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ck Otter, Executive Editor of CBS MoneyWatch.com and author of "Worth It...Not Worth It: Simple and Profitable Answers to Life's Tough Financial Questions," talks key economic indicators to be released and the outcome of the recent Federal Reserve policy meeting.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에세이119 독자님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여.

비록 푹푹 찌는 날씨지만^^

 

저는 영어공부에서 만큼은 재밌는 것을 고르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했습니다.
노력도 중요하지만 선택도 중요해 보입니다.
재밌는 걸로 선택을 잘 하면 노력이 훨씬 쉬위 질수 있습니다.
사실 저는 주로 선택을 잘 하는 편이었고 

그래서 지금 까지 비교적 '쉽게' 엄청난 노력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노력에는 누구나 한계가 있지만 선택에는 어느정도 자유가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공부하기를 '늘' 좋아하는 사람은 이 세상에 단 한 명도 없다고 봅니다.

공부하고 싶은 의욕이 넘칠 때야 누군들 못하겠습니까.

진짜 승패는 하기 싫을 때 나타납니다.

 

제 경우에는 공부하기 싫을 때는 최대한 재미있는 걸로 선택해서

꾸역꾸역 노력을 이어갑니다.

이럴 때는 공부의 효율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효율이 떨어져도 좋습니다.

그저 공부를 완전히 손에서 놓지 않을 수만 있다면 성공입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어느새 다시 공부에 대한 의욕이 살아납니다.

 

마라톤을 해보신 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마라톤을 할 때 완전히 쉬어버리는 일만 없이 느리게라도 계속 뛰기만 한다면

자신의 체력여부에 상관없이 상당한 상위권의 기록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완전히 쉬어버리는 구간이 있으면 좋은 기록은 물건너 가버리죠.

 

선택을 위한 노력! 어떻게 보면 이것이 제 노력의 많은 부분이었습니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이것으로 톡톡히 재미를 봤습니다.

어떻게 보면 제 영어공부의 비결 중 하나였던 것 같습니다. 


이건 그냥 제 경험입니다.
참고가 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여^^

브라질 꺽고 결승으로!! 

 

2012.8.6. 점심시간에

최병길 드림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1일1영작]

 

원문: 더운 날의 시원한 읽을거리

 

영문: Cool reads for hot days (=Hot days, cool reads)

 

* 이렇게 동사를 명사화하여 사용하면 아주 원어민다운 표현이 되겠습니다.
즉, 가볍고 부드럽고 상쾌한 표현, 바로 원어민들이 즐겨 쓰는 표현들이죠.

설정

트랙백

댓글

에세이119 독자님들께,

 

밤새 잘 주무셨나요?

연일 폭염과 올림픽 열기로 잠을 설치기가 쉬울 것 같아요.

 

오늘은 영어독해와 어휘력에 관해 좀 더 융합적으로 말씀드릴까 합니다.


영어독해를 할 때는 논리나 문법으로 할 것이 아니라 느낌, 감각, 흐름으로 하십시오.

즉 기계적인 독해가 아니라 상상력을 동원한 유기적인 독해를 하십시오.

 

독해력의 핵심은 상상력입니다.

영어소설을 읽을 때는 문장을 보시지 말고 이야기를 보시기 바랍니다.

각 문장에 대한 해석(=나무 보기)과 전체적인 독해(=숲 보기)는 다릅니다.

문장은 몰라도 좋습니다.

그 속에 들어있는 이야기만 느낄 수 있다면 이미 훌륭한 독해를 한 것입니다.

주요 단어들이 주는 이미지, 느낌, 색깔 등 감각적인 것만 따라가도 훌륭한 독해가 됩니다.

소설을 읽으면서 문장구조를 다 파악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그것은 오히려 시간낭비입니다.

모국인들도 문장구조를 다 파악하면서 읽지는 않습니다.

이야기의 흐름을 타면서

앞에서 저자가 설명이 부족했던 부분 혹은 자신이 이해하지 못했거나 놓쳤던 부분은

뒤에서 이리저리 계속 보충하며 이야기를 엮어나가는 것입니다. 

 

모든 언어는 본질적으로 불완전합니다.

영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단, 문장을 쓰는 사람이 제대로 문장을 쓰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고 (사람의 불완전성),

그리고 설사 완벽하게 썼다고 할지라도

한 문장이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될 소지가 있습니다. (언어의 불완전성)

한 마디로 모든 문장에는 오해의 소지가 늘 도사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불완전한 문장을 보완해주고 부드럽게 연결시켜 주는 것은

읽는이의 상상력(=추측, 추론)입니다.

상상하십시오! 적극적으로 읽으십시오! 글쓴이의 미완성 작품을 완성해 나가십시오.

 

만약에 문장을 읽다가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문장이 있다면

그것은 작가가 문장을 상당히 잘 못 썼거나

이야기가 너무 지루하여 앞뒤의 줄거리가 상호연결되지도 못할지경이거나,

독자의 상상력이 매우 부족한 경우입니다.

독자의 실력부족은 거의 아닙니다.

 

단, 본격적인 독해를 하기 전에 최소한의 단어실력은 필요합니다.

이것마저 없다면 상상력을 발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즉 최소한의 단어실력은 상상력 발휘를 위한 최소한의 불씨가 되는 셈이죠.

단어를 많이 알수록 당연히 상상력도 더 활활 타오르게 됩니다.

일단 어느정도의 어휘력을 갖추고 독해를 시작했으면

그때는 그냥 끝까지 죽죽 읽어 나가세요.

모르는 문장이나 단어가 나와도 그냥 추측하고 지나가시기 바랍니다.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얻으면 됩니다.

모르는 문장은 그런 상황을 뒤에서 여러번 만나면 저절로 알게 됩니다.

그리고 모르는 단어는 나중에 따로 모아서 공부하면 됩니다.

그런 것에 자꾸 걸리면 진도가 안나가고 진도가 안나가면

끝이 안보이기 때문에 금방 절망합니다.

읽을 때는 오직 줄거리에만 집중하셔야 합니다.

 

독해는 종합적인 공부로서 단어, 숙어, 문법, 회화, 듣기, 작문 실력을 한꺼번에 늘려 줍니다.

모든 영어공부 중에서 가장 종합적인 것이 읽기 입니다.

독해를 많이 하면 소위 영어의 내공이 쌓여 갑니다.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은 도저히 당할 수가 없습니다.

진짜 영어고수들은 알고보면 모두 독서를 많이 한 사람들입니다.

그렇지 않고도 영어고수라는 소리를 듣는 사람은 언젠가 들통이 나게 됩니다.

중고등학교에서 영어성적 상위 1%에 드는 학생이라면 대체로 초등학교 때

영어동화책을 많이 읽은 학생입니다.

읽기는 모든 공부의 기초이면서 또한 완성입니다.

쉬운 읽을거리들을 죽죽 읽어 나가다 보면 영문독해력은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듯이 자기도 모르게 쑥쑥 향상됩니다.

 

일단은 공부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재미있게 읽는데 촛점을 맞추시기 바랍니다.

욕심을 버리고 재미있게 읽다보면 독해실력은 저절로 따라오죠.

욕심을 버리는 것! 사실 이게 어렵습니다.

 

다시 단어 이야기로 좀 돌아가겠습니다.

모르는 단어도 여러번 실제 문맥 속에서 만나게 되면 대충의 뜻을 저절로 알게 됩니다.

심지어 그 단어의 분위기나 색깔은 사전에서 보다 더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또 이렇게 체득된 단어는 아주 오래 갑니다.

 

반대로, 이미 가지고 있는 단어실력을 유지하는 데도 독해가 최고죠.

최소한의 독서량을 유지만 해도 단어실력은 줄지 않습니다.

독서량이 늘면 기존의 어휘력이 유지 되는 것은 물론

단어공부를 별도로 안해도 어휘력이 증가됩니다.

더 나아가 대충 알고 있던 단어의 의미가 정확해지고 뚜렷해 집니다.

(제 경우처럼) 평소에 무식하게 단어만 따로 외웠더라도 나중에 독해를 많이 하게 되면,

여러 상황 속에서 그런 단어들을 접하게 되므로 독해를 하면서 외운 단어들처럼 깊이 체화됩니다.

한 마디로, 독해야말로 어휘력을 유지하고 증가시키고 정확히 하는 데 최선의 방법입니다.

그래서 독해는 종합공부인 것이죠.

물론 이러한 독해의 첫 불쏘시개는 단연 어휘력이고요.

 

오늘도 따뜻한 모닝커피 한잔과 함께 활기찬 하루 시작하세요.

 

2012.8.3. 아침에 최병길 드림

 

 

 


설정

트랙백

댓글

(오늘은 아침편지가 아니라 오후편지입니다^^)

 

안녕하세요?

무더위를 한 방에 날려버리는 금금금!

어제 밤엔 정말 대단했습니다.

치킨을 큰 걸로 하나 뜯고 싶었지만 실천에 옮기지는 못했습니다.

 

여러분들의 영어공부에서도 금금금!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단어에 대해 좀 더 말씀드릴게요. 

 

단어를 외울 때는 한 단어씩 혹은 짧은 한 부분씩을 오랜 시간 뚫어져라 쳐다보기 보다는 전체를 대충대충이라도 빠른 시간에 한 번 보고, 다시 보고, 또 다시 보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하면 처음에는 외우는 맛이 덜 날 수도 있고 과연 암기가 되는 것인지 의심이 들기도 하겠지만, 전체에 대한 반복회수가 많아질수록 효과를 실감할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총 60분의 시간에 60단어를 공부하는 경우:
 
한 단어에 1분씩을 투자해서 전체를 1회 공부하는 것 보다는 한 단어에 10초씩을 투자해서 전체를 6회 반복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무엇을 암기할 때에는 중간 중간에 빈공간(=망각, 잊어버림)이 꼭 필요합니다. 외우고 잊어버리고, 외우고 잊어버리고, 외우고 잊어버리고 ... 이런 과정이 뇌에서 여러번 반복될수록 그 단어는 두뇌의 장기기억에 각인됩니다.
 
이것은 마치 망치로 못을 박을 때 여러 차례 떼었다가 다시 충격을 주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망치로 못을 박을 때, 한번 내려친 다음에 떼지 않고 계속 누르기만 한다면 과연 못이 들어갈까요? 떼었다가 새로 치고, 떼었다가 새로 치고, 떼었다가 새로치고...이렇게 해야 못이 박히겠죠. 여러번 떼었다가 다시 칠수록, 즉 여러번 망각했다가 다시 외울수록, 단어가 두뇌에 더 강하고 깊게 각인되겠죠.
 
또한 이것은 마치 보온병의 원리와 같아요. 그냥 하나의 두꺼운 벽을 사용하기 보다는 얇은 벽을 이중으로 해서 그 사이에 빈 공간(=떨어짐, 망각)이 있는 것이 훨씬 보온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죠.
 
소위 '기억력이 좋은 사람'도 이런 망각과정이 없다면 단기기억은 잘할지 모르지만 장기기억은 절대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학습에서 중요한 것은 단기기억이 아니라 장기기억입니다. 물론 저학년에서는 벼락치기가 어느 정도 통할 수 있겠지만 학년이 올라가며 학습범위가 넓어질수록 그것은 더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장기기억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암기과정에서 망각만큼 중요한 요소는 없습니다.
암기-망각-암기-망각-암기-망각...이렇게 사이 사이에 망각이 반드시 들어가야 단어들이 장기기억장치로 들어가게 되고 비로소 진짜 '실력'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도 활기찬 하루 되세요!
 
2012. 8. 2. 점심시간에 최병길 드림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김재범, 수줍은 금빛 복근 공개 ‘짐승남의 매력’

 

 

[일간스포츠] 입력 2012.08.01 13:51


(Here comes a new hero!) 


“2008년엔 ‘죽기 살기로’ 했다면, 이번엔 ‘죽기를’ 각오했다”

김재범(27·한국 마사회)은 '파이터'의 눈빛을 가졌다. 강한 승부욕과 악바리 근성으로 상상을 초월하는 훈련의 고통을 견뎌냈다. 김재범은 왼쪽 어깨부터 팔꿈치, 무릎, 그리고 손까지 몸의 왼쪽을 거의 사용하지 못할 만큼 부상이 심했다. 그러나 1일 오전 남자 유도 81kg이하급 결승전에서 올레 비쇼프(독일)를 물리치고 당당히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섰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 결승전 패배의 설욕전이자 그랜드슬램(올림픽,세계선수권,아시안게임,아시아선수권)을 달성하는 무대였다.

‘유도 괴물’ 김재범은 실력만큼이나 탄탄한 몸매로도 화제다. 강훈련의 훈장과도 같은 '식스팩 복근' 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다. 특히 사진 속 포즈를 취하고 있는 20대 초반의 김재범은 마치 무술배우 이소룡을 연상시킨다. 사진은 2004년 세계주니어선수권에서 우승한 뒤 스포츠 유망주로 잡지에 소개됐을 때의 모습이다. 상의를 탈의한 김재범의 완벽한 복근이 눈에 뛴다. 사진을 본 네티즌들은 '너무 멋지다' '권상우보다 낫다' '복근도 금메달 감이다'며 감탄했다.

  

스포츠 1팀

 

Source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929280&ctg=140001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다음은 페이스북에 올린 어느 오바마 지지자의 글입니다.

영어공부삼아 한 번 읽어 보세용^^

 

 

Why I support Obama

설정

트랙백

댓글

영어가 밉죠?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럴걸요.

 

그런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단어만 확실히 굳히면 영어만큼 실력이 잘 느는 것도 드물 겁니다. 어떻게 보면 단어는 영어라는 거대한 배를 움직이는 키인지도 모릅니다.

 

단어 암기는 가장 단순한 작업 같아 보이지만 가장 핵심적인 작업입니다.

 

복잡한 것을 복잡하게 풀려고 해서는 어렵습니다.

복잡한 것은 단순하게 풀어야 됩니다.

어떻게 보면 영어에서 가장 약한 부분이 단어부분입니다.

독해나 회화나 작문 등은 그야말로 거의 철벽입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영어는 이 단어부분만 뚫리면 그냥 다 뚫린 거나 마찬가집니다.

그 다음 부터는 시간 문제죠.

 

여기 저기 마구 뚫다보면 힘만 들고 진도는 안 나갑니다.

차라리 가장 약한 곳을 집중적으로 뚫어서 관통해버려야 합니다.

한 곳이 뚫리면 나머지는 시간이 가면 저절로 무너지게 됩니다.

작은 구멍에도 큰 강둑이 서서히 무너지듯이요.

 

오늘도 상쾌한 모닝커피와 함께 활기찬 하루 되세요!

 

2017. 8. 1. 아침에 최병길 드림

설정

트랙백

댓글

 

Eleanor Roosevelt, 1884-1962: She Was the Most Influential Wife of Any American President

 

STEVE EMBER: I’m Steve Ember.

SHIRLEY GRIFFITH: And I’m Shirley Griffith with People in America in VOA Special English. Today, we tell about the woman who was the most influential wife of any American president, Eleanor Roosevelt.

(MUSIC)

STEVE EMBER: Eleanor Roosevelt was the wife of America's thirty-second president, Franklin Delano Roosevelt. She helped her husband in many ways during his long political life. She also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America. She fought for equal rights for all people -- workers, women, poor people, black people. And she sought peace among nations.

Anna Eleanor Roosevelt was born in New York City in eighteen eighty-four. Eleanor's family had great wealth and influence. But Eleanor did not have a happy childhood. Her mother was sick and nervous.  Her father did not work. He drank too much alcohol. He was not like his older brother, Theodore Roosevelt, who was later elected president.  When Eleanor was eight years old, her mother died. Two years later, her father died.  Eleanor's grandmother raised the Roosevelt children. Eleanor remembered that as a child, her greatest happiness came from helping others.

SHIRLEY GRIFFITH: In the early nineteen hundreds, many people were concerned about the problems of poor people who came to America in search of a better life. Eleanor Roosevelt could not understand how people lived in such poor conditions while she and others had so much wealth.

After she finished school, Eleanor began teaching children to read in one of the poorest areas of New York City, called "Hell's Kitchen."  She investigated factories where workers were said to be badly treated. She saw little children of four and five years old working until they dropped to the floor. She became involved with other women who shared the same ideas about improving social conditions.

Franklin Roosevelt began visiting Eleanor. Franklin belonged to another part of the Roosevelt family. Franklin and Eleanor were married in nineteen-oh-five. In the next eleven years, they had six children.

STEVE EMBER: Franklin Roosevelt began his life in politics in New York. He was elected to be a state legislator. Later, President Woodrow Wilson appointed him to be assistant secretary of the Navy. The Roosevelts moved to Washington in nineteen thirteen.

It was there, after thirteen years of marriage, that Eleanor
Roosevelt went through one of the hardest periods of her life.
She discovered that her husband had fallen in love with another woman. She wanted to end the marriage. But her husband urged her to remain his wife. She did. Yet her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changed. She decided she would no longer play the part
of a politician's wife. Instead, she began to build a life with interests of her own.

In nineteen twenty-one, Franklin Roosevelt was struck by the terrible disease polio. He would never walk again without help. His political life seemed over, but his wife helped him return to politics. He was elected governor of New York two times.


SHIRLEY GRIFFITH: Eleanor Roosevelt learned about politics and became involved in issues and groups that interested her. In nineteen twenty-two, she became part of the Women's Trade Union League. She also joined the debate about ways to stop war. In those years after World War One, she argued that America must be involved in the world to prevent another war.

"Peace is the question of the hour," she once told a group of women. "Women must work for peace to keep from losing their loved ones."

The question of war and peace was forgotten as the United States entered a severe economic depression in nineteen twenty-nine. Prices suddenly dropped on the New York stock market. Banks lost their money. People lost their jobs.

(MUSIC)

STEVE EMBER: Franklin Roosevelt was elected president in nineteen thirty-two. He promised to end the Depression and put Americans back to work.

Mrs. Roosevelt helped her husband by spreading information about his new economic program. It was called the New Deal. She traveled around the country giving speeches and visiting areas that needed economic aid.

Mrs. Roosevelt was different from the wives of earlier presidents. She was the first to become active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While her husband was president, Mrs. Roosevelt held more than three hundred news conferences for female reporters. She wrote a daily newspaper commentary. She wrote for many magazines. These activities helped spread her ideas to all Americans and showed that women had important things to say.

SHIRLEY GRIFFITH: One issue Mrs. Roosevelt became involved in was equal rights for black Americans. She met publicly with black leaders to hear their problems. Few American politicians did this during the nineteen thirties and nineteen forties. One incident involving Mrs. Roosevelt became international news. In nineteen thirty-nine, an American singer, Marian Anderson, planned a performance at Constitution Hall in Washington. But a conservative women's group refused to permit her to sing there because she was black.

STEVE EMBER: Mrs. Roosevelt was a member of that organization, th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She publicly resigned her membership to protest the action of the group. An opinion study showed that most Americans thought she was right. Eleanor Roosevelt helped the performance to be held outdoors, around the Lincoln Memorial.
More than seventy thousand people heard Marian Anderson sing.
Mrs. Roosevelt was always considered one of the strongest supporter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MUSIC)

SHIRLEY GRIFFITH: The United States was forced to enter World War Two when Japanese forces attacked the American naval base at Pearl Harbor, Hawaii in nineteen forty-one.
Mrs. Roosevelt made many speeches over the radio praising the soldiers she saw on her travels.  She called on people to urge their government to work for peace after the war was over.

Franklin Roosevelt died in nineteen forty-five, soon after he was elected to a fourth term as president. When his wife heard the news she said: "I am more sorry for the people of this country than I am for myself."

STEVE EMBER: Harry Truman became president after Franklin Roosevelt died. World War Two ended a few months later. The leaders of the world recognized the need for peace. So they joined together to form the United Nations. President Truman appointed Mrs. Roosevelt as a delegate to the first meeting of the UN. A newspaper wrote at the time: "Mrs. Roosevelt, better than any other person, can best represent the little people of America, or even the world."

Later, Mrs. Roosevelt was elected chairman of the U.N. Human Rights Commission. She helped write a resolution calle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at declaration became an accepted part of international law.

SHIRLEY GRIFFITH: Mrs. Roosevelt spent the last years of her life visiting foreign countries. She became America's unofficial ambassador. She returned home troubled by what she saw. She recognized that the needs of the developing world were great. She called on Americans to help the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A few years before she died, Eleanor Roosevelt spoke about what she believed in life. This is what she said:

ELEANOR ROOSEVELT: “This life always seems to me to be a continuing process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What we are preparing for, none of us can be sure. But, that we must do our best while we are here and develop all our capacities is absolutely certain.  We face whatever we have to face in this life. And if we do it bravely and sincerely, we’re probably accomplishing that growth which we were put here to accomplish.”

STEVE EMBER: Eleanor Roosevelt gave the best she had all through her life. People around the world recognized their loss when she died in nineteen sixty-two.

(MUSIC)

SHIRLEY GRIFFITH: This program was written by Shelley Gollust. It was produced by Lawan Davis. Our studio engineer was Kevin Fowler. I'm Shirley Griffith.

STEVE EMBER:  And I'm Steve Ember. Join us again next week for People in America in VOA Special English.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