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4529건
- 2012.07.04 [오늘의 영어 표현] 내일 전화 주세요. (5 가지 표현)
- 2012.07.04 1일1팝송 (영어가사+번역+동영상) I'd Love You To Want Me/ Lobo
- 2012.07.04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7-4
- 2012.07.04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7-4)
- 2012.07.04 [영어뉴스] NPR 5분 뉴스 (2012-7-4)
- 2012.07.03 수능영어 구문 인강 동영상 Level 1
- 2012.07.03 수능영어 구문 인강 동영상 Level 2
- 2012.07.03 수능 영문법 인강 동영상 Level 1
- 2012.07.03 수능 영문법 인강 동영상 Level 2
- 2012.07.03 수능 영문법 특강 동영상
- 2012.07.03 수능 영문법 공부방
- 2012.07.03 토익 공부법/ 유형별 간단한 tip
- 2012.07.03 자신의 의지력에 대한 환상을 버려라!
- 2012.07.03 자유 김경윤 선생의 논술칼럼-2 // Now, Here, I
- 2012.07.03 공부할때 꼭 적용 해야 할 7가지 TIP
- 2012.07.03 성공한 사람들의 공부비법
- 2012.07.03 김경윤 선생의 논술칼럼-1
- 2012.07.03 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장승수(서울대 인문수석, 사법고시합격)
- 2012.07.03 예비고사, 학력고사, 수능 수석합격자들
- 2012.07.03 서울대 수석합격! 하나님 방법이라면 가능하다
- 2012.07.03 [월간중앙] 대입 수석 합격자 23인의 인생스토리
- 2012.07.03 서울대 '수석 합격생'들의 그 후(1편 ~ 4편)
- 2012.07.03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7-3
- 2012.07.03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7-3)
- 2012.07.03 [영어뉴스] NPR 5분 뉴스 (2012-7-3)
- 2012.07.02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7-2
- 2012.07.02 [영어뉴스] VOA 5분 뉴스 (2012-7-2)
- 2012.07.02 [영어뉴스] NPR 5분 뉴스 (2012-7-2)
- 2012.07.02 1일1팝송 (영어가사+번역+동영상) I Will Survive / Gloria Gaynor 1
- 2012.07.01 [사진으로 영어공부] Presidential hopeful Moon speaks at press conference
글
[오늘의 영어 표현] 내일 전화 주세요. (5 가지 표현)
내일 전화 주세요.
Give me a ring tomorrow.
Give me a call tomorrow.
Phone me tomorrow.
Ring me tomorrow.
Call me tomorrow.
글
1일1팝송 (영어가사+번역+동영상) I'd Love You To Want Me/ Lobo
TITLE |
I'd Love You To Want Me |
SINGER |
Lobo |
LYRICS IN ENGLISH |
LYRICS IN KOREAN | ||
When I saw you standing there I about fell out my chair And when you moved Your mouth to speak I felt the blood go to my feet
Now it took time for me to know What you tried so not to show Something in my soul just cries I see the want in your blue eyes
후렴 Baby, I'd love you to want me The way that I want you The way that it should be Baby, you'd love me to want you The way that I want to If you'd only let it be
You told yourself years ago You'd never let your feelings show The obligation that you made For the title that they gave
후렴 반복
간주
Now it took time for me to know What you tried so not to show Something in my soul just cries I see the want in your blue eyes
후렴 반복 (x2) |
거기 서 있는 당신을 보고 의자에서 떨어질 뻔 했어요 그리고 당신이 무언가 말을 하려고 했을 때 피가 거꾸로 솟는 것 같았어요
당신이 숨기는 것이 무엇인지 시간이 지나서야 알게 되었죠 마음으로부터 외치는 소리가 있어요 파란 당신 눈에는 허전함이 서려 있어요
후렴 당신이 날 좋아했으면 좋겠어요 내가 당신을 원하는 방식으로 그렇게 되어야 하는 것처럼 당신은 내가 당신을 좋아하길 원할 거에요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당신이 허락하신다면...
당신의 마음을 드러내지 않겠다고 수년 전 자신에게 말 했었죠 하지만 그건 체면을 의식한 의무감일 뿐이에요
후렴 반복
간주
당신이 숨기는 것이 무엇인지 시간이 지나서야 알게 되었죠 마음으로부터 들리는 소리가 있어요 파란 당신 눈에는 허전함이 서려 있어요
후렴 반복 (x2) |
글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7-4
글
글
글
글
글
글
글
글
글
토익 공부법/ 유형별 간단한 tip
토익 공부법
ⅰ. 유형별 간단한 tip.
Part1. 듣기-사진 묘사(문항수 10) 난이도 ★☆
토익에서 가장 쉬운 부분이다. 10문제 밖에 안돼서 아쉽기 까지... 사진을 보면서 a, b, c, d 중 사진을 가장 충실히 묘사한 문장을 고르는 것이다. 그러나 약간 낚시성(putting on과 wearing)문장도 많기 때문에 적절한 연습이 있어야 한다.
Part2. 듣기-질의응답(문항수 30) 난이도 ★★☆
문제(한문장)도 들려주고 답도 들려준다. a, b, c중에서 한 문장의 질문에 적절한 응답을 고르는 것이다. 짧은 시간에 감각적으로 풀어야 한다. 그래도 공부하다 보면 쉬운 편이다. when, where, who 등 앞의 단어를 잘 들으면 거의 풀 수 있지만 역시나 낚시성 문제도 있다. 그래서 방심할 수는 없다.
Part3. 듣기-짧은 대화(문항수 30) 난이도 ★★★★☆
짧은 대화를 듣고 3문제를 한꺼번에 풀어야 한다. 대화 내용을 기록하기 보다는 빨리 문제를 읽고 대화를 듣고 들으면서 문제를 풀어야 한다. 물론 대화 내용을 정확히 들으면 쉽다. 총체적인 듣기 능력을 기르고 나서 실전 연습을 해야 한다.
Part4. 듣기-설명문(문항수 30) 난이도 ★★★★☆
집중력이 필요하다. 벌써 70문제나 듣고 아직도 30문제 더 풀어야 한다. 긍정적인 마인드로 집중력을 유지해야 한다. 난이도는 파트3과 비슷하지만 집중력이 관건이다. 역시나 총체적인 듣기 능력을 기르고 실전 연습을 통해 시험에 익숙해 져야 한다.
Part5. 독해-단문 공란 메우기(문항수 40) 난이도 ★★★★☆
문법, 어휘 문제이다. 40문제 이지만 15분 만에 풀어내야 한다. 시험장에 가서 듣기 Part1 안내 해설 나올 때 10개, Part2 안내 해설 나올 때 10개를 푼다. Part3, 4 안내해설 나올 때는 문제 질문을 읽어야 하므로 손도 대지 않는다. 욕심내다가 망하는 수가 있다. Part4까지 풀고 나서 빠르게 푼다.
Part6. 독해-장문 공란 메우기(문항수 12) 난이도 ★★★★☆
Part5와 유형은 똑같지만 장문 4개 각각 중간에 공란이 있다는 점만 다르다. 더 쉽지도, 어렵지도 않다. 역시나 7~8분 동안 빠르게 푼다.
Part7. 독해-1개 지문(9개 본문-28개 문제) ★★★★★
비교적 짧은 지문에 문제가 2개~5개가 있다. 난이도는 수능 독해보다 쉽지만?(제 생각) 문제에 맞는 정보를 찾아내는 것이다. 파트5와 6을 빠르게 풀었다면 한 지문 당 3~4분 정도로 풀어낸다.
Part7. 독해-2개 지문(4개 본문-20개) 난이도 ★★★★★
한 본문당 문제가 5개 있다. 보통 2개의 짧은 지문으로 구성 되어 있다. 지문 순서대로 문제가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를 읽고 지문을 읽는다. 파트6과 마찬가지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게 관건이다. 한 본문 당 5분~7분 잡고 푼다. 파트7 때문에 파트5,6에서 시간을 단축하는 게 필요하다. 시간에 쫓기는 것이 싫다면 피트7부터 거꾸로 풀어가는 것도 좋다. 본인 편한 대로 파트 순서를 정해도 된다.
ⅱ. 수준별 공부법
초급 : 처음 공부하는 사람, 토익 700이하
중급 : 토익 700이상 850이하
고급 : 850 이상
|
파트별 공부 |
딕테이션 |
문법 정리(part5,6) |
단어 암기 |
실전 연습 |
초급 |
○ |
○ |
○ |
○ |
× |
중급 |
△ |
△ |
△ |
○ |
△ |
고급 |
× |
△ |
× |
○ |
○ |
1. 파트별 공부
파트별 공부란 파트 1~7까지 유형별로 공부하는 것을 의미 한다. 보통 토익 교재 기초, 입문 단계로 책을 처음부터 차근차근 일정량씩 풀면서 유형을 익히고 틀리기 쉬운 부분을 체크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라 초급자들은 절대 소홀히 하면 안 된다. 기본기가 다져 져야 900대를 넘길 수 있다. 중급인 사람들은 파트별 공부를 복습을 해도 되고 고급은 실전 연습으로도 충분하다.
추천 교재 : 사실 토익 책들은 다 거기서 거기 이므로 가격, 디자인 부분에서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른다. 교재 보다는 꾸준히 일정량씩 푸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외국어] 해커스 토익 스타트 READING(초보토익 4주완성)
[외국어] 해커스 토익 스타트 LISTENING
ETS TOEIC READING PREP BOOK
ETS TOEIC LISTENING PREP BOOK
토마토 시리즈
2. 딕테이션
파트1~4 딕테이션을 해야 한다. 어느 영어 시험이건 간에 듣기 파트는 딕테이션이 필수적이다. 다만 초급자들은 유형별 공부를 하면서 하루에 조금씩 듣기를 공부 할 것이다. 그래서 다 딕테이션 해야 한다. 오늘 듣기 부분은 part1을 공부했으면 그냥 다 딕테이션 한다. 그래야 빈출 표현들도 익히고 일석 이조다. 중급자와 고급자들은 실전 연습을 하면서 틀린 것, 헷갈리는 것들만 딕테이션 해서 실수를 줄이도록 한다.
딕테이션 방법 칼럼은 공신칼럼에 많으니 참고.
3. 문법 정리
900점대 이상으로 넘어가면 part5, 6에서 한문제만 틀려도 5점이나 차이가 난다. 990과 985는 심리적으로 하늘과 땅 차이. 마음이 얼마나 아픈지 모른다. 따라서 초보 시절 깨알 같은 문법 정리 기본기가 필수적이다. 수능 문법하고는 출제 포인트가 다름. 다시 공부ㄱㄱ.... 초급자는 수능 공부 때처럼 이론 위주의 문법책으로 문법 공부를 한다. 중급자는 문제풀이 위주+개념정리, 고급자는 문제풀이 위주로 하되 간간히 헷갈리는 것들만 책을 참조한다.
문법 공부 방법 자체는 수능이나 공인 외궈나 다 비슷하므로 공신 칼럼에서 문법 공부 관련 칼럼을 참고.
추천 교재 : 바로 이것이 시험에 나오는 영문법이다. 어학세계사. 이경주 지음(이론 위주)
+ 토익 문법책 아무거나 상관없음.(문제풀이 병행)
4. 단어 암기
말이 필요 없다. 어느 수준이건 단어 암기는 필수적이다. 솔직히 토익 어휘는 난이도가 많이 높지는 않지만 다의어를 꼼꼼하게 외우는 것이 중요하다. 초급자들은 매일 10~20개씩이라도 꾸준히 외우고 중~고급자들은 매일 꾸준히 외우는 것과 동시에 가끔 모르는 단어들 위주로 공부한다.
추천 교재 : HOW TO TOEIC VOCA 770, 880, 990 저는 보통 단어장이나 교재를 강력 추천 하지 않지만 이건 강력추천입니다. 얼핏 보면 어휘가 쉬워 보이지만 단어장 안의 다의어, 관련어 등 모든 것을 다 외워야 합니다. 정리도 잘 되어 있습니다. 또한 핸디 합니다. 초급자는 770, 중~고급자는 880만 외워도 토익어휘는 모두 커버 가능하지만 좀 더 완벽을 다지거나 여유가 있다면 990도 외워보면 좋습니다.
5. 실전연습
흔히들 토익은 볼수록 점수가 올라간다고 한다. 그만큼 실전 연습이 중요하다. 특히 시간!!!! 800점대 이상이라면 꼭 문제를 시간을 재서 푼다. 특히 950~990까지의 폭은 실력보다는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생각함(경험담). 초급자는 실전연습은 시험 보기 1주일 전에 한번으로 충분하다.(시험 자체가 실전연습이라고 생각하세요. 토익은 한번 만에 성적이 잘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중급자는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고급자는 일주일에 한 번씩 실전문제 위주로 공부를 한다. 물론 틀린 것은 철저히 검토하고 넘어가야 한다.
글
글
자유 김경윤 선생의 논술칼럼-2 // Now, Here, I
자유 김경윤 선생의 논술칼럼-2
Now, Here, I
[역사란 무엇인가]를 쓴 E.H.카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라고 말하였다. 이 말은 논술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논술은 현재와의 대화이다. 논술은 바로 지금, 여기에서 나와 마주친 사건에 대한 해석과 주장이다. 이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제시문의 출처가 천 년이 지난 고전에서 나오더라도 마찬가지다. 제시문의 내용은 천 년을 거슬러 올라가 그것을 음미하라는 말이 아니라, 천 년 전에 쓰여진 이야기가 오늘날에도 의미가 있는 것인지를 묻는 것이다. 그것이 한국의 반대편에서 쓰여진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한국의 반대편 상황을 알기위한 교양차원의 제시문이 아니라, 여기 한국에서 그러한 내용이 소용이 있는지를 묻는 것이다. 그것이 위대한 성인의 이야기라 하더라도, 그것은 성인을 숭배하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나의 생각을 드러내기 위한 도구로써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논술문제를 접하는 학생은 이렇게 항상 물어야 한다. 이 문제는 오늘날 이곳에서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오늘날 이곳에 살고 있는 나는 이 문제에 어떻게 답해야 하는가?
지금의 시선으로 과거를 보아라. 여기의 상황으로 거기를 탐문하라. 나의 시선으로 남을 대하라. 과거에 머무르지 마라. 다른 곳에 한 눈 팔지 마라. 남의 이야기에 솔깃하지 마라. 과거의 찬연히 빛나던 것도 지금은 빛바랜 것일 수 있다. 그곳의 진리가 이곳에선 거짓일 수있다. 남의 달콤한 시선이 나에게 독이 될 수도 있다. 오직 지금, 여기, 나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비행기가 공중을 날기 위해서는 우선 활주로에 단단히 자신의 바퀴를 붙이고 있어야 한다. 공중에 날던 비행기가 착륙하기 위해서는 바퀴를 내리고 활주로와 강한 마찰력을 가져야 한다. 비행기가 나의 생각이라면 활주로는 나의 근거이다. 거처이다. 활주로는 지금, 여기, 바로 우리의 현실이다. 마음껏 상상의 날개를 펴라. 하지만 우리가 결국 도달할 곳은 공중이 아니라 굳건한 대지임을 잊지마라. 모든 논술문제는 바로 지금, 여기, 나의 문제이다.
글
공부할때 꼭 적용 해야 할 7가지 TIP
▶공부할때 꼭 적용 해야 할 7가지 TIP ◀
1.먼저 계획을 세우자.
-영,수는 학교 진도 보다 미리 공부 하는것이 바람직 하다.
2.시간을 꼭 지키자.
-공부하는 시간동안은 인터넷이나,TV도 이시간만은 허용되서는 않된다.
3.학교 수업은 꼭 듣자.
-수업시간이 가장 중요하다.
4.반복학습을 충실히 하라.
-배운내용을 두번..세번 반복해서 공부하자.
5.공부 도우미를 이용하자.
-메모를 하며 공부하라.
-사전을 활용하라.
-문제집,교과서를 효과적적으로 활용 하자.
6.깊이있게 공부하자.
7.최대한 집중하라.
▶효과적인 9가지 학습 방법◀
1. 학교 수업이 가장 중요하다.
모든 공부는 학교수업을 중심으로 해야 합니다. 평상시 학교수업이 있을 때는 공부를 학교 수업 내용 중심으로 자습서나 참고서를 활용하자. 토요일, 휴일, 방학에는 별도의 자기계획을 세울 수는 있습니다.
2. 가장 효과적인 시기를 찾아라.
사람마다 자신이 가장 잘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따로 있기 때문에 이점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대를 검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밤에 집중적인 스타일 ; 밤늦게까지는 잘 견디지만 새벽에 못 일어나는 학생
- 새벽에 집중적인 스타일 ; 초저녁에는 잠이 많지만 비교적 새벽에는 일찍 일어나는 학생
- 일반적인 스타일 ; 보통 고교생은 12시경에 수면을 취해서 6시 전후에 일어남
- 새벽 또는 아침 식사 전에는 어문계열과 사회계열학습이 효과적입니다.
예) 국어, 외국어, 사회 등 암기과목
- 밤늦은 시간 학습에는 수리탐구계열이 효과적입니다.
예)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3. 목표의식을 갖고 공부하자.
- 10분이든, 30분이든, 1시간이든 책상에 앉았으면 반드시 목표의식을 갖고 공부합시다.
- 목표의식을 갖고 공부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상당한 차이가 생깁니다.
4. 적절한 학습계획을 세웁시다.
- 계획 없는 행동은 무모하고, 계획만 짜고 실천을 못하면 탁상공론이 됩니다.
- 비교적 적절한 계획과 결단력 있는 행동의 조화만이 학습의 승리자가 됩니다.
- 월간계획, 주간계획을 세우는 것도 유익합니다.
- 계획이 없이 무모하게 벼락치기 공부하면 하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떨어진다.
5. 수면 관리도 매우 중요한 전략이다.
- 수면 관리는 입시에 필수적인 성공요인입니다.
- 잘 때는 이 세상에서 가장 편한 자세로 숙면을 취하는 것이 매우 유익합니다.
- 다리는 따뜻하게 머리는 시원하게 잠자리를 마련하자.
6. 두뇌회전을 빨리 하는 요령
- 환기를 자주 하는 것이 주의집중 및 효율적인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 그래서 학교에서 수업계획표에도 쉬는 시간(10분)이 있는 것 아닌가합니다.
- 집에서 공부할 때 가끔 차가운 물로 세수해서 머리를 식혀주자.
- 식사는 약간 모자랄 정도로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식사시간이 아니더라도 위에서
소리가 나거나 출출할 때 약간의 간식도 도움이 됩니다. 왜냐면 배가 너무 부르거나 너무
고프면 신경이 그쪽에 쓰여 제대로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공부를 할 수 없습니다.
7. 예습과 복습을 철저히 하자
- 비록 학기초에는 이러한 것이 쉬워 보여도 시간이 지날수록 쉽지 않은 일일 수 있습니다.
- 특히 예습과정에서 이해되지 않은 것을 학교수업을 통해서 이해되었을 때 반듯이 복습하여
그 문제에 대하여 개념적인 이해를 얻도록 하자
- 모든 일에 처음과 끝이 중요하듯 공부도 처음과 끝이 중요합니다.
8. 학습시 나쁜 습관을 버립시다.
- 학습시 주의를 분산시키는 습관 예를 들어, 볼펜 돌리기, 음악듣기, 다리 흔들기, 다른 일
참견하기, 왔다갔다하기, 책을 들고 다른 생각하기 등 이러한 습관을 가급적 자기만의 방식
으로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의 바람직하지 못한 습관을 줄이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책5권 읽는 효과 이상의 위력을
발휘할 것입니다.
9.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기
- 수업시작 2-3분전에 교과서와 공책을 꺼내 지난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훑어보고, 지금 시간
에 학습할 내용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 수업 시간에는 모든 정신을 집중해서 설명을 듣는다.
- 모르는 사항은 선생님이나 친구에게 질문한다.
- 수업이 끝나면 약 2-3분 동안 그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머리 속으로 대략 정리해본다.
- 성적향상과 효율적인 공부는 학교수업 시간 속에서의 태도가 상당히 좌우합니다.
- 자투리 시간의 효율적인 사용은 연말에 매우 큰 힘이 됩니다.
▶공부하고 싶지만 기초가 부족해요.◀
-포기하지 맙시다
-자신감을 갖고 나는 기초가 부족한 부분을 반드시 채우고 말겠다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내가 부족한 기초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자신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느 과목의
어느 부분이 내가 잘 못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공부의 양을 토대로 합리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공부할 내용을 전반적으로 대충 검토하기(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해도 상관없음)
-다시 공부할 내용을 하나씩 검토하면서 모르는 부분, 처음 같은 느낌이 드는 부분, 쉽게 이
해가 되지 않는 부분 등을 체크해야 합니다.
-책을 읽으면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연필로 궁금증을 적어 놔둘 것
-책의 저자가 쓴 심화문제, 탐구문제 등을 풀어볼 것
-지금까지 체크한 부분이 여러분이 해결해야 될 영역으로 이제 체크한 부분을 중심으로
처음부터 하나씩 그 부분을 풀어나가는 것입니다.
-해결된 부분은 '완료' 혹은 '해결'이라고 써도 되고 아니면 O표시를 해도 괜찮을 것입니다.
-이렇게 해결된 후 다시 그 책을 전반적으로 읽어 내려가는 것입니다. 대부분 여러분이 체크
한 것은 해결이 되었으나 그래도 모호하게 이해하는 부분이 발견되었을 경우 이전과 다른
체크(예를 들어 Q)라는 표시를 할 수도 있겠죠
-책을 다 읽은 후에 내가 체크한 Q라는 표시에 대해서 답을 스스로의 힘으로 찾아보는 것입
니다. 참고자료를 사용해도 무방할 것 같아요. 이렇게 답을 찾은 다음 책을 읽어보세요
-이번에는 비교적 읽어 내려가는 속도가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기초가 부족한 부분의 책 내용을 정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위와 같은
방법 말고 자기만의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것이 있으면 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랍직합니다.
▶집중을 잘할 수 있는 방법들◀
집중을 잘할 수 있는 방법들
1. 집중하려면 딱딱한 의자에 앉아 등을 곧게 펴고 앉는다.
2.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서두르지 말고 차분한 마음을 갖는다.
3. 집중이 안될 때는 감정을 발산하라. 운동을 통해 발산해도 효과적이다.
4. 심호흡도 심신의 안정을 가져온다.
5. 아무리 집중하려 해도 안될 때는 즉시 하던 일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한다.
6. 매일 잠자리에서 특정한 분야를 개략적으로 헤아려본다.
7. 집중이 잘 되지 않을 때는 쉬운 과제부터 해보거나 주변을 정리하고 다시 시작한다.
8. 집중이 안되어 최악의 결과가 나타날 경우를 상상해 본다.
집중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기에 자신이 직접 고르시고 자신에게 잘 맞는 다
른 집중 방법들도 찾아보세요. 집중도 연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수학이 어려워요..◀
수학이란 학문은 자연세계를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그 목적인 만큼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방식을 키워주는 학문입니다. 주위를 보면 '수학은 너무 싫어' 하는 학생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이것은 수학의 본질을 모르고 피상적으로 생각하기에 그런 거 아닌가 싶습니다. 수학
이라는 학문이 기초를 필요로 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달려드는 것 역시 하나의
수학 실패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성공적인 수학공부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첫째, 기본공식을 무조건 암기하지 말고 이해하도록 합시다. 수학공부를 할 때 공식이 많이
나오게 되는데 결과인 공식만을 암기하여 문제를 풀려는 학생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식으로
문제를 풀다 보면 응용이 되는 문제에서는 항상 막히게 되는 수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무조건
적인 공식암기가 아닌 이해가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둘째, 문제를 푸는 습관을 바르게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풀 때는 귀찮더라고 풀이 과
정을 일일이 기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숫자를 쓸 때도 정확하게 쓰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문제를 잘 풀고서도 잘못된 문제 푸는 습관 때문에 틀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과정을 생략
하고 문제를 풀던 사람은 답안을 작성할 때 어려움이 들것이고 계산을 빨리 하려고 숫자를 흘겨
쓰는 사람은 숫자를 혼동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진지하고 바른 태도로 문제를 푸는 자세를 가
져야 합니다.
셋째, 복잡한 문제를 수학적 언어로 단순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수학과 국어는
별로 연계성이 없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은데 그렇지가 않습니다. 문제의 뜻을 파악하지 못하
거나 잘못 파악하여 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제가 길고 복잡한 경우는 제일 먼저 할
일은 이것을 독해하여 수학적인 언어로 바꾸는 것입니다. 수학적인 언어라는 것은 수학에서
독특하게 사용되는 문자나 기호 같은 것을 뜻합니다. 문자나 기호이외에 그림을 이용해서 문제
를 표현하는 것도 문제를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됩니다. 기다란 문장으로 주어진 문제가
어려운 이유의 하나는 문제 안에 몇 가지 작은 문제들이 숨어있습니다.
▶잠이 너무 많은데 이길 방법 없나요?◀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잠이 많고 어떤 이는 잠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어요. 또한 연령별 특색이 있어요. 다들 아는 것처럼 나이가 많은 할아버지 할머니 등은
잠이 적을 수 있으며 어린아이 특히 신생아는 하루 중 상당시간을 잠을 자야되는 경우도 있어요.
그럼 잠(수면)의 기능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도록 하죠
일반적으로 수면은 질병, 과로, 임신, 스트레스, 정신기능 과다 등이 있을 때 그 요구가 많아
진다. 낮 동안 소모되고 손상된 부분(특히 중추신경계)을 회복시켜 주는 기능이 가장 중요한
수면기능 중의 하나입니다.
감정조절기능. 불쾌하고 불안한 감정들이 꿈과 정보처리를 통해 정화되어 아침에는 상쾌한
기분을 갖도록 해준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우울감정과 수면의 관계입니다.건강한 사람에서는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나면 우울한 감정이 감소되는 현상을 보이나 어떤 사람들에서는 수면이
우울감정을 악화시킵니다. 잠을 충분히 잤는데도 낮에 정신이 흐릿하고 졸리 운 경우는 쉽게
병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대수롭지 않게 여깁니다. 과수면 중에는 여러 원인이 있는데 가장 많은
원인으로서는 수면 무호흡과 같은 호흡장애와 관계된 과수면증, 기민증(낮에 지나치게 졸리운
증상과 함께 자기도 모르게 1-15분 정도 잠에 빠지는 특징을 주증상으로 나타남) 등이 있으며
그 외 일교차 성장애, 약물 및 정신질환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뚜렷한 원인이
없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원발성 과수면장애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수면을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1. 밤에는 자야 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밤 시간을 잠을 줄이면서 공부를 하려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극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는 상당히 비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2. 평소 신체상태를 건강해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몸의 모든 기능을 제대로 돌아가게 되겠죠. 예를 들어 몸살-감기에 걸릴
경우 그렇지 않는 친구보다 쉽게 피곤을 느끼고 잠도 많아지며 설사 잠을 자더라도 개운하게
자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 되요. 감기 한번 잘 걸리지 않는 친구가 유리하겠죠.
3. 적절한 수면량
일반적으로 우리가 취해야 하는 적정 수면시간은 약 6-9시간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그러나
여기에도 개인차가 있고 개인별 습관이 다르기에 어떤 학생은 9시간을 자야되는 학생도 있고
어떤 학생은 5시간 30분은 자야되는 학생도 있겠죠
4. 공부하는 동안 졸리면 어떻게 하죠?
공부해야 하는 시간에 참기 힘들 정도로 잠이 올 경우 기분 전환(예를 들어 바람을 쐰다던가,
체조한다던 가, 세수하거나, 주변사람과 얘기를 한다던가, 시원한 음료수를 마시거나 등)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해요.
결과적으로 잠을 많다고 지나치게 신경 쓰지 마시고 충분히 자기 방식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고 적극적으로 생각하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러나 아주 심할 정도로 잠이 쏟아지는
과수면 상태일 경우 임상심리전문가나 신경정신과전문의를 찾아가서 도움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예습이 공부 잘하는 비결이다◀
1. 예습이 공부 잘 하는 비결이다.
우리들은 아름다운 노래를 듣기 좋아한다. 특별히 합창단이 각각의 음성으로 멋진 노래를 부를 때는 그 노래로 인하여 감동을 받는다. 과연 그 많은 사람이 어떻게 화음과 박자를 맞추는 것일까? 공연을 하기 3달 전부터 각 합창단원들은 자신의 연습실에서 매일 매일 각자 자신의 파트를 열심히 연습한다. 그리고 각자의 연습이 마무리되면 모든 합창단원이 모여서 일정한 시간을 두고 함께 모여서 연습을 하는 것이다. 과연 이 연습이 없이 합창단은 공연하는 당일에 아름다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을까? 답은 당연히 아니다. 합창단의 아름다운 목속리와 화음은 미리 여러 번 연습했으므로 나타나는 결과이다.
비결은 예습이다
공부 잘 하는 방법을 한 가지만 말하라고 한다면 예습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예습은 복습보다 훨씬 중요하다. 평범해 보이지만 공부를 잘하는 반 친구를 한명 떠올려 보라. 그(녀)가 어떻게 자율학습시간과 오후 시간을 보내는가? 아주 바쁠 것이다. 먼저 그 날 예습해야 할 과목과 분량을 작은 종이에 적어본다.
그리고 우선 순위를 정한다. 영어, 수학 그리고 국어, 국사, 물리 등을 적어 넣는다. 그리고는 바로 영어 책과 사전을 내서 예습을 시작한다. 그(녀)는 졸거나 친구와 이야기할 시간이 없다. 당연히 다른 친구를 바라만 보고 있을 시간도 없다. 그 이유는 예습을 주어진 시간 내에 다 완수하기에 매일 매일 벅차기 때문이다.
교과서를 미리 한 번 읽어감
학교 수업시간에 합창 단원인 학생에게 기대되는 것과 지휘자인 선생님에게 기대되는 것은 무엇일까? 만약 우리가 선생님이라면 학생들에게 무엇을 기대할까? 각 학생이 수업에 참여하기 전에 당연히 교과서를 한 번 읽어보았기를 기대할 것이다. 학교 수업시간에 예습을 하지 않는 학생이 선생님의 설명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을 원망할 필요가 없다. 내가 학교 진도를 못 쫓아가는 것은 순전히 준비 없이 수업에 참여한 나의 책임이다. 수업내용을 이해하고 따라가는 것은 나에게 달려있다.
선생님은 논리적으로 수업을 조직하여 학생들이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도록 도와주고 정리해주시는 분이다.
▶[ 교과서 ] , 어떻게 공부할까? ◀
1. 수업시간의 공부 방법
* 배울 내용을 예습한 다음, 잘 이해되지 않았던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듣는다.
* 칠판에 적힌 내용 외에, 선생님께서 말로 설명하신 중요 내용. 그리고 수업을 들으면서 떠오른 의문들을 메모해 둔다.
★ 이시간에 모든 것을 소화한다는 생각으로 수업시간 만큼은 최대한 집중해서 든는다.(딴짓 하지 않기)
* 선생님이 강조하신 내용에서 나만의 표기 (예-☆) 를 해둔다.
* 최대한 이해하려 노력한다. ( 암기보다는 이해를 하면 수업을 듣는다)
*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처음부터 다시 내용을 입력한다.
* 공부 시간 내에 중요한 개념 (단어의 뜻을 확실히 익혀둔다.)은 바로 외우고 이해한다.
2. 시험 전 학습 계획 및 공부 방법
* 시험 점에는 실천이 가능한지를 염두에 두면서 학습 계획을 세운다.
★교과서를 읽으며, 요점을 공책에 정리한 후, 문제집을 푼다.
* 나만의 요점 정리 노트를 만들에 선생님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신 것을 다 적는다.
* 교과서, 노트, 프린트, 참고서, 문제집 등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다 활용한다.
* 복습을 여러번해서 완전히 머리에 익히고 많은 문제집을 풀어본다.
* 3주전 - 기본적인 내용을 공부한 후 교과별로 문제집을 푼다.
2주전 - 암기 과목을 위주로 열심히 외운다.
1주전 - 실수할 만한 것들을 찾아보고 개념을 확실하게 정리한다.
시험 바로 전날은 일찍 잔다.
3. 시험 후 학습
* 틀린 것이 있으면 집에 와서 왜 틀렸는지 분석해보고, 몰랐던 내용이 있었다면 그 부분을 더 공부한다.
* 틀린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고 다음에 그 문제가 다시 나온다면 틀리지 않도록 기억해 둔다.
* 시험지를 모아놓고 개학고사나 학업성취도 평가 때 훓어 본다.
* 오답 공책을 만들어 틀렸던 문제들을 스크랩해 둔다.
이렇게 한번 해보세여.......
글
성공한 사람들의 공부비법
[공부법] 성공한 사람들의 공부비법 |
글쓴이 : 작은아이 날짜 : 2006-11-06 (월) 13:02 조회 : 6399 |
글주소 : http://umz.kr/0AT92 |
1. 고승덕의 공부 비법 |
글
김경윤 선생의 논술칼럼-1
자유 김경윤 선생의 논술칼럼-1
Be Yourself!
논술을 가르치다보면 여러 종류의 학생을 만나게 된다. 그 중에서 가장 흔한 타입이 아는 것이 별로 없어서 자신은 쓸 것이 없다는 학생이다. 나는 이런 학생에게 무엇보다 이렇게 말한다. “남이 되려고 하지 말고, 너 자신이 되라!”
남의 글을 보면 그럴 듯해 보인다.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경지에 도달한 글을 보면 주눅이 든다. 멋진 표현과 그럴듯한 논리에 말문이 막힌다. 그러나 절망하지마라. 그것은 남의 글일 뿐이다. 내가 남의 인생을 살아줄 수 없듯이, 나는 남의 글을 쓸 수가 없다. 나는 나의 글을 쓸 뿐.
적어도 이 글을 읽고 있는 학생은 10대 중반은 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자신의 삶을 한번 돌이켜보라. 인생에서 즐거웠던 일, 슬펐던 일, 감동했던 일, 절망했던 일 ……. 무수히 많은 자신만의 이야기가 넘쳐난다. 그리고 남들과는 다른 자신만의 삶은 항상 있기 마련이다. 남의 흉내를 내지 마라. 오로지 자신이 되라.
대학에서 논술을 강화한다고 한다. 이번에는 통합논술형이라 한다. 대학에서 제출한 예상문제를 보니 골치가 아프다. 그렇지, 골치가 아플 것이다. 그러나 골치가 아픈 것은 나만의 일이 아니다. 모든 수험생이 골치가 아프다. 엄살피지 마라. 위로가 되는 것은 모든 대학이 학생의 창의력과 독창력을 주된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단다. 창의력과 독창력, 별거 아니다.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쓰면 되는 것이다. 거기에 수사의 옷을 입히고, 논리의 뼈대를 세우는 것은 나중에 일이다. 우선, 자신의 생각을 정확히 드러내도록 하자. 긴 글이 어렵다면 짧은 글이라도 쓰자. 다섯 줄이면 어떻고 열 줄이면 어떠랴. 그냥 써보는거다.
추신 : 매 주마다 논술논제를 올린다. 논제가 어려울 수도 있다. 그렇지만 어렵다고 생각하지 마라. 아는 대로 생각나는 대로 우선은 써보자. 내공은 수없이 많은 훈련과 시련이 만들어내는 굳은 살이다. 자 수험생 여러분 파이팅! (1006.11.8)
글
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장승수(서울대 인문수석, 사법고시합격)
[성공담] 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장승수(서울대 인문수석, 사법고시합격 |
글쓴이 : 작은아이 날짜 : 2006-11-03 (금) 15:23 조회 : 9265 |
글주소 : http://umz.kr/0AT9U |
책의 개관
책의 본격적인 내용
공부가 가장 쉬웠다는 장승수식 학습법
영어는 영영 사전을 즐겨 보았다는 점이다. 차라리 문법 실력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덜 지루한 독해공부로 바로 들어가 버렸다. 수학은 누가 장승수 씨에게도 수험 준비를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과목이 무엇이었느냐고 묻는다면, 그것은 단연 수학이었다고 말할 것이다. 수학은 기초가 중요하다. 수학에서의 기초란 한마디로 말하자면 그것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 등장하는 모든 정의, 정리, 법칙,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너무나 뻔한 이야기지만, 수학 문제를 풀다가 잠시 생각해 보고 잘 안 된다고 해서 답부터 넘겨 보는 것만큼 안 좋은 태도는 없다. 어떤 사람들은 수학 문제집을 사면 답안지부터 찢어 버리라는 말까지 하곤 한다. 답을 보지 않고 혼자서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과 끈기가 필요하다. 잘 풀리지 않는 문제가 나오면 그걸 붙잡고 금싸라기 같은 자습 시간을 온통 다 바쳐 가면서 끙끙 거릴 것이 아니라, 그 문제를 머리 속에다 암기를 해 놓고 이런저런 자투리 시간에 틈틈이 생각을 해보는 방법이었다. 수업 사이의 쉬는 시간, 도시락을 먹을 때, 학원에서 집까지 오고가는 시간, 자려고 누었는데 잠이 쉬 들지 않아서 뒤척일 때 등등 의외로 무심코 흘려 보내는 자투리 시간이 많다.
나오면서
지난 5년간 입시 공부를 하면서 내가 얻은 게 있다면 사람에겐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장래에 내가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할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앞으로도 배워야 할 것은 산더미 같고 내가 넘어야 할 한계도 무수히 많다는 것이다. 이 새로운 한계들을 뛰어넘기 위해 나는 다시 신발끈을 고쳐 매야 하리라. |
글
예비고사, 학력고사, 수능 수석합격자들
예전에는 예비고사(1969~1981)와 학력고사(1982~1993)가 대입과정으로 실시되었다.
그 당시 전국수석들의 현재는 어떤 모습일까?
1969년 : 임지순, 현재 서울대학교 교수 - 서울대 물리학과
1970년 : 오세정, 현재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서울대 물리학과
1971년 : 한태숙 교수, 현 KAIST교수 - 서울대 전자공학과
1972년 : 천정배 법무장관(서울법대도 수석합격 ; 목포수재) - 서 울대 법대
1973년 : 허익열 변호사, 79년 사시합격 현재 국내최대로펌인 김&장 소속 - 서울대 법대
1974년 : 오내원, 현 한국농촌 경제연구소 연구원 - 서울대 경제학과
1975년 : 송기호 교수, 현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 서울대 국사학과
1976년 : 임희근, 현 한울출판사 이사 - 서울대 불문과
1980년 : 김기영 변호사, 김&장 소속. 당시 차석 임수빈씨는 현재 부산지검 부장검사 확인. - 서울대 법대
1981년 : 오관석 변호사, 김&장 소속. -서울대 법대
1982년 : 원희룡 의원(16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 서울대 법대
: 여자수석 오미숙 교수, 현 순천향대학교 부교수 - 서울대 의대
1983년 : 홍승면 판사, 현재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로 재직 - 서울대 법대
1984년 : 장순욱 판사, 전 대구지법, 포항지원, 수원지법. 현 헌법재판소 판사로 근무중. - 서울대 법대
: 황덕순 선임연구원, 학력고사 수석, 현 한국노동연구원 재직. - 서울대 경제학과
1985년 : 오석태, 현 시티은행 이코노미스트로 재직중. - 서울대 경제학과
1986년 : 이준걸, 정보 불확실. - 서울대 물리학과
1987년 : 김영룡, 미국택사스에서 유학중 - 서울대 전자공학과
: 이시열 변호사, 김&장 소속 - 서울대 물리학과
1988년 : 이일완, 현 대우전자연구소 연구원, - 서울대 전자공학과
: 이정희 의원, 당시 여자수석, 현 민주노동당 의원 - 서울대 법대
1992년 : 이윤조 변호사, 김&장 소속 - 인문계 수석
수능과 본고사가 있던 94년 이후~는?
1995년 : 최지석 검사, 현 창원지검 검사로 미국 파견 근무 중. - 서울대 법대
1999년 : 오승은, 현 MIT학부생 - 서울대 물리학과
2001년 : 유주현, 현 유학중
2003년 : 윤석준, 현 해군법무관으로 복무중. - 서울대 법대
2006년 : 박지원, 현 서울대학교 법학과 4학년 재학중, 51회 사법고시합격. -서울대 법대
2007년 : 이과수석 강지호, 현 서울대학교 의예과 재학중 - 서울대 의대
2009년 : 박창희, 현 서울대학교 의예과 재학중. - 서울대 의대
글
서울대 수석합격! 하나님 방법이라면 가능하다
출처: http://www.kidoktimes.co.kr/sub_read.html?uid=112§ion=sc11
글
[월간중앙] 대입 수석 합격자 23인의 인생스토리
출처: http://jdr83.cafe24.com/wiki/moin.cgi/_bc_f6_bc_ae_c7_d5_b0_dd_c0_da_20_c0_cc_be_df_b1_e2
[월간중앙] 대입 수석 합격자 23인의 인생스토리
예비고사 혹은 학력고사 수석 합격자들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수석 합격 인터뷰에서 말한 대로 현재 그들은 부정한 사회를 밝히는 법관, 선진 한국을 이끌어 나가는 과학자들이 되어 있을까. 살아가는 동안 전국 수석이라는 경력은 그들에게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존심이다.
그러나 동시에 사회의 관심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는 까닭에 그러한 경력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대학입학시험 합격의 기쁨과 탈락의 절망감이 교차하는 2월, 1971년부터 1990년까지의 대학입학시험 수석 합격자 23명이 말하는 ‘수석 인생’스토리를 듣는다.
몇년 전 한 방송사에서 ‘그 사람 그 후’라는 TV 프로그램을 방영한 적이 있다. 과거 뉴스의 초점이었던 인물들을 찾아가 인터뷰하는 프로그램이었는데 시청자들은 어렴풋한 기억 속의 인물들을 더러는 흐뭇한 마음으로, 또 더러는 씁쓸한 마음으로 지켜봤다. 온 가족이 모이는 저녁시간대에 방영하던 그 프로를 보면서 어른들은 종종 아이들에게 인생유전이니, 인간지사 새옹지마니 하는 말들을 하곤 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우리들은 새싹들이다’로 제1회 MBC 창작동요제 대상을 차지했던 이수지씨는 어느덧 명문 여대에서 영어를 전공하는 아름다운 숙녀가 되어 있었고, 집이 가난해 라면만 먹고 운동했다던 아시안게임 육상 3관왕 임춘애씨는 꽤 잘 나가는 보험설계사가 되어 있었다. 앙상한 몸으로 전국민의 눈물샘을 터뜨렸던 임씨는 라면만 먹고 운동했다는, 그래서 돈을 벌면 우유도 마시고 싶다고 했다는 과거의 보도는 상당히 과장된 것이었다는 말을 잊지 않았다.
말많은 세상, 그 가운데서도 가장 재미있는 것은 사람 사는 이야기가 아닐까. 사람 사는 이야기 가운데서도 과거 뉴스의 초점이었던 이른바 ‘화제의 인물’들이 오늘날 어떻게 사는지 몰래 엿보는 것은 참 재미있는 일이다.
학력고사 혹은 예비고사에서 전국 수석의 영광을 안았던 사람들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12월말, 혹은 1월초 신문의 사회면을 대문짝만하게 장식하며 모든 수험생들의 부러움을 받았던 그들은 지금 잘 살고 있을까. 인터뷰에서 약속이나 한 듯 말했던 것처럼 그들은 현재 부정한 사회를 밝히는 법관, 사회정의 구현에 이바지하는 법학자, 선진 한국을 이끌어 나가는 과학자들이 되어 있을까.
학력고사 혹은 예비고사 전국 수석 합격자들을 찾아내는 작업은 예상했던 것처럼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1971년 예비고사 수석 합격자부터 1990년 학력고사 수석 합격자까지 20년간의 수석 합격자들을 찾기 위해 지난 20년 동안의 12월과 1월분 신문을 샅샅이 뒤졌다. 1990년대 학력고사나 수능 수석 합격자들은 취재 대상에서 제외했다. 올해 30세 이상으로 사회생활을 하고 있을 수석 합격자들만 취재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과거 신문기사를 통해 1차적으로 수석 합격자들의 명단과 지망 대학 학과, 출신고 등을 알아낼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연락처를 알아내기는 쉽지 않았다. 우선 서울대학교 총동문회(전국 수석 합격자들은 한명도 예외없이 서울대로 진학했다) 와 과별 동문회, 각 출신 고등학교와 고교 총동문회 등에 연락해 반 정도의 연락처를 알아낼 수 있었다.
어디에도 연락처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과거 수석 합격 인터뷰 기사에 난 부모의 이름을 확인하고 수석합격자 아버지의 당시 직장을 수소문해 연락처를 알아내기도 했다. 한명의 연락처를 알아내기 위해 30통 넘게 전화를 한 경우도 있다.
20년간 수석 합격자는 모두 23명이었다. 햇수보다 수석 합격자의 수가 더 많은 이유는 공동합격자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1984년과 86년, 88년 세 해였다. 1979학년도 예비고사에서는 누가 수석합격을 차지했는지 알아내지 못했다.
수석 합격자 23명이 선택한 학과는 법학과, 경제학과, 국사학과, 불문학과, 물리학과, 전자공학과, 의예과, 전산학과, 화학공학과 등으로 다양했다. 그 가운데서 법학과로 진학한 경우가 6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경제학과 5명, 물리학과 4명, 전자공학과 3명 순이었고, 나머지 학과에 각각 1명씩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80년대 중반 이전에는 문과에서 전체 수석이 나온 경우가 많았으나 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대부분 이과에서 전체 수석이 나왔다는 것도 한가지 특징이었다. 수석 합격자들은 대체로 평탄한 인생을 살았다. 인생을 평탄하게 살았다는 것은 수석 합격자들이 인터뷰에서 희망한 대로 현재 법조인, 학자, 또는 연구원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중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간혹 짧지만 굴곡 많고 사연 많은 삶을 살아온 수석 합격자도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82학년도 학력고사에서 전국 수석을 차지한 원희룡(元喜龍·36·변호사) 씨의 경우다.
원희룡. 그의 이름은 제주도민들에게는 하나의 ‘전설’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적어도 1980년대에 고등학교를 다닌 사람들에게 그는 하나의 우상이나 다름없었다. 원변호사는 당시 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도 수석 합격의 소감을 묻는 물음에 “나의 영광이기에 앞서 제주의 자랑”이라고 소감을 밝혀 그 자신이 제주의 아들임을 자랑스럽게 밝힌 바 있다.
원희룡, 제주도민의 전설
사실 원변호사는 당시 제주도에서 소문난 수재였으며 그 주변에서는 은근히 그의 학력고사 전국 수석을 기대하고 있었다고 그를 아는 사람들은 말한다. 그의 수석 합격 덕분에 제주 제일고등학교는 그 이름을 전국에 떨칠 수 있었고, 자타가 공인하는 제주 지역 최고 명문인 오현고등학교는 지금까지 한번도 전국 수석을 내지 못해 전통의 라이벌 제주일고에 대해 일종의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다소 과장된 면이 있기는 하겠지만 1980년대에 고등학교를 다닌 원변호사의 고교 후배 강봉진(서울 현대중앙병원 의사) 씨는 그에 대해 이렇게 기억한다.
“수업시간에 원선배는 교실 맨 뒤쪽에 앉아 책상 위에 책을 잔뜩 쌓아 놓고 무엇인가 자기만의 공부를 하곤 했답니다. 그러다 가끔 고개를 들어 선생님을 바라보곤 했는데 그럴 때마다 수업을 하던 선생님은 자신의 수업 내용 중 뭔가 틀린 부분이 있는 것 아닌가 하고 당황해 하셨다고 합니다.”
어쨌든 그는 주위의 기대대로 학력고사에서 332점(340점 만점) 을 획득해 전국 수석의 영예를 안았고 서울대 법대에 진학했다. 많은 사람들이 그가 착실하게 공부해 재학중 사법시험에 합격해 줄 것을 기대했으나 그의 대학생활은 평탄하지 않았다. 그는 이른바 운동권 학생이 되었던 것이다.
학생운동을 하다 제적과 복학, 휴학과 복학을 거듭하면서 10년여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그의 이름은 차츰 제주도민들의 기억 속에서 멀어져갔다. 그러나 그의 고교 후배들을 중심으로 그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들은 그에 대한 소문들을 끊임없이 만들어냈다.
우선 그가 서울대에서 제적당한 후 지방의 한 신학대학에 들어갔다는 ‘설’이 있었다. 원변호사의 부친이 교회 장로였기 때문에 그 소문은 상당히 그럴 듯한 ‘팩트’(fact) 로 인정받기도 했다. 다음으로는 그가 학생운동을 하다 모 기관에 연행되어 매를 맞고 정신이상자가 되었다는 소문이었다. 거리를 배회하는 남루한 옷차림의 그를 봤다는 목격자들도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실소를 금치 못할 소문들이지만 잊혀져 가는 자신들의 ‘스타’를 그리워하는 제주도민들이 그에게 걸었던 기대가 얼마나 컸는지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어쨌든 그는 그런 소문들을 뒤로 한 채 차츰 그를 아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멀어져갔다.
원변호사가 학력고사에서 전국 수석으로 합격한 지 정확히 10년이 되던 1992년 어느날, 그를 제주도민들의 전설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하게 하는 사건이 있었다. 그가 제34회 사법시험에서 수석 합격했다는 기사가 모든 일간지의 사회면을 장식했던 것이다. 휴학과 복학을 거듭한 그의 학생운동 경력을 자세히 다루고, 남들이 사법시험 준비서들을 한번 완독할 정도의 2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공부해 수석의 영예를 안았다는 얘기도 썼다. 그를 아는 사람들은 ‘역시 원희룡’임을 연발하며 그의 천재성을 다투어 칭송했다.
특히 진보신문임을 자처하는 “한겨레신문”에서는 운동권 출신의 사시 수석 합격을 타 신문들보다 크게 보도했다. 그러면서 그가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후 인권변호사가 되고 싶다고 밝힌 소감을 실었다.
학력고사 수석 합격에 이은 사법시험 수석
그러나 그는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후 검찰로 갔다. 그후 서울지방검찰청, 수원지방검찰청 여주지청, 부산지방검찰청 검사 등을 거쳐 1998년 9월 ‘변호사 원희룡법률사무소’를 개업했다. 그리고 1999년 1월 현재의 법무법인 ‘춘추’로 자리를 옮긴다. 그는 현재 지적재산권 분야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학력고사 전국 수석, 사법시험 수석이라는 젊고 화려한 경력의 그를 정치권에서 가만히 놔둘 리 없다. 늘 386세대의 선두주자로 손꼽히는 그의 주변에서는 끊임없이 여야를 막론한 정치권의 영입경쟁이 이어졌고 마침내 지난 1월13일 오세훈 변호사 등과 함께 한나라당에 입당했다. 사실 그가 올봄 총선에 출마할 경우 제주 지역의 선거 판세는 크게 바뀔 것이라는 분석이 오래 전부터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었다. 그가 어디를 지역구로 선택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대입 수석 합격자들 가운데 법학과를 지원한 여섯명은 한 사람도 예외없이 사법시험을 패스했다. 1973년도 예비고사 수석 합격자 허익렬씨는 1979년 제21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현재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로 근무하고 있다. 그가 주로 담당하는 분야는 국제 금융 관련 업무. 그는 경기고와 서울대 법학과,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석사) 을 졸업했다.
1980년도 예비고사 수석 합격자 김기영씨는 1985년 제27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부산 해동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그도 현재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로 근무하고 있다.
최초로 학력고사가 실시된 1981년도(1981년을 최초로 학력고사가 실시된 해라고 하는 이유는 나중에 설명한다) 에 전국 수석을 차지한 오관석씨는 1983년 제25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81년에 입학해 83년에 사법시험을 패스했으니 그는 대학 입학 3년만에 청운의 꿈을 이룬 셈이다. 그는 서울대를 수석 입학했을 뿐만 아니라 수석 졸업한 드문 경력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그는 부산진고와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석사) 을 졸업했다.
법학과 출신 수석 합격자 6명 가운데 3명의 현재 근무처가 김&장 법률사무소였다. 이런 경력의 변호사들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국내 최대 로펌 김&장의 자존심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김&장의 박병무 변호사는 예비고사 수석은 아니었지만 서울대 본고사에서 수석을 차지한 데 이어 수석 졸업의 영예를 차지한 주인공이다.
해마다 바뀌는 대학입학시험 제도
1980년까지 존재하던 예비고사 제도는 1981년부터 학력고사 제도로 바뀌게 된다. 학력고사 수석 합격은 곧 서울대 수석 합격과 동의어였지만 예비고사 수석 합격자가 반드시 서울대에 수석 합격하는 것은 아니었다. 대학예비고사 성적은 대학별 본고사 전형에 30%만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대 수석 합격자를 취재대상으로 하지 않고 예비고사 수석 합격자들을 취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일개 대학(아무리 서울대라 하더라도) 의 수석이 아니라 ‘전국 수석’이라는 상징성 때문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대학입시 제도처럼 자주 바뀐 제도도 없다. ‘교육백년지대계’(敎育百年之大計) 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대입 제도는 전국이 떠들썩하게 새로 제정되었다가는 어느 해 갑자기 바뀌곤 했던 것이다. 각 일선 고등학교의 입시 지도 담당 교사들은 물론 교육부 입시 담당 관계자들도 그 변천과정을 일일이 기억할 수 없을 정도다.
여기서 대학입시 제도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대학입시 제도사(史) 는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된다. 1960년대까지 시행되던 대학별 단독시험제는 1969년 예비고사제로 교체된다. 대학입학 예비고사와 대학별 본고사를 병행하던 예비고사 제도는 1980년까지 12년 동안 비교적 ‘장수’한 제도였다. 이때는 주로 예비고사 성적을 대학별 전형에 30% 반영했다. 본고사는 대학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주로 국어·영어·수학 시험을 치렀다.
1981년부터는 본고사를 폐지하고 학력고사를 실시했다. 1981년까지 명칭은 그대로 예비고사였으나 81년부터 본고사가 폐지돼 그해 입시제도의 성격은 학력고사에 더 가까웠다. ‘선시험 후지원 제도’가 ‘선지원 후시험 제도’로 바뀌는 등 세부 내용이 변하기는 했지만 학력고사는 1993년까지 지속된다.
1994년부터는 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현재 수능은 대학별 논술과 함께 실시돼 논술이 당락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논술고사 덕분에 각 대학의 국어 전공자들 가운데서는 잘 나가는 논술강사가 상당수 배출되기도 했다.
1982년 명칭상 최초로 실시된 학력고사에서 전국 수석을 차지한 사람은 앞에서 소개한 원희룡 변호사다.
1983년도 전국 수석 홍승면씨는 1986년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서울 고려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그는 현재 수원지방법원 판사이자 법원행정처 인사 제3담당관으로 근무하고 있다. 홍판사는 학력고사 사상 최고점으로 합격한 경력의 소유자다. 340점 만점이던 학력고사에서 그는 영어에서 단 한 문제만 틀려 339점이라는 경이로운 점수를 받았다. 그는 당시 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담임도 영어 선생님이고 아버지도 영어 선생님인데 영어에서 한 문제를 틀려 죄송할 따름’이라고 소감을 피력했다.
1984년도 전국 수석 장순욱씨는 1993년 제35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대구 영신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그는 현재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판사로 재직중이다. 20년간 예비고사, 학력고사 수석 합격자 23명 가운데 경제학과를 지망한 사람은 모두 5명이다. 1974년도 예비고사에서 전국 수석을 차지한 오내원 씨는 한국농촌경제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광주 제일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그는 예비고사가 실시된 후 지방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전국 수석 합격의 기쁨을 안았다. 부친 오시록씨가 당시 광주일고에서 교편을 잡고 있어서 수석의 기쁨은 두배로 컸다고 그는 당시 인터뷰에서 밝혔다.
1978년도 예비고사에서 수석 합격한 박석원씨는 서울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82년 금성사(현 LG전자) 에 입사해 현재 LG전자 시카고 지사에서 LGEUS H/A(Home Appliances) 담당 상무보로 근무하고 있다.
1984년도 학력고사 전국 수석 황덕순씨는 현재 노동연구원에 근무하고 있다. 그는 서울 경성고와 서울대 경제학과(경제학 박사) 를 졸업했다.
1986년도 학력고사 전국 수석 오석태씨는 현재 시티은행 이코노미스트로 재직중이다. 서울 숭실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그는 부모님이 법학과를 지망할 것을 권유했으나 경제학과에 지원한 소신파였다. 1990년도 학력고사에서 수석 합격한 양진호씨도 대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경제학과에 진학했다.
학력고사 수석 합격은 이미 예견했던 일
물리학과를 지원한 수석 합격자는 모두 4명이었다. 1970년 예비고사에서 수석 합격한 오세정씨는 경기고와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현재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표면물리, 반도체 및 지성체가 그의 주된 연구 분야이며 1998년에는 한국과학재단이 주는 제6회 한국과학상을 받기도 했다.
1984년 학력고사 전체 수석 이미령씨는 서울 미림여고와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자연계 여학생으로는 학력고사 사상 처음으로 전체 수석을 차지했다. 이씨는 그해 실시된 전국 모의고사에서 줄곧 자연계 수석을 차지해 학교에서는 은근히 그의 학력고사 수석을 기대했다. 사립 미림여고의 한 교사는 1979년 학교 설립 이후 82년 1회 졸업생 김은주(서울대 의대 졸업) 씨가 여자 자연계 수석을 차지한 데 이어 84년 전국 수석을 내 학교가 온통 축제 분위기였다고 당시를 회상한다. 당시 이씨의 학급 담임이었던 송건수 미림여고 교사는 현재 이씨가 미국 유학중이라고 말했다.
1986학년도 학력고사 전체 수석 이준걸씨는 서울 경성고와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그도 현재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유학중이다. 1988년도 수석 정성태씨도 부산 충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물리학과에 진학했다.
전자공학과를 지원한 수석 합격자는 모두 3명이다. 1972년 예비고사에서 수석 합격한 한태숙씨는 서울 경기고와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그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전산학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전산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부 전자전산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1987년 학력고사 수석 김영룡씨는 부산 동래고와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김씨의 학력고사 수석은 1898년 개교한 동래고가 개교 90여년만에 처음 맞는 경사였다고 교사들은 당시를 회상한다. 김씨는 현재 미국 텍사스에서 유학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88년 학력고사 수석 이일완씨는 서울 서초고와 서울대 전자공학과(공학박사) 를 졸업했다. 이씨는 중학교 시절부터 줄곧 상위권은 유지해 왔으나 수석은 계속하지 못해 수재형이라기보다 노력형이라는 말을 듣곤 했다고 학창시절을 회상했다. 그는 현재 대우전자연구소에서 디지털TV를 연구하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
이 외에도 1975년 예비고사 수석 합격자 송기호 씨는 대전고, 서울대 국사학과(박사) 를 졸업하고 현재 서울대 인문대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국 수석 합격자가 국사학과로 진학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었다.
1976년 예비고사 수석 합격자 임희근씨는 경기여고와 서울대 불문학과, 프랑스 파리제3대학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한울출판사 이사로 재직중이다.
1977년 예비고사 수석 신상훈씨는 보성고 졸업 후 서울대 의대로 진학했고, 1989년 학력고사 수석 이종진씨는 서울 대신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화공과로 진학했다.
1971년부터 1990년까지 20년 동안 여성 수석 합격자는 단 2명 뿐이었다. 그 주인공들은 1976년 예비고사에서 수석 합격한 임희근씨와 1985년 학력고사에서 수석합격한 이미령씨다.
20년간 여성 수석 합격자는 2명 뿐
여성 수석 합격자들을 찾아내는 것은 남성 수석 합격자들을 찾아내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웠다. 이들은 서울대 총동문회나 고등학교 총동문회측에도 전혀 연락처를 남겨두지 않았다.
이미령씨 출신고인 미림여고에서는 아직도 그의 이름을 기억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특히 이씨의 고3 담임이었던 송건수 교사는 여전히 미림여고에 근무하고 있었다. 송교사는 “이씨가 줄곧 전국 모의고사에서 자연계 수석을 놓치지 않았고, 서울시교육위원회가 주최하는 수학경시대회에서 1등을 하는 등 성적이 매우 우수해 은근히 전국 수석을 기대했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또 당시 이씨의 지능지수가 152로 수재형이었다고 말했다.
임희근씨와는 수소문 끝에 어렵게 연락이 닿았다. 우선 당시 수석 합격 인터뷰 기사를 통해 부친이 언론인이자 전 청와대 대변인인 임방현씨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관훈클럽을 통해 임방현씨의 연락처를 알아냈고 임희근씨가 현재 한울출판사에 근무하고 있다는 말을 들을 수 있었다.
임씨는 경희초등학교와 혜원여중, 경기여고를 다니는 12년 동안 결석, 지각, 조퇴 한번 없이 줄곧 수석을 차지한 전형적인 모범생이었다. 그는 서울대 불문과를 졸업하고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제3대학에서 불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그리고 귀국 후 계속 출판업계에 종사하다 현재 한울출판사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수석 합격자들 가운데는 편모 슬하에서 어렵게 공부한 사람들이 많았다. 가난과 열악한 학습환경 속에서 나온 전국 수석이라는 기쁨은 사회적 지위가 있고 경제적으로 안정된 부모 밑에서 공부한 학생들이 차지한 수석보다 훨씬 크고 값진 것이었다. 그들의 수석 합격 기사를 읽으며 많은 사람들이 눈시울을 붉혔고, 새로운 삶의 희망을 얻기도 했다.
1975년 수석 송기호 교수는 두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조양임씨와 여동생 영희씨가 공장에서 버는 월 2만5,000원으로 어려운 셋방살이를 했지만 당당히 전국 수석 합격의 영예를 안았다. 수석 소감을 묻는 질문에 “기쁘다. 만점 가까이 시험을 잘 치렀기 때문에 뜻밖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담담하게 대답했다.
1981년 수석 합격자 오관석 변호사는 당시 기사에서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뒷바라지해 준 홀어머니와 외할머니에게 감사드린다”고 수석 합격의 영광을 홀어머니와 외할머니에게 돌렸다. 제주가 고향인 오변호사는 초등학교 1학년 때 공무원이던 아버지를 여의고 외가가 있던 부산으로 이사해 살았다. 오변호사의 어머니는 구멍가게를 운영하며 그를 뒷바라지했다.
1984년 수석인 노동연구원 황덕순 박사는 “홀어머님의 고생을 조금이라도 덜어주는 것은 장학생이 되는 길이라고 생각해 이를 악물고 곰처럼 공부했다”고 말해 장학생이 되기 위한 그의 노력이 얼마나 필사적이었는지 짐작하게 했다. 그런 노력이 헛되지 않아 당당히 수석 합격의 영예를 안은 것이다. 황박사 가족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 김병상씨가 한 대학의 잡역부로 일하며 어렵게 모은 월 25만원의 수입으로 가난하게 살았다. 어머니 김씨는 “남들처럼 잘 먹이고 입히지 못해 늘 가슴아팠는데 아들이 수석 합격해 너무 자랑스럽고 기쁘다”며 눈물을 흘렸다.
“수석 합격하기 위해 이를 악물고 곰처럼 공부했다”
1988년 수석 정성태씨는 “이 영광을 고무신 공장 여공으로 뒷바라지해 주신 홀어머니께 바친다”고 수석 합격의 소감을 이야기했다. 초등학교 때 가장을 잃은 정씨 가족은 어머니 안옥순씨와 누나가 집 근처 고무신 공장에서 미싱공으로 근무하며 받는 봉급 33만1,000원으로 가계를 꾸려나가야 했다.
1988년 재수 끝에 수석 합격의 영광을 안은 이종진씨는 “모든 영광을 파출부 일을 하며 어렵게 뒷바라지해준 어머님께 돌리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86년 화물트럭으로 채소 장사를 하던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허리를 크게 다쳐 몸져 누운 뒤 가족의 생계와 세 자녀의 학업 뒷바라지를 위해 온갖 궂은 일을 쫓아다니며 파출부 생활을 해온 각고의 세월이 보상받는 순간이었다.
수석 합격자들 중 유독 장남이나 장녀가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20년간 수석 합격자 23명 가운데 14명이 맏이였다.
1972년 수석 한태숙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한석환(당시 한국은행 국고부장) 씨의 6남매 중 장남이다. 1974년 수석 오내원 한국농촌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오시록(당시 광주제일고 교사) 씨의 3남매 중 장남이고, 1975년 수석 송기호 서울대 교수는 조양임씨의 1남1녀 중 장남이다.
1976년 수석 임희근 한울출판사 이사는 임방현(당시 청와대 대변인) 씨의 2남2녀 중 장녀이며, 1980년 수석 김기영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도 김준상(당시 부산진구청장) 씨의 3남 중 장남이었다. 1983년 수석 홍승면 법원행정처 인사제3담당관은 홍창선(당시 서울 종암중 교사) 씨의 2남1녀 중 장남이다.
1984년 수석 장순욱 포항지원 판사는 장영호(당시 대구 성광중 교사) 씨의 1남2녀 중 장남이고, 1984년 수석 송병호씨도 송재옥(당시 교사) 씨의 2남1녀 중 장남이다. 유이(唯二) 한 여자 수석 중 하나인 이미령씨는 이창호(당시 흥진금속주식회사 대표) 씨의 1남1녀 중 맏이다.
1986년 수석 오석태 시티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오경락(당시 청와대 정무제2비서관) 씨의 1남1녀 중 장남이고, 1987년 수석 김영룡씨는 김성진(당시 약사) 씨의 2남1녀 중 장남이다. 1988년 수석 이일완 대우전자연구소 연구원도 이정대(당시 공인회계사) 씨의 3남 중 장남이고, 1989년 수석 이종진씨는 이송헌씨의 2남1녀 중 장남이며 1990년 수석 양진호씨도 양재원씨의 2남 중 장남이다. 수석 합격자라는 꼬리표는 영광이라는 이름으로든 부담이라는 이름으로든 평생 수석 합격자들을 따라 다닌다. 1년에 오직 한 명, 많아야 두 명 정도가 얻을 수 있는 대입 전국 수석이라는 경력이 수석 합격자들에게는 어떤 의미일까.
학력고사 수석,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존심
대부분의 수석 합격자들은 전국 수석이라는 경력이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존심임과 동시에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수석 합격이 부담이 되는 이유는 늘 따라다니는 주변 사람들의 약간은 과도한 관심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서울대에 수석 입학하고 졸업 또한 수석으로 한 오관석 변호사는 “법조계라는 폐쇄성 짙은 사회 내에서는 누가 어떤 경력을 가지고 있는지 속속들이 다 알 수밖에 없다”며 “그런 까닭으로 학력고사 전체 수석합격이라는 경력이 누구에게도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주는 동시에 부담이 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희근 한울출판사 이사도 스스로에 대해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성격이라고 밝히고, “전국 수석이 메리트가 되면서도 동시에 상당한 부담감으로 작용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특성상 전국 수석이 대중의 큰 가십거리가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고 실력자라는 자부심과 ‘수석 합격자들은 무엇인가 다를 것’이라는 주위의 기대감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그들 삶을 개척해 나가는 데 플러스 요인이 된 것은 아닐까. 대입 수석 합격자들이 모두 그들 나름대로 사회의 인정을 받으면서 자신의 몫을 충실히 해나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기에 내릴 수 있는 결론이다.
2010년쯤 이들은 어떤 자리에서 무슨 일들을 하고 있을까. 다시 한번 같은 제목의 기사를 쓰고 싶다. 그때는 1990년대 대입 수석 합격자들 10인의 ‘성공’ 스토리를 독자들에게 들려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글
서울대 '수석 합격생'들의 그 후(1편 ~ 4편)
서울대 '수석 합격생'들의 그 후(1)... 2006/04/12 21:39 추천 2 스크랩 22
http://blog.chosun.com/hkoh/1049516
'머리만 끝내주게 좋아도 서울대에 합격할 수 있다' 또 '노력만 열심히 해도 서울대에 들어갈 수는 있다'
'그러나 머리만 좋은 것 가지고, 혹은 노력만으로 서울대 수석 입학이나 수석 졸업은 꿈꾸지 말라'
어떻습니까? 제가 생각해 낸 말입니다.^^
그 들어가기 어렵다는 서울대를... 그것도 거뜬히 1등으로 들어간 사람들이라면 비상한 두뇌에 공부에는 도가 튼 '공부벌레'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내노라하는 수재, 영재, 천재들 조차 언감생심 꿈조차 꾸기 어려운 게 '서울대 수석합격' 자리일 것입니다. 그러나 누군가는 해마다 서울대에 수석으로 합격하고 또 수석으로 졸업하곤 합니다.
거의 모든 사람이 인생의 4분의 1을 공부와 학업성적에 골몰해야만 하는 대한민국에서 '서울대 수석'이라는 레테르를 달면 어느정도 장밋빛 인생이 보장될 것은 거의 확실해 보이죠. 그렇다면 그 빛나는 '레테르'를 단 사람들의 그 후 인생역정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5년 전에 이에대한 연구 보고서가 한꼭지 나와 언론에 간략히 보도된 적이 있습니다. 그 보고서에 의하면 당시 서울대 수석 입학자 23명을 분석한 결과, 수석 입학자 82%인 19명이 교수로 재직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 중 절반인 9명이 모교인 서울대에서 교수로 재직중인 것으로 알려졌구요.
왜 아니겠어요?
송충이가 솔잎을 먹어야 하듯이 '공부벌레'들은 천직이 '공부(연구)'가 될 것임은 대강 예측이 가능하겠지요. 그에 비해 연세대, 고려대, 이대의 수석 입학자들은 상대적으로 회사원이나 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얼마전부터 관심을 갖고 서울대 수석 입학자들이 현재 무슨 일을 하고 지내는 지 각론으로 파악해 보려고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1960년대부터 시작, 1986년까지의 서울대 수석 합격자라면 지금쯤 사회에서 뭔가 한자리씩 맡고 있을 것이고, 그렇다면 그분들이 25만여명의 인물정보를 담고 있는 조선일보 인물정보를 비켜날 리는 없다고 보았습니다.
먼저 과거의 신문 지면을 통해 서울대 수석 합격자의 명단을 조사하여, 인물정보 수록인물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22명의 행방을 찾아보았습니다. 그 중에는 이미 세상을 뜬 분도 한 분 계셨고, 혹은 이민을 가셨거나, 결혼이나 기타 이유로 사회 활동을 접은 분도 계신 것 같습니다. 아무튼 명단을 입수한 서울대 수석 입학자 총 22명중 9명을 제외한 13명의 행적이 조선일보 인물정보를 통해 파악이 가능했습니다.
1960년 경기고를 졸업하고 서울대에 수석 입학한 남수현씨, 부산고 졸업후 상과대 경제과에 입학한 허태홍씨(68학번), 서울고 출신 법과대 한석씨(69학번), 경기고 출신으로 물리학과에 진학한 강영석씨(73 학번), 서울 대신고 출신으로 자연계열 수석을 차지한 김대중씨(77학번), 같은해 대일고 출신의 인문계열 수석자 한문영씨(77학번), 장훈고 출신으로 서울대 전체수석인 김시홍씨(79학번), 충암고 졸업후 80년 자연계열에 수석 합격한 송홍식씨, 경성고 출신 이준걸씨(86학번)등 9인의 행방은 어인일인지 인물정보에서 찾아 낼 수 없었습니다.
그외 현재민(64년), 김두철(66년), 김명수(67년), 임지순(70년), 오세정(71년), 한태숙(72년), 최종현(74년), 김승대(75년),한위수(76년, 인문계), 이동수(76년,자연계), 차국린(78년,자연계), 김동욱(78년, 인문계), 박병무(80년, 인문계)등의 수석 합격자의 경우는 수소문이 끝났습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 그들의 과거와 현재를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글이 너무 길어지면 그것도 큰 실례라는 걸 잘 알기 때문입니다. ^^
(*서울대 수석 입학자는 물론이고 수석 졸업자, 대입 예비고사, 학력고사 수석자들까지 찾아낼 만한 '공부벌레'들은 모조리 찾아내 보려고 하는데 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서울대 '수석 합격생'들의 그 후(2)... 2006/04/16 21:43 추천 1 스크랩 26
http://blog.chosun.com/hkoh/1057812
'공부짱', '시험짱' 하면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름들이 있죠.
서울대 수석 자리는 시간이 지나고 금방 잊혀졌지만, 언론을 통해 혹은 주변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공부 잘했고 정말 시험 잘치기로 둘째 가라면 서러운 사람들이 있습니다. 고시 '3관왕'이 그들이죠.
맨 먼저, 장덕진씨....
춘천고와 고려대 법대를 졸업하고 1958년부터 3년간에 걸쳐 대한민국에서 최고 어렵다는 고시 3관왕(사법, 행정, 외무)을 최초로 모조리 휩쓴 입지전적 인물로 알려졌죠. 항간에는 대통령도 시험으로 뽑게되면 응당 이분이 차지할 것이라고 회자되곤 했었죠. 박정희 대통령 시절 농수산부 장관직까지 올랐고 현재는 대륙종합개발 회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고승덕 변호사....
전남 광주 출생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법대를 수석졸업하고 장덕진씨 이후 두번째로 고시 3관왕에 등극한 인물입니다.
이분의 이력을 보면 정말로 '불세출의 천재'라는 말이 절로 나오죠. 경기고와 서울대 법대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행시 수석합격, 사시 최연소합격, 그리고 외무고시까지 포함한 3관왕 등극...
대한민국에서 최고로 어렵다는 시험을 거의 최고의 성적으로 거머쥔 독보적인 기록을 갖고 있습니다.
학창시절 하룻밤 사이에 명작소설 서너권을 읽어 제끼기도 했고, 도서관 가는 시간마저 아까워 집에서 공부할 정도였다고 하죠. 머리도 비상한데다 노력파의 전형임에 틀림없습니다. 얼마전 모 일간지 기자와 결혼 하여 화제가 됐었죠.
*고시 3관왕에 오른 장덕진/고승덕씨
이정우씨....
서울 법대 재학중 서울대 초대 총학생회장을 지냈고, '서울대 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1년 6개월간의 복역생활도 하는 등, 열혈 386 운동권으로 이름이 알려졌었죠. 그러나 88년 복학과 함께 3년여간 고시에 파고들면서 장덕진, 고승덕씨에 이어 고시 3관왕을 차지한 입지전적 인물입니다. 386 젊은피들이 한창 주가를 올릴 때, 정치권에서 손길을 내밀어도 재야에 머물며 고집을 지켰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천재형들이 고집이 좀 쎄고 자존심 강한 측면이 있죠.
이 세분 이야 말로 진정 대한민국에서 '시험' 무서운 줄 모르고 살았던 분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자...그럼 이제부터 서울대 전체수석 합격생 열전으로 다시 돌아가겠습니다.
읽기에는 좀 드라이 하더라도 서술 편의상 학번순으로 열거해 갈까 합니다.
먼저 서울대 전체수석 남수현.
경기고 출신에 1960년에 서울공대 화공과에 지망했습니다.
당시 만점 650점에 610점을 얻어 서울대 전체수석의 영광을 차지했죠. 경기고 출신으로 그해 서울 법대에 수석 합격(592점)하고 4년뒤 전체 수석으로 졸업한 강구진씨가(지난 84년 교통사고로 작고) 그의 고등학교-대학교 동기생였죠. 그해 입학정원 2천9백30명였던 서울대에 1만4천5백여명이 지원하여 경쟁률 4.8대 1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남수현씨가 지금 무엇을 하는지 인물정보 안테나에는 잡히질 않습니다.
1964년 전체수석의 영예는 공대 기계학과를 지망한 서울고 출신의 현재민씨 였습니다.
부친이 교수였던 현씨는 혜화국민학교와 서울중학교를 수석 졸업했고, 320점 만점에 290.3점으로 서울대 전체수석을 차지하죠. 그의 5남매 모두가 학교에서 1등을 휩쓸다시피하여 장안의 '수재 집안'으로 유명했다고 합니다.
현재민씨는 그후 미 프린스턴대 석사, 럿거스(Rutgers)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는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불과 얼마전 부산상고 출신으로 한국은행 총재로 새로 임명된 이성태씨가 서울 상대에 수석 합격한 입학 동기생이고, 소광섭 서울대 물리학 교수는 문리대에 수석 합격한 동기생입니다.
*64 서울대 전체수석 합격자 현재민 교수의 그때와 오늘.
1966년 서울대 전체수석 김두철씨.
경기고 출신으로 서울공대 전자공학과에 지망했습니다.
앞서 현재민씨와 같이 교수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서울대 전체수석 답잖게 경기고 다닐때 한번도 우등생에 속해본 적이 없다고 하여 주목을 끌었죠. 본인도 서울대 전체수석이란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고 하고, 언론에서도 '이색 수재'란 평을 적기도 했죠. 500점 만점에 418점으로 1966년 서울대 전체수석의 영예를 차지했습니다.
미 존스홉킨스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대 자연과학대 물리학부 교수로 재직중 입니다.
뒤에 보면 또 나오겠지만, 서울대 최고의 수재들이 물리학부 교수로 몰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해 문리대 수석 합격자 김희준씨는 현재 서울대 화학부 교수입니다.
* 66년 서울대 전체수석 김두철 교수의 그때와 오늘
이듬해인 1967년.
전체수석은 역시 경기고 졸업후 서울대 화학과에 지망한 김명수씨 입니다.
서울대를 졸업후, 미 시카고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 자연과학부 화학과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김명수씨는 4년뒤 1971년에는 서울대 문리대를 수석 졸업, 수석입학-수석졸업의 2관왕을 함께 거머쥐죠. 현재 대통령 경제비서관인 정문수씨가 그해 서울법대 수석합격(416점) 동기생 입니다. 또 그해 공대(화공과)에 수석 합격자는 BOE-하이디스테크놀로지 사장 최병두씨 였구요.
*67년 전체수석 김명수 교수 / 그해 법대 수석합격자 정문수 비서관
1968년 서울대 전체 수석은 상대 경제과에 지원한 당시 24살의 만학도 허태홍(1944년)씨 였습니다.
부산고 출신으로 5백점 만점에 438점으로 전체수석을 차지합니다. 이 분은 서울대와 좀 복잡한 인연끝에 서울대 전체수석을 차지한 경우였죠. 62년도에 서울대 전기과에 원서를 냈다가 아예 시험을 포기했고, 이듬해 공대 기계과에 응시하여 보기좋게 낙방하고, 64년에 기계과에 재도전하여 합격했으나 적성과 맞지 않는다고 1년만에 중도 포기 했습니다. 그리고 3년간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푼돈 좀 벌다가 20대 중반의 만학도로서 재도전 하여 서울대 전체수석을 차지했던 것입니다. 현 부산지법 박용수 법원장이 그해 435점으로 법대 수석을 차지한 그의 입학 동기생 입니다. 인물정보에 수록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69년 서울대 전체수석 한석씨(서울고-법과대, 406점)가 차지했는데, 이분 역시 인물정보에 잡히지 않아 무엇을 하는지는 파악할 수 없었으나, 그후 동기생이신 아주대 박승규 교수님께서 정보를 제공해 주셨습니다. 안타까운 내용이지만 뒤늦게나마 추가토록 하겠습니다.
한석군은 한글 이름을 딴 별명 '한 돌(Ein Stein)'로 불리며 머리 좋은 아인쉬타인(Einstein) 이라고 들었던 것 같습니다. 69년도에 수석 입학 후, 법대를 졸업하고 당시 (주)대우에서 임원으로 근무중, 중동에서 마유미의 KAL 폭발 사건으로 추락하는 사건에 희생이 되어 사망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울대 수석 입학생의 영재로서 흔히, 법조계나 학계가 아니라, 산업역군으로 참여 기여하다가 희생을 한, 한 석 군에게 조의를 다시 표합니다. -동기생 박승규님-
참고로 덧붙이자면 당시에는 서울대 합격선을 공개할 수 없도록 되어있는데, 조선일보 취재진이 입수한 바로는 1969년 서울대 합격 커트라인은 500점 만점에 법학과(333점), 정치학과(325점), 행정학과(320점), 불문과(317점), 외교학과(315점), 영문과(310점), 사회학과(306점) 순였다고 하네요.
*68년 전체 수석 허태홍씨/69년 전체 수석 한석씨.
다시한번 되뇌이지만 공부 잘하는 사람들에게는 뭔가 특별한 것 하나씩은 있는 것 같습니다.
꼭 '군계일학'까지는 아니라고 해도, 일단 공부좀 한다하는 인물이라면 두뇌가 특별히 좋거나, 의지가 강하다거나, 엄청난 노력형 성실파 였다거나 한 것은 사실 같아요. 그래서 꼭 '학빨'이 아니더라도, 사회에 진출했을때 그들이 성공할 확율이 그만큼 높은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글이 길어졌으니 1970년대 서울대 전체 수석합격자는 다음으로 넘깁니다.
서울대 '수석 합격생'들의 그 후(3)... 2006/04/22 22:26 추천 2 스크랩 19
http://blog.chosun.com/hkoh/1071214
정치권에도 '천재급' 혹은 '수재급'하면 떠오르는 사람들이 몇 있죠.
얼른 스쳐가는 대표적 인물이 원희룡과 천정배.
바다 건너 제주 출신으로 1982년 대입학력고사 전국수석과 서울대 수석, 92년 사법시험을 수석으로 합격한 한나라당 원희룡 의원은 누가 뭐래도 공부 잘하던 '수재' 정치인이라 할 수 있죠. 40대 초반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한나라당 최고위원직까지 올라서 있습니다.
또 목포가 낳은 '3대 천재'로 통하며 72년도 예비고사 전국 차석, 서울법대 수석입학, 사법연수원을 3등으로 졸업한 천정배 법무장관도 공부에 관한한 둘째 가라면 서러울 만큼 비상한 두뇌로 공부 잘했던 울트라 우등생 였다고 하죠. 말하는 것을 보면 '샤프'하다는 느낌은 좀 덜하지만, 아무튼 호남이 자랑하는 천재라 하니 공부하나는 흠잡을 수 없을만치 잘했나 봅니다. 이들이 정치에 입문할 때, 이들에게 남은 것은 오직 '정치 1등'만 남았다는 얘기가 오가기도 했었죠.
그밖에 경기고와 서울상대를 졸업하고 고시 양과(사법,행정)에 합격하고 공인회계사에도 합격한 박찬종 한나라당 상임고문도 시험 잘 쳤던 정치인으로 회자되던 인물로 알려지곤 했죠.
*
*원희룡/ 천정배/ 박찬종씨
그럼 60년대에 이어, 1970년대 서울대 전체수석자 열전을 계속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970년대 대학 수험생이라하면 대부분 한국전 이후에 출생한 '전후세대'들입니다. 1950년대에 태어나 개발년대인 70년대에 대학을 다녔고, 지금은 대부분 40대 후반, 혹은 50대를 살아가는 분들이 이들 세대에 해당되겠죠. 한국의 베이비부머 초창기 세대로서 이들이 대학 들어갈 때 그만큼 입시 경쟁율도 극심했을 겝니다. 흔히 말하는 475 혹은 575세대로 불리우는 세대이기도 하구요.
1970년 원년.
그해 서울대 전체수석 합격자는 경기고 출신의 임지순씨.
이분은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을 만큼 언론을 통해서도 너무 잘 알려진 인물이죠. 차세대 경제성장의 동력인 탄소나노튜브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자로 잘 알려졌고 굵직한 상도 여러번 받았죠. 국내학자로서는 노벨상에 가장 가까이 간 분으로 얘기되기도 했었습니다. 70년 당시 평균 91.3점으로 예비고사 전국 최고득점을 차지했고 서울대 입시에서는 6개과목 5백50점 만점에 4백10점으로 전체수석을 차지했지요. 서울사대부국과 경기중-경기고에서도 줄곧 수석만을 차지했던 자타공인의 수재였습니다. '크게 될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란 말을 시험 성적으로 입증해온 산증인였던 셈이죠. 미 버클리대에서 물리학 석사-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 자연과학대 물리학과 교수로 계십니다.
경복고 출신으로 상대 경영학과에 수석합격한 CJ푸드시스템 이창근 공동대표, 중앙고 졸업후 서울공대 전자공학과에 수석합격한 전 팬택&큐리텔 송문섭 사장이 수석합격 동기생들 입니다.
*임지순(70년 전체수석)/ 이창근/ 송문섭씨
1971년 서울대 전체수석 오세정씨. 이분이 걸어온 길은 임지순씨와 영락없이 닮은 꼴입니다.
경기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문리대 물리학과에 진학하게 되죠. 임지순씨와 마찬가지로 대입예비고사에서도 전국 최고득점을 차지 했으며 경기고 이과를 1등으로 졸업한 수재중의 수재였다죠. 5백80점 만점에 4백78점을 얻어 평균 82점으로 71년도 서울대 전체수석을 차지하게 됩니다.
같은 경기고 출신으로 현재 제주지법 법원장으로 있는 이호원씨가 당시 법대 수석, 인하대 경상대 경제통상학부 윤진호 교수가 그 해 상대를 수석 합격한 입학동기생 입니다. 오세정 교수는 미 스탠포드대에서 물리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임지순씨와 함께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직에 몸담고 있습니다.
*오세정(71년 전체수석)/ 이호원/ 윤진호씨
1972년 서울대 전체수석 한태숙씨. 이분도 대단한 내공을 자랑하는 분입니다.
그 해 경기고 수석졸업에, 대학예비고사 전국수석. 서울대 전체수석등 3관왕을 모두 차지했죠.
5백80점 만점에 4백47점을 얻어 평균 77점으로 서울공대 전자공학과로 진학했습니다.
집안 형제들 모두가 1등만 차지하는 '수석집안'으로도 유명했죠. 당시 한태숙씨 수석소감을 보면 보면 경기고 선배인 임지순, 오세정씨를 따라 서울대 물리학과로 지망할까 하다가 그쪽에는 쟁쟁한 선배들에게 이미 자리잡고 있으니 자신은 응용과학인 전자공학과에 진학하여 그쪽 분야에서 뜻을 펴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 석사, 미 노쓰 캐롤라이나 대학에서 박사학위 취득후,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전산과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70년대 들어 내리 3년간 경기고 출신이 전국 예비고사 톱과 서울대 전체수석을 모조리 휩쓸고 있습니다.
*한태숙씨(72년 전체수석)
1973년도 역시 경기고를 졸업한 강영석씨가 서울대 전체수석을 차지 했습니다.
5백80점 만점에 4백65점. 드믈게 수학에서는 만점을 받았습니다.
강씨 또한 앞서 임지순씨나 오세정씨처럼 서울대 문리대 물리학과 지망했습니다. 이분은 인물정보에 수록되지 않아 그 근황을 알 수가 없었는데, 때마침 이곳 블로거(박정수씨)중 한 분이 그분의 소식을 남겨 주셨기에 그것으로 근황을 대신 하겠습니다. 당시 풍한산업 전무였던 강신섭씨의 3남 1녀중 막내둥이였습니다.
-서울대 수석합격자 얘기중 인물사전에 올라 있지 않다고 한 강영석씨(물리학과 73학번)의 소식을 알고 있어 오현기씨에게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강씨는 서울대 재학중 도미하여 UC Berkeley 에서 물리학박사를 받고 이어 Yale 대학 Medical School을 졸업하고 지금 미국 Palo Alto(California) 에서 방사선 전문 의사로 살고 있습니다. 유명한 violinist 강동석씨가 그의 형입니다.-
1974년. 육여사가 서거한 해였죠.
그해 서울대 수석합격자는 충청도 출신으로 서울중-서울고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사회계열로 진학한 최종현씨 였습니다.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도서관과 집만을 오가며 독학하다시피 공부하여 6백15점 만점에 4백89점으로 서울대 전체수석을 차지했죠. 미시건대 로스쿨을 졸업후, 서울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상법)를 취득했습니다.
최씨는 수석 소감에서 사회정의를 바로잡는 법관이 되겠다고 장래 포부를 밝히기도 했는데, 1979년 사법고시 합격후, 1984년 변호사 개업(서울),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를 거쳐, 현재는 법무법인 세경 대표변호사를 역임중 입니다. 그해 자연계열에 수석합격한 전주고 출신의 채수찬의원(열린우리당)이 그의 동기생 입니다.
*최종현(74년 전체수석) *채수찬씨 *김승대(75년 전체수석) *이명식씨
1975년 서울대 수석합격자는 사회계열에 지원한 경남고의 김승대씨.
6백48점 만점에 5백46점을 얻어 서울대 전체수석을 차지합니다. 81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부산지검 검사, 서울고검 검사, 서울지검 남부지청 부장검사를 거쳐, 현재 부산대 법과대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서울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과정을 이수하였습니다. 삼성의료원 내분비대사과 의사이자 성균관 의대 이명식 교수가 그해 의예과에 수석 합격한 동기생 입니다.
참고로 1975년 서울대 모집계열별 합격 커트라인은 648점 만점에 사회계열(407점), 자연계열(373.6점), 인문계열(399.8점), 가정계열(342점), 교육계열(인문, 380.2), 교육계열(자연,356.8점), 농학계열(340점), 의예과(377.2점), 치의예과(370점), 수의예과(312점), 농가정학과(321.2점), 간호학과(323.8점)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서울대 '수석 합격생'들의 그 후(끝)... 2006/04/30 00:43 추천 2 스크랩 15
http://blog.chosun.com/hkoh/1086248
'뺑뺑이'로 불리우던 고교 평준화제도는 1974년 서울과 부산에서 처음으로 도입되게 됩니다.
당시 표면적 명분은 암기식-주입식 고교 교육의 폐단을 정상화하여 입시과열을 해소하고 고교간 학력차와 명문고의 집중현상을 막아보자는 취지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교 진학을 앞둔 대통령의 영식 박지만씨를 염두하여 평준화제도가 도입됐다는 말이 '정설'처럼 알려지고 있지요. 박지만씨는 74년 그 해 '뺑뺑이'로 중앙고에 진학하게 됩니다.
평준화 제도는 서울-부산에 이어, 그 이듬해인 75년 대구-인천-광주로, 그리고 79년에는 대전-전주-마산-청주-춘천-제주-수원 등 전국 대도시 대부분으로 확대됩니다. 주지하듯 1975년까지는 서울대 전체수석 합격자 대부분이 경기고, 서울고 등 서울의 전통 명문고생 '판'이었던 반면, 첫 평준화 세대가 시험을 치루는 77년도 부터는 서울 명문고 '싹쓸이 현상'이 사그라들게 됩니다.
그럼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1970년대 후반기 서울대 전체수석 열전을 계속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지난번 포스팅에 관심이 별로 없었더라면 나머지는 그 포스팅에 덧붙여 정리해 놓으려고 생각 했드랬는데, 지난번 내용에 무려 연인원 1만 3천여명('제블' 신기록^^)이 넘는 분들께서 방문하여 제게 즐거움을 주셨기에 별도의 포스팅으로 한번 더 올려보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지난번 방문해 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70년대 후반 서울대 전체수석자 열전을 마저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대체적으로 1956년생부터 1960년생들이 여기 해당될 것입니다.
76학년도 서울대 전체수석 합격자는 인문사회계열에 지원한 경북고생 한위수씨 였습니다.
대구 출생의 한위수씨는 단칸 셋방의 어려운 가정형편에 스스로 학비를 벌며 공부하여 고교 3년간 1등을 독차지한 수재로 알려졌습니다. 682점 만점에 577점으로 서울대 전체수석의 영예를 안게 됩니다. 한위수씨는 그후 서울대와 미 펜실베니아대 석사학위를 수료하고 부산고법과 서울고법 판사를 거쳐, 현재는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또 그 해 자연계열 수석합격자로 의예과를 지망한 이동수씨(경기고, 562.5점)는 서울 의대에서 석사, 박사학위 수료 후, 현재 서울대 의과대 핵의학교실 교수로 있습니다.
아주대 경영학부 구형건 교수(경남고)가 자연대 이공대에 수석합격한 동기생 입니다.
/한위수 서울고법 부장판사 /이동수 서울의대 교수 /구형건 아주대 교수
이듬해인 1977년.
자연계열의 김대중(만점 566점중 494.4점)씨와 인문사회계열 한문영씨(485점)가 서울대 계열별 수석을 차지합니다. 자연계열 수석 김대중씨는 서울 대신고를 수석으로 입학하여 수석으로 졸업하고, 고교 재학중에는 전국수학경연대회에서도 1등을 차지한 수재 였습니다. 수석 소감을 통해 서울대 의예과에 지망하여 교수가 되는 것이 꿈이라고 밝혔던 바, 서울대 석-박사 과정을 거쳐, 현재 삼성 서울병원 심장내과 과장, 성균관대 의대 교수직에 있습니다.
서울 대일고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인문사회계열에 수석으로 합격한 한문영씨는 전편에서 소개드렸던 한태숙씨(72년 서울대 전체수석 합격)의 동생으로 '수재집안' 답게 5년 간격으로 형과 동생이 서울대 전체수석의 영광을 차지한 드믄 케이스 입니다. '가문의 영광'이 바로 이런 경우 겠지요.
한문영씨는 법대를 지망하여 법관이 되겠다고 밝혔으나 인물정보에 수록되지 않아 근황을 알 수 없었으나, 그후 임경윤님께서 근황을 전달해 주셨기에 추가하겠습니다.
77학번의 한문영은 23회 사법시험 합격 후 연수원 13기로 수료하였고, 미국 유학후 미국변호사자격도 취득하여 그곳 로펌에 있다가 최근에 김앤장으로 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임경윤님 제보-
강범모(제물포고) 고려대 언어과학과 교수, 이광수(계성고) 숙명여대 정보과학부 컴퓨터과학전공 교수 등이 그 해 서울대 단과대별 수석 합격생들 입니다.
/한문영군과 김대중군 /김대중 교수 /강범모 교수 /이광수 교수
(*당시 신문표기에는 왼쪽이 한문영군, 오른쪽이 김대중군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김대중 교수의 지금 사진과 비교해보면 당시 신문의 이름 표기가 뒤바뀐 것으로 생각됨)
78년 서울대 전체수석은 성동고를 졸업하고 자연계열 이공계에 지망한 차국린씨(566점 만점에 490점)와 인문사회계열에 수석합격한 대구 계성고의 김동욱씨(488.6점)였습니다. 차국린씨는 미 캘리포니아대 물리학 석사, 스탠포드대 물리학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현재 서울대 자연과학부 물리학부 교수로 있습니다. 그의 한살 터울의 형 차국헌씨 또한 서울대 공과대 응용화학부 교수로 형제가 서울대 교수로 재직중 입니다.
인문사회계열 수석합격자 김동욱씨는 서울대 행정학 석사, 미 오하이오 주립대 행정학 박사후, 현재는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부교수로 있습니다.
/차국린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 /김동욱 서울대 행정학과 교수
문제의 1979년. 궁정동에서 총성이 울렸던 그 해 입니다.
79년 입시에서는 고교 평준화 지역과 비평준화 지역간 합격차가 크게 벌어져 주목을 받았습니다.
비평준화 지역의 지방 명문고인 전주고, 대전고, 마산고, 진주고, 춘천고 등이 서울의 전통 명문고를 제치고 압도적으로 많은 서울대 합격자를 내는 현상이 두드러졌던 것이지요. 평준화 지역 서울의 경우 서라벌고가 92명지원에 47명이 합격자를 배출하여 최다 합격자를 배출했고, 중동고 43명, 대성고 39명, 명지고 30명, 마포고 28명, 경동고 25명, 경신고 27명, 대광고가 14명으로 50명을 채 넘기지 못했습니다. 반면 비평준화의 지방 명문고는 전주고 157명, 마산고 107명, 대전고 102명등 1백명 이상의 합격생을 배출하여 지방 명문고가 초강세를 드러낸 특징을 보였던 해입니다.
1979년 서울대 전체수석은 650점 만점에 583점을 얻은 김시홍씨 였습니다.
중대부속국민학교-중대부중-장훈고에서 한번도 1등을 놓치지 않은 수재로서, 예비고사에서는 2점이 모자라 아깝게 전국수석을 놓쳤다고 합니다. 물리학을 전공하여 학자가 되는 것이 꿈이라고 밝혔으나, 이분 또한 인물정보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아 그 꿈을 실현했는지 확인하기 어려웠습니다.
유치원때부터 한글을 익혀 많은 동화집을 읽었고(그땐 이런것도 뉴스밸류?), 국민학교 때는 중학생 누나의 틀린 한자를 고쳐줄 만큼 머리가 뛰어나 동네 어른들을 놀래켰다고 합니다.
광성고 출신 김시현 변호사(법대 수석), 대성고를 졸업한 정웅 동국대 반도체과학 교수(공대 수석), 홍대부고 출신의 김호중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과장(의대 수석), 황익주 서울대 사회과학대 인류학과 부교수(사회대 수석)등이 그의 수석 동기생들 입니다.
/'79년 전체수석 김시홍씨 /김시현 변호사, 정웅 교수, 김호중 교수, 황익주 교수
뒤숭숭하던 1980년도 팔공학번. 신입생으로 '서울의 봄'을 캠퍼스에서 맞은 세대입니다.
그 해 서울대 자연계열 수석합격은 송홍식씨.
서울 상대 출신의 공인회계사 송성순씨의 2남 1녀중 2남으로 태어나 청운중과 충암고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684점 만점에 580.3점을 받아 자연계열 수석을 차지했습니다. 이 분 역시 역시 인물정보에 수록되지 않아 근황을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80년 서울대 인문사회계열 수석합격자 박병무씨.
대일고를 졸업하고 650점 만점에 557점(예시 330점 포함)을 받아 인문계열 수석으로 법과대에 진학하였습니다.
수석 소감에서 '유능하고 진보적인 법관'이 되는 것이 꿈이라고 밝혔던 바, 대학 재학중에 제24회 사법시험에 최연소 합격, 서울 법대 수석졸업,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로커스홀딩스와 플레너스엔터테인먼트 사장직을 거쳐 지금은 뉴브릿지 캐피털코리아와 하나로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이 분 또한 국민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단 한번도 1등을 놓치지 않은 수재중의 수재였다고 합니다. 19세의 나이에 '진보적인 법관'이 되겠다고 밝힌 점이 매우 이채롭습니다.
/송홍식(좌측)과 박병무(우측) /박병무사장 /이선민 기자
80년도에도 입시에서도 비평준화 지방 명문고의 초강세가 그대로 이어졌습니다.
특수지 학교로 지정돼 비평준화고로 남았던 서울 우신고가 160명, 전주고 155명, 대전고 131명, 마산고 109명의 합격자를 배출, 비평준화 지역의 명문고가 100명 이상의 합격자를 냈습니다.
반면 평준화 지역인 서울에서는 서울고(59명), 서라벌고(53명)만이 50여명을 넘었을뿐, 대일고(49명), 보성고(43명)등이 40명을 넘기는 선에 그쳐, 청주고(60명), 춘천고(65명)보다도 적었습니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80년 그 해 수험생중 조선일보 현직기자 중에도 수석 합격생이 한 분 계십니다.
숭문고를 졸업하고 그해 서울대 인문계열 인문대에 수석을 차지한 이선민(550점 득점) 문화부 차장이 그 주인공.
현재 조선일보 문화면 Books섹션 편집장을 맡아, 매주 토요일자 '편집자 레터'를 고정 집필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국사학과에 진학하여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사내에서는 학구파형 '선비기자'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이쯤에서 서울대 전체수석자 열전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아무튼 서울대 전체수석자 자료를 정리하면서 느낀 것은 ''수재 집안'의 내력은 분명 있다'라는 점과, 또 그들의 천재성은 어릴때 부터 뭔가 다른 '싹수'를 보이는 공통점이 있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인생에서 '부와 명예'가 전부가 아니듯, '공부 혹은 성적' 또한 인생의 전부는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평생을 치열한 경쟁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우리네 사회에서, '공부 혹은 성적'은 주요한 개인의 경쟁력이며 '성공으로 가는 길'의 '보조 열쇠' 정도는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보네요. 세상이 다원화되고 시대가 빠르게 바뀌고는 있습니다만....
P.S)포스팅 후 추가 제보내용
### '69년 서울대 전체수석 한석군은 한글 이름을 딴 별명 '한 돌(Ein Stein)'로 불리며 머리 좋은 아인쉬타인(Einstein)이라고 들었던 것 같습니다. 69년도에 수석 입학 후, 법대를 졸업하고 당시 (주)대우에서 임원으로 근무중, 중동에서 마유미의 KAL 폭발사건으로 추락하는 사건에 희생되어 사망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울대 수석 입학생의 영재로서 흔히, 법조계나 학계가 아니라, 산업역군으로 참여 기여하다가 희생을 한, 한 석 군에게 조의를 다시 표합니다. 아마, 상세 정보는 서울고21회 동기회로 부터 알 수 있으리라 생각됨 (저는 이과생이라 문과생들이 더 상세한 정보를 알고 있으리라 추정)
-동기생 박승규님 제보-
### 77학번의 한문영은 23회 사법시험 합격 후 연수원 13기로 수료하였고, 미국 유학후 미국변호사자격도 취득하여 그곳 로펌에 있다가 최근에 김앤장으로 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임경윤님 제보-
### 수석합격자 얘기중 인물사전에 올라 있지 않다고 한 강영석씨(물리학과 73학번)의 소식을 알고 있어 오현기씨에게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강씨는 서울대 재학중 도미하여 UC Berkeley 에서 물리학 박사를 받고 이어 Yale 대학 Medical School 을 졸업하고 지금 미국 Palo Alto(California) 에서 방사선 전문 의사로 살고 있습니다. 유명한 violinist 강동석씨가 그의 형입니다.
- 박정수님 제공-
세분께 감사드립니다. ^^
글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7-3
글
글
글
[초보자용 VOA 30분 느린 뉴스] VOA Special English 2012-7-2
글
글
글
1일1팝송 (영어가사+번역+동영상) I Will Survive / Gloria Gaynor
TITLE |
I Will Survive |
SINGER |
Gloria Gaynor |
LYRICS IN ENGLISH |
LYRICS IN KOREAN | ||
At first I was afraid, I was petrified Kept thinkin' I could never live without you by my side But then I spent so many nights Thinkin' how you did me wrong And I grew strong And I learned how to get along
And so you're back, from outta space I just walked in to find you here with that sad look upon your face I should have changed that stupid lock I should have made you leave your key If I had known for just one second you'd be back to bother me
후렴 Go now go, walk out the door Just turn around now Cause you're not welcome anymore Weren't you the one who tried to hurt me with goodbye Think I'd crumble? Think I'd lay down and die? Oh no, not!
I'll survive Oh as long as I know how to love I know I'll be alive I've got all my life to live I've got all my love to give and I'll survive I will survive. Hey, hey
It took all the strength I had not to fall apart Kept tryin' hard to mend the pieces of my broken heart And I spent oh so many nights Just feelin' sorry for myself I used to cry But now I hold my head up high
And you see me, somebody new I'm not that chained up little person still in love with you And so you feel like droppin' in And just expect me to be free Now I'm savin' all my love for someone who's lovin' me
후렴 반복 |
처음엔 내 곁에 당신 없이 결코 살 수 없다 는걸 생각하면 두렵고 혼란스러웠어요 하지만 당신이 내게한 잘못을 생각하며 수 많은 밤을 보내면서 난 강인해 지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배우게 되었죠
그리고 밖으로 떠돌던 당신이 돌아왔어요 집에 들어와 보니 당신이 와 있었어요 처량한 표정을 하고 말에요 자물쇠를 바꿔 놓았어야 했는데... 당신이 열쇠를 갖고 가지 못하게 할걸... 당신이 돌아와 날 귀찮게 할 것을 잠시라도 알아차렸어야 했는데...
후렴 떠나요, 저 문으로 나가 버려요 돌아서 가란 말이에요 더 이상 당신을 반기지 않아요 나에게 상처를 주고서 떠나 버린 작자가 바로 당신 아니던가요? 내가 무너져 내렸을 거라 생각했나요? 내가 쓰러져 죽었을 거라 생각했나요? 천만의 말씀!
난 꿋꿋이 살아갈 거에요 어떻게 사랑하는지, 어떻게 살아가는지 알고 있는 한 난 말짱하다구요 나에겐 살아야 할 인생도 있고 베풀어 줘야 할 사랑도 있어요 난 살아 갈 거라구요 난 포기하지 않아요
난 무너지지 않으려 온 힘을 다 쏟아 부었어요 상처난 가슴을 추스리려고 노력하고 노력했어요 나 자신을 측은해 하며 수 많은 밤을 지샜고 울기도 했어요 하지만 난 이제 자신 있어요
당신이 보다시피, 난 달라졌어요 당신 같은 사람과 사랑에 빠져서 꼼짝달싹 못하는 속좁은 여자가 아녜요 내가 사귀는 사람이 없을 거라 생각하고 당신은 그냥 한번 들르고 싶어서 왔겠죠 이제 난 내 모든 사랑을 아껴 두겠어요 날 사랑해주는 그 누군가를 위해...
후렴 반복 |
글
[사진으로 영어공부] Presidential hopeful Moon speaks at press conference
| |
Presidential hopeful Moon speaks at press conference
Moon Jae-in, a leading presidential hopeful from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 speaks at a press conference held in Daejeon on July 1, 2012. Moon, a longtime close aide to late President Roh Moo-hyun, announced last month that he will run for president in December. (END) |
* presidential hopeful : ⓝ 대통령의 꿈을 가진 사람, 대통이 되고자 하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