고 되돌아오지도 못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고 누군가 구해주기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형편에 이르게 되지요. 이래서는 안 될 겁니다. 먼저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물살이 얼마나 센지 알아야 합니다.


그런 뒤에 할 일은 강을 건널 배를 만드는 것입니다. 배는 지금 있는 곳에서 재료를 구해서 만들어야 합니다. 강물에 뛰어든 뒤에 배를 만들 수는 없지요. 지금 하는 일을 활용하세요. 거기서 여러 가지로 재료를 얻어서, 그걸로 배를 만드는 데 쓰는 겁니다. 배란 무엇인가. 건너가는 데 필요한 도구지요. 번역가가 되려는 M에게 필요한 배는 어떤 것일까요? 어떤 구성물로 만들어야 할까요? 다름 아닌 '기본 기술'입니다.


우선 '읽기 능력'이 필요합니다. 지망생 가운데 시간이 지나도 번역 실력이 늘지 않는다고 하소연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우선은 읽기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읽기 능력은 누구나 노력하면 기를 수 있으니, 내가 예전에 써둔 글을 참고하세요. 덮어놓고 많이만 읽는다고 읽기 능력이 향상되지는 않습니다. 그 역시 체계적일 필요가 있어요. 읽기 능력이란 우리말/외국어 모두에 해당합니다.


다음으로 '쓰기 능력'이 필요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지요. 번역은 결국 '다시 쓰기'입니다. 읽기 능력이 탁월하여 비평가 수준이라 해도, 그것을 작가처럼 써내지 못한대서야 무의미하지요. 글을 자주, 많이 써보세요. 그것이 우선입니다. 그런 다음에는 어떻게 써야할지 고민하면서, 글쓰기 관련 책을 사서 읽어보며 배우세요. 먼저 배울 것은 '바르게 쓰기'입니다. 그 다음에 '유려하게 쓰기'를 배워야지요.


이 두 가지 기술이 있으면 배는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재료조차 없다면, 기본 실력조차 없다면 아직 준비가 덜 되었으니 시간을 두고 준비하는 편이 좋습니다. 뗏목으로는 멀리 갈 수가 없습니다. 유람선을 만들 필요는 없으나 적어도 강을 건널 수는 있는 배여야 하니까요.


배를 만드는 데 또 필요한 것으로 열정이 있습니다. 열정이 강하다면 조금 힘들어도 강을 건널 수 있습니다. 배가 좀 부실해도 괜찮습니다. 열정으로 버틸 수 있습니다. 또 필요한 것은 연료입니다. 현금이지요. 배가 건너갈 때까지 기름이 떨어지지 않아야 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이야기해보지요. 준비가 잘 된 사람이라면 1년 정도면 번역가로 데뷔할 수 있습니다(내가 지켜본 바로는 그렇더군요). 준비에 1년, 그래 별 것 아니구나, 아닙니다. 1년 뒤에 데뷔하여 책을 맡았더라도, 그 책을 번역해서 끝내는 데 석 달, 그 책이 나오고 번역료를 받는 데 또 석 달이 걸리니, 결국 짧게 잡아도 1년 6개월을 기다려야 돈을 만져볼 수 있지요. 그렇다고 그 돈이 천 만원인가요 이천 만원인가요. 책이 연달아 들어온다는 보장은 있나요? 적어도 이 정도 기름은 준비해두고 배를 띄워야 합니다.


배를 띄운다는 것은 지금 있는 곳을 떠난다는 말입니다. 직장을 내던져야겠지요. 물론 직장을 버리지 않고도 배를 띄울 수 있습니다. 평소에 공부할 시간만 충분하다면 얼마든지 직장에 머무르면서 건너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할 수 있다면 그것이 최선일지도 모르지요. 그러나 언젠가는 직장을 그만두고 완전히 이쪽으로 건너와야 합니다. 그 시점을 언제로 잡느냐는 M이 직접 판단해야 합니다. 자신의 상황에 따라, 가족을 돌봐야 하는지, 월 생활비가 얼마인지 등 여러 가지에 따라 달라질 겁니다. 그것을 결정하여 직장을 그만두었을 때, 그때 더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시간이라는 가장 귀중한 자원을 허비하려고 노리는 적은 너무나 많습니다, 미드/일드를 앞세운 TV 군단, 재미있는 영화, 친구들과 수다, 게임, 베개와 씨름하기, 방바닥과 친밀해지기 등 시간을 잡아먹는 기생은 끝없이 이어집니다. 여기에 굴하지 않으려면 자신의 고삐를 바짝 당겨줄 프로그램이 있어야 합니다. 이럴 때 함께 공부하는 스터디나 학원이 도움이 될 겁니다. 잘 활용하면 그 무엇보다 귀중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미리 강을 건너가본 사람에게 어떻게 건너갔는지, 그때그때 어떻게 대처했는지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지요.


배를 띄운다는 것은 다르게 말하면 본격적으로 공부한다는 뜻입니다. 마치 입시생처럼, 오로지 번역 생각만 하는 것이지요. 당구를 쳐보았는지 모르겠네요. 탁구나 테니스 등 다른 운동도 좋습니다. 처음 배우기 시작하여 재미를 느끼게 되면, 어디를 가도 당구공이, 탁구공이, 테니스공이 보입니다. 자기도 모르게 어떻게 공을 쳐서 어디로 보낼지 상상하게 되지요. 마찬가집니다. 번역 공부할 때도, 자나깨나 번역만 생각하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것저것 벌이지 마세요. 한 가지에 몰입하는 겁니다. 번역 실력을 기르는 데만 집중합니다. 밥을 먹으면서도, 잠자기 전에도, 세수를 하면서도, 번역 생각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다면 M에게 좋은 열매가 열릴 것입니다.


재능이 있는 사람이라 해도 번역가로 자리를 잡고 월 소득이 평균 2-300이 되려면 2년은 잡아야 합니다. 이런 점까지 감안하면 무조건 덤벼들어서 될 일은 아니지요. 어쩌면 M은 지금 직장에서 엄청난 회의를 느끼고 있을지 모릅니다. 이미 마음이 떠나서 사무실 사람들 얼굴도 보고 싶지 않을지도 모르지요. 그러나 잘 생각해보세요. 진정 지금 하는 그 일을 더 잘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요? 그 일에서 의미를 더 많이 찾아낼 방법은 없을까요? 이에 관해서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이키루>라는 영화를 추천하고 싶군요. 꼭 한번 보세요.


M이 가고자 하는 길이 험하고 어렵다 해도, 그 길에서 기쁨을 찾아내고 그 기쁨을 다른 이와 나눌 수 있었으면 합니다. 남에게 기쁨을 준다는 것은 얼마나 멋지고 가슴 뛰는 일인가요. 어쩌면 우리는 스스로 기쁠 때보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기쁨과 행복을 줄 때 더더욱 행복한 것이 아닐까요. 번역이 멋진 일인 까닭도 어쩌면 거기에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누군가 좋은 책을 읽고 거기서 웃고 울며 배우고, 마음의 나이테가 한 줄 더 새겨지게 하는 데 동참할 수 있다는 것. 지치지 않는 열정으로, 부디 꿋꿋이 그 길을 걸어가기를 기원합니다.


-멀리서 당신을 지켜보고 있는 K가

 
 
출처:

http://translatorsweekly.com/howto.php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www.it-times.kr/sub_read.html?uid=50634&section=sc5&section2=%BE%F7%B0%E8%B5%BF%C1%A4

 

KISDI 신임 원장에 김동욱 서울대 교수

경사연, 7일 심사…1차 투표서 과반수 이상 득표
“급변환경 대응, 방통정책 대안 정립 위해 최선”
 
심우성 기자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차기(10대) 원장에 김동욱(52, 사진)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가 선임됐다.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이사장 박진근)는 7일 오후 4시 서울 양재동 외교안보센터 내 연구회에서 임시이사회를 개최해 KISDI 차기 원장 선임을 위한 심사를 진행, 김동욱 교수를 차기 원장으로 결정했다.

김동욱 서울대 교수, 이명호 KISDI 통신정책실장, 이봉호 서울여대 교수 등 3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날 심사에서 김동욱 교수는 심사위원들로부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차기 원장으로 선출됐다.

이날 심사는 경사연 이사를 비롯한 17명의 심사위원 중 16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후보 3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1차 투표에서 김동욱 교수가 과반수 이상을 득표해 일찌감치 차기 원장으로 결정됐다.

차기 원장으로 선임된 김동욱 교수는 우리나라 정보통신 산업과 정책의 발전 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식견을 갖고 있으며, IT산업 발전과 이용자 복지를 위한 정책수립 프로세스에 대한 통찰력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심사 발표 직후 김동욱 교수는 “지금은 사실 얼떨떨하다. 급변하는 방송통신 환경 속에서 KISDI의 막중한 임무가 어깨를 무겁게 한다”며 “그 동안 생각했던 것들을 KISDI 조직원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어 접목해 방송통신 정책 방향에 대한 대안을 정립하는 한편 관련 분야에 대한 고민들을 풀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욱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행정학 석사를 마친 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자정부특별위원회 위원,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으로 있다. 

신임 원장의 임기는 9월 10일부터 2014년 9월 9일 까지 3년이다.
========================================================================

 

참고로, 김동욱교수님은 저의 계성고 1년 선배로 재학 중에 철야독서실 등에서 가끔씩 뵈었던 분이다. 그 당시 계성고에서 서울대 인문사회계열에 정확히 몇 명이 합겼했는지는 기억이 나지않지만 아무튼 김동욱선배님은 인문사회계열에 수석으로 합격하였다. 당시에 인문사회계열에는 법대도 포함되어 있었다. 졸업한 후에도 몇 번 학교로 찾아오셨던 것 같다. 선배님의 고교 앨범사진과 서울대 교수 초임시절의 사진을 실어본다.

김동욱피.jpg   김동욱.jpg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