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고의 인권운동가 마틴 루터 킹 박사의 I have a dream 연설입니다.

영어를 통해 감동을 받을 수 있다면 이보다 더 큰 영어공부법은 없을 것입니다.
언어의 최고의 목표는 감동입니다.
영어를 통해 최고의 목표를 달성하십시오.
영어를 통해 감동을 받으십시오.
그러면 영어는 이미 여러분의 편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당근, 여기서 얻는 최고의 것은 바로 감동이죠.
그럼 1 석 몇 조인가요??
수학이 쫌 약해서...


 

Martin Luther King, Jr.

"I Have a Dream"

 

delivered 28 August 1963, at the Lincoln Memorial, Washington D.C.

 

[AUTHENTICITY CERTIFIED: Text version below transcribed directly from audio. (2)]

I am happy to join with you today in what will go down in history as the greatest demonstration for freedom in the history of our nation.

Five score years ago, a great American, in whose symbolic shadow we stand today, signed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This momentous decree came as a great beacon light of hope to millions of Negro slaves who had been seared in the flames of withering injustice. It came as a joyous daybreak to end the long night of their captivity.

But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still is not free. One hundred years later, the life of the Negro is still sadly crippled by the manacles of segregation and the chains of discrimination.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lives on a lonely island of poverty in the midst of a vast ocean of material prosperity.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is still languished in the corners of American society and finds himself an exile in his own land. And so we've come here today to dramatize a shameful condition.

In a sense we've come to our nation's capital to cash a check. When the architects of our republic wrote the magnificent words of the Constitution an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y were signing a promissory note to which every American was to fall heir. This note was a promise that all men, yes, black men as well as white men, would be guaranteed the "unalienable Rights" of "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t is obvious today that America has defaulted on this promissory note, insofar as her citizens of color are concerned. Instead of honoring this sacred obligation, America has given the Negro people a bad check, a check which has come back marked "insufficient funds."

But we refuse to believe that the bank of justice is bankrupt. We refuse to believe that there are insufficient funds in the great vaults of opportunity of this nation. And so, we've come to cash this check, a check that will give us upon demand the riches of freedom and the security of justice.

We have also come to this hallowed spot to remind America of the fierce urgency of Now. This is no time to engage in the luxury of cooling off or to take the tranquilizing drug of gradualism. Now is the time to make real the promises of democracy. Now is the time to rise from the dark and desolate valley of segregation to the sunlit path of racial justice. Now is the time to lift our nation from the quicksands of racial injustice to the solid rock of brotherhood. Now is the time to make justice a reality for all of God's children.

It would be fatal for the nation to overlook the urgency of the moment. This sweltering summer of the Negro's legitimate discontent will not pass until there is an invigorating autumn of freedom and equality. Nineteen sixty-three is not an end, but a beginning. And those who hope that the Negro needed to blow off steam and will now be content will have a rude awakening if the nation returns to business as usual. And there will be neither rest nor tranquility in America until the Negro is granted his citizenship rights. The whirlwinds of revolt will continue to shake the foundations of our nation until the bright day of justice emerges.

But there is something that I must say to my people, who stand on the warm threshold which leads into the palace of justice: In the process of gaining our rightful place, we must not be guilty of wrongful deeds. Let us not seek to satisfy our thirst for freedom by drinking from the cup of bitterness and hatred. We must forever conduct our struggle on the high plane of dignity and discipline. We must not allow our creative protest to degenerate into physical violence. Again and again, we must rise to the majestic heights of meeting physical force with soul force.

The marvelous new militancy which has engulfed the Negro community must not lead us to a distrust of all white people, for many of our white brothers, as evidenced by their presence here today,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ir destiny is tied up with our destiny. And they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ir freedom is inextricably bound to our freedom.

We cannot walk alone.

And as we walk, we must make the pledge that we shall always march ahead.

We cannot turn back.

There are those who are asking the devotees of civil rights, "When will you be satisfied?" We can never be satisfied as long as the Negro is the victim of the unspeakable horrors of police brutality. We can never be satisfied as long as our bodies, heavy with the fatigue of travel, cannot gain lodging in the motels of the highways and the hotels of the cities. We cannot be satisfied as long as the negro's basic mobility is from a smaller ghetto to a larger one. We can never be satisfied as long as our children are stripped of their self-hood and robbed of their dignity by signs stating: "For Whites Only." We cannot be satisfied as long as a Negro in Mississippi cannot vote and a Negro in New York believes he has nothing for which to vote. No, no, we are not satisfied, and we will not be satisfied until "justice rolls down like waters, and righteousness like a mighty stream."¹

I am not unmindful that some of you have come here out of great trials and tribulations. Some of you have come fresh from narrow jail cells. And some of you have come from areas where your quest -- quest for freedom left you battered by the storms of persecution and staggered by the winds of police brutality. You have been the veterans of creative suffering. Continue to work with the faith that unearned suffering is redemptive. Go back to Mississippi, go back to Alabama, go back to South Carolina, go back to Georgia, go back to Louisiana, go back to the slums and ghettos of our northern cities, knowing that somehow this situation can and will be changed.

Let us not wallow in the valley of despair, I say to you today, my friends.

And so even though we face the difficulties of today and tomorrow, I still have a dream. It is a dream deeply rooted in the American dream.

I have a dream that one day this nation will rise up and live out the true meaning of its creed: "We hold these truths to be self-evident, that all men are created equal."

I have a dream that one day on the red hills of Georgia, the sons of former slaves and the sons of former slave owners will be able to sit down together at the table of brotherhood.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n the state of Mississippi, a stat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injustic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oppression, will be transformed into an oasis of freedom and justice.

I have a dream that my four little children will one day live in a nation where they will not be judged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I have a dream today!

I have a dream that one day, down in Alabama, with its vicious racists, with its governor having his lips dripping with the words of "interposition" and "nullification" -- one day right there in Alabama little black boys and black girls will be able to join hands with little white boys and white girls as sisters and brothers.

I have a dream today!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ry valley shall be exalted, and every hill and mountain shall be made low, the rough places will be made plain, and the crooked places will be made straight; "and the glory of the Lord shall be revealed and all flesh shall see it together."2

This is our hope, and this is the faith that I go back to the South with.

With this faith, we will be able to hew out of the mountain of despair a stone of hope. With this faith, we will be able to transform the jangling discords of our nation into a beautiful symphony of brotherhood. With this faith, we will be able to work together, to pray together, to struggle together, to go to jail together, to stand up for freedom together, knowing that we will be free one day.

And this will be the day -- this will be the day when all of God's children will be able to sing with new meaning:

My country 'tis of thee, sweet land of liberty, of thee I sing.

Land where my fathers died, land of the Pilgrim's pride,

From every mountainside, let freedom ring!

And if America is to be a great nation, this must become true.

And so let freedom ring from the prodigious hilltops of New Hampshire.

Let freedom ring from the mighty mountains of New York.

Let freedom ring from the heightening Alleghenies of Pennsylvania.

Let freedom ring from the snow-capped Rockies of Colorado.

Let freedom ring from the curvaceous slopes of California.

But not only that:

Let freedom ring from Stone Mountain of Georgia.

Let freedom ring from Lookout Mountain of Tennessee.

Let freedom ring from every hill and molehill of Mississippi.

From every mountainside, let freedom ring.

And when this happens, when we allow freedom ring, when we let it ring from every village and every hamlet, from every state and every city, we will be able to speed up that day when all of God's children, black men and white men, Jews and Gentiles, Protestants and Catholics, will be able to join hands and sing in the words of the old Negro spiritual:

                Free at last! Free at last!

                Thank God Almighty, we are free at last!


설정

트랙백

댓글


인류를 감동시킨 명연설들, 과연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영어만을 위해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초보적인 방법입니다.
별 재미도 없고 영어공부를 유지할만한 충분한 동기도 되지 못합니다.
영어는 어디까지나 정보와 지식을 얻거나 표현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영어를 이용하여 다른 것을 얻으십시오.
그 다른 것이 영어공부에 대한 더 강한 동기유발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다른 것도 얻고 덤으로 영어도 얻을 것입니다.
초보 때부터 이렇게 영어를 수단으로 다른 것을 얻는 훈련을 하십시오.
이것이 가장 정상적인 어학습득 방법이요 영어고수로 가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당근, 여기서 얻는 최고의 것은 바로 고급 정보와 지식이죠.
그럼 1 석 몇 조인가요??
수학이 쫌 약해서...

Exploring the Art of Rhetoric

Former U.S. President Ronald Reagan in front of the Brandenburg Gate in West Berlin, on June 12, 1987
Photo: AP
Former U.S. President Ronald Reagan in front of the Brandenburg Gate in West Berlin, on June 12, 1987

STEVE EMBER: Welcome to THIS IS AMERICA in VOA Special English. I’m Steve Ember.

SHIRLEY GRIFFITH: And I’m Shirley Griffith. This week on our program, we learn about the art of rhetoric and tell you about a website that brings American rhetoric to life.

STEVE EMBER: We use rhetoric every time we use language, whether giving a speech or talking with a friend. So what is rhetoric? Dictionaries list several meanings for this word. One is the study of using language effectively. Another is the art of using language to persuade, influence or please.

The Greek philosopher Aristotle described rhetoric as "the ability, in each particular case, to see the available means of persuasion." But the word can also have a negative meaning, like when a politician gives a speech and critics dismiss it as "rhetoric." What they mean is, it sounded good, but lacked substance.

Michael Eidenmuller knows all about rhetoric, and he says it sometimes gets a bad name.

MICHAEL EIDENMULLER: "Rhetoric is not inherently evil or corrupt, in my view. It's a neutral tool or technology that has and is and will be used for both good or ill."

Michael Eidenmuller
www.americanrhetoric.com
Michael Eidenmuller

Mr. Eidenmuller is a communications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Tyler. About ten years ago, he created a Web page for his students. It included links to famous speeches on other websites. The idea was to create a resource that his students could use in their studies.

The list of speeches grew, and so did the popularity of the page.

SHIRLEY GRIFFITH: Then, in two thousand four, Mr. Eidenmuller posted a link to the speech that Senator Zell Miller gave at the Republican National Convention.

ZELL MILLER: “…For my family is more important to me than my Party.”

Shortly after that, the Web page received more hits than the server computer at the university could handle. As a result, Mr. Eidenmuller created a separate website and called it American Rhetoric.

AmericanRhetoric.com is an online speech bank of thousands of speeches. It gets as many as six hundred thousand visits each month during the school year in the United States. In the summer months, the number falls to about two hundred thousand visits a month.

Professor Eidenmuller says many students learning English outside the United States also use his website. It includes text, audio and in some cases video of some of the most popular speeches of our time.

STEVE EMBER: People can have different reactions to a speech depending on whether they listen to it, watch it or read it.

MICHAEL EIDENMULLER: "Attending to one or to multiple mediums does tend to produce different perspectives and encourage different judgments on any given speech or speaker."

Professor Eidenmuller points to the example of the candidate debates in the nineteen sixty presidential election. This was the first series of nationally televised debates between American presidential candidates. The public was able to hear and see John Kennedy, the Democratic candidate, and Richard Nixon, the Republican candidate, as they debated.

Nixon had suffered a knee injury and had spent time in the hospital before the first debate. He had lost weight as a result, and looked skinny and unhealthy. Kennedy had been campaigning in California. He arrived at the debate looking healthy, fit and suntanned, although the broadcast was in black-and-white.

People who listened to that first debate on the radio largely felt Nixon had performed better. But those who watched the debate on television were influenced by what they saw in addition to what they heard. Professor Eidenmuller says those who watched the debate were more likely to feel that Kennedy had won.

MICHAEL EIDENMULLER: "So mediums do matter."

SHIRLEY GRIFFITH: There are many rhetorical methods and devices that can add to good speech. These often have Latin or Greek names.

For example, anaphora is when a speaker repeats the same words at the start of sentences or phrases that follow each other. Hillary Clinton, then the first lady, used anaphora in her speech at the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in nineteen ninety-six. Notice her use of the phrase "it takes."

Hillary Clinton addresses the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in Chicago, in 1996 while she was first lady of the United States
AP
Hillary Clinton addresses the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in Chicago, in 1996 while she was first lady of the United States

HILLARY CLINTON: “To raise a happy, healthy and hopeful child, it takes a family; it takes teachers; it takes clergy; it takes business people; it takes community leaders; it takes those who protect our health and safety. It takes all of us.”

An analogy is a comparison made to show a similarity between two things. In the movie "Man of the Year," a political comedian -- played by Robin Williams -- accidentally wins the presidency. He uses an analogy.

ROBIN WILLIAMS: "Remember, ladies and gentlemen, it’s an old phrase, basically anonymous -- that politicians are a lot like diapers: They should be changed frequently and for the same reason. Keep that in mind next time you vote. Good night.”

STEVE EMBER: A metaphor is another figure of speech used to suggest a comparison between two things. The civil rights leader Martin Luther King Junior used this metaphor in one of the most famous speeches of all time.

MARTIN LUTHER KING: "With this faith we will be able to transform the jangling discords of our nation into a beautiful symphony of brotherhood."

Martin Luther King Jr. gave his "I Have a Dream" speech to hundreds of thousands of marchers gathered at the Lincoln Memorial in 1963
AP
Martin Luther King Jr. gave his "I Have a Dream" speech to hundreds of thousands of marchers gathered at the Lincoln Memorial in 1963

Professor Eidenmuller says the Reverend King's "I Have a Dream" speech is by far the most popular speech on the American Rhetoric site. It took place at the Lincoln Memorial on August twenty-eighth, nineteen sixty-three, during a huge march on Washington.

MARTIN LUTHER KING: " … I have a dream that my four little children will one day live in a nation where they will not be judged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I have a dream today!"

AmericanRhetoric.com includes a list of the "Top 100 Speeches of the 20th Century." These include the remarks that President Ronald Reagan gave at the Brandenburg Gate in West Berlin in June of nineteen eighty-seven. President Reagan was often called "the Great Communicator." Here is part of what he said.

RONALD REAGAN: "We welcome change and openness; for we believe that freedom and security go together, that the advance of human liberty -- the advance of human liberty can only strengthen the cause of world peace.”

"There is one sign the Soviets can make that would be unmistakable, that would advance dramatically the cause of freedom and peace.

"General Secretary [Mikhail] Gorbachev, if you seek peace, if you seek prosperity for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if you seek liberalization: Come here to this gate.”

"Mr. Gorbachev, open this gate.”

"Mr. Gorbachev -- Mr. Gorbachev, tear down this wall!”

SHIRLEY GRIFFITH: In nineteen forty-five, World War Two ended and the United Nations began. Three years later, fifty-eight states approve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Former first lady Eleanor Roosevelt had worked hard for the declaration. She spoke in honor of its adoption at a UN meeting in Paris on December ninth, nineteen forty-eight.

ELEANOR ROOSEVELT: "We stand today at the threshold of a great event both in the life of the United Nations and in the life of mankind. This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may well become the international Magna Carta of all men everywhere. We hope its proclamation by the General Assembly will be an event comparable to the proclamation of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by the French people in seventeen eighty-nine, the adoption of the Bill of Rights by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adoption of comparable declarations at different times in other countries."

STEVE EMBER: Another area on AmericanRhetoric.com contains recordings about the terrorist attacks of September eleventh, two thousand one. These include the first statement that President George W. Bush made to reporters during a visit to an elementary school in Sarasota, Florida.

GEORGE W. BUSH: "… Today, we've had a national tragedy. Two airplanes have crashed into the World Trade Center in an apparent terrorist attack on our country.

"I have spoken to the vice president, to the governor of New York, to the director of the FBI, and have ordered that the full resources of the federal government go to help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and -- and to conduct a full-scale investigation to hunt down and to find those folks who committed this act.

'"Terrorism against our nation will not stand. And now if you [would] join me in a moment of silence."

SHIRLEY GRIFFITH: The American Rhetoric website also includes quizzes and exercises related to the art of rhetoric. People who want to learn more about rhetoric can take classes in rhetorical theory. There are also books like "Farnsworth's Classical English Rhetoric" published in two thousand ten. Author Ward Farnsworth offers eighteen chapters' worth of rhetorical devices.

And there is another way to improve your skills. Michael Eidenmuller at AmericanRhetoric.com says you can study the speakers you admire.

MICHAEL EIDENMULLER: "Read and listen and watch the great speeches and great speakers. I would recommend listening to those speeches. If you find a speaker whose delivery you particularly like, try mimicking it."

STEVE EMBER: Our program was written and produced by Brianna Blake. I’m Steve Ember.

SHIRLEY GRIFFITH: And I’m Shirley Griffith. What are some of your favorite speeches? Tell us at voaspecialenglish.com, where people learning English can also find transcripts, audio and video to read, listen and learn. Join us again next week for THIS IS AMERICA in VOA Special English.

설정

트랙백

댓글

탐험가들이나 등반가들과 같이 극단적인 상황에 자주 직면하는 사람들은 종종
위기의 순간에 보이지 않는 제3의 존재가 자기들을 도왔다고 고백합니다.
과연 이 제3의 존재는 무엇일까요?


영어만을 위해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초보적인 방법입니다.
별 재미도 없고 영어공부를 유지할만한 충분한 동기도 되지 못합니다.
영어는 어디까지나 정보와 지식을 얻거나 표현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영어를 이용하여 다른 것을 얻으십시오.
그 다른 것이 영어공부에 대한 더 강한 동기유발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다른 것도 얻고 덤으로 영어도 얻을 것입니다.
초보 때부터 이렇게 영어를 수단으로 다른 것을 얻는 훈련을 하십시오.
이것이 가장 정상적인 어학습득 방법이요 영어고수로 가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당근, 여기서 얻는 최고의 것은 바로 고급 정보와 지식이죠.
그럼 1 석 몇 조인가요??
수학이 쫌 약해서...


Explorers Sense a Guiding Presence in Times of Danger

Ernest Shackleton
Photo: shackletoncentary.org
Ernest Shackleton

People who live through life threatening situations sometimes describe a calming presence or guiding voice.


DOUG JOHNSON:  I’m Doug Johnson.

FAITH LAPIDUS:

And I’m Faith Lapidus with EXPLORATIONS in VOA Special English. Today we tell about an unusual and mysterious experience that can affect people in extreme situations of danger. People who live through life threatening situations sometimes describe a calming presence or guiding voice that helps them survive.

People have described this experience as “sensed presence” or as an “imaginary shadow person.”  It is also known as the “Third Man” syndrome. The Canadian-American writer John Geiger wrote about this in a book called “The Third Man Factor.”

DOUG JOHNSON:  Ernest Shackleton spent his career exploring the little known areas of the South Pole. One of his most famous trips began in nineteen fourteen. The goal of the trip was to cross Antarctica on foot.  But it did not go as planned. His boat, the Endurance, became trapped and later crushed by ice.

The Endurance trapped on Antarctic iceThe Endurance trapped on Antarctic ice

After many months, Shackleton and a few of his men traveled through dangerous waters to the island of South Georgia to get help and rescue the rest of their crew. They faced extreme hunger, thirst and cold. But their rescue operation was successful, and all twenty-two crew members survived.

FAITH LAPIDUS:  Later, Shackleton wrote about the impossible struggles he faced. He described feeling that there was another unseen person with him and his men during the last days of their trip.

He wrote this about his experience: “I know that during that long and racking march of thirty-six hours over the unnamed mountains and glaciers of South Georgia it seemed to me often that we were four, not three.”

DOUG JOHNSON:  The American poet T.S. Eliot was influenced by Shackleton’s description. Here, the poet includes Shackleton’s vision in part of his famous poem “The Waste Land.”

MARIO RITTER:

Who is the third who walks always beside you?

When I count, there are only you and I together

But when I look ahead up the white road

There is always another walking beside you.

DOUG JOHNSON:  It is from this line of poetry about Shackleton that the Third Man syndrome takes its name.

FAITH LAPIDUS:  Writer and researcher John Geiger has twice experienced a similar reaction to extreme danger himself: once as a child and once while suffering from extreme cold in Arctic Canada. He says his experiences made him want to learn about Third Man examples among other explorers.

johngeiger.net
John Geiger

JOHN GEIGER: “In other words, my experience I think predisposed me to being interested in the kind of phenomena that people in these extreme and unusual environments encounter.”

DOUG JOHNSON:  With Shackleton’s experience in mind, John Geiger started to investigate whether other people facing death or extreme fear had faced similar situations.

He discussed the subject with explorers and extreme sports athletes. He read historical documents written by past explorers, prisoners of war, pilots, and ship wreck survivors.  He found that many different people in extreme situations have similar experiences.

JOHN GEIGER: “So when I had a handful of these cases, it seemed to me then there was likely something worth investigating. I began to look very seriously and very quickly found scores of examples of it.”

FAITH LAPIDUS:  In nineteen thirty-three, the British mountain climber Frank Smythe was attempting to climb Mount Everest in the Himalayan Mountains.

He was at the dangerous altitude of over eight thousand four hundred meters. Smythe was extremely tired and suffering from the effects of low oxygen. He decided to stop, rest and eat. He pulled out a piece of cake, divided it into two pieces, and offered it to another person he sensed nearby. But Frank Smythe was alone. The sense of strength and safety that he felt from this invisible person helped him survive his climb.

DOUG JOHNSON:  John Geiger points out that these Third Man experiences are very common among mountain climbers. But he shows in his book that they take place in other environments as well.

For example, one American astronaut on a four-month long mission on the Russian space station Mir saw a vision of his dead father. His father spoke to him, praised his hard wor k and gave the astronaut a sense of calm during a very stressful space operation.

In another example, pilot Edith Foltz Stearns was flying a plane to a military base in Scotland during World War Two. Because of bad weather she could not see where to land the plane. A voice next to her in the plane called out to warn her about a dangerous hill nearby. She said her imaginary “copilot” guided her to safety.

FAITH LAPIDUS:  John Geiger says that many people who experience the Third Man explain it as a religious experience. But he is more interested in exploring the science behind the Third Man. He discusses how scientists over the years have identified the experience and developed theories to explain i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human brain has developed this special ability as a survival method.

DOUG JOHNSON:  Geiger discusses several conditions that seem to produce Third Man experiences. One of these is being alone, far from other people. Being alone can be stressful especially when experienced with monotony. This is when the mind tires from the sameness of a repeated experience. For example, an explorer can be affected mentally after days of walking through the snowy environment of Antarctica. The terrible winds and never-ending whiteness may lead many polar explorers to have visions of other people.

FAITH LAPIDUS:  The psychologist Woodburn Heron wrote about this subject in his nineteen fifty-seven work “The Pathology of Boredom.” He said that the brain depends on having continuing information from the body’s senses. The mind can have problems if it has nothing new to sense. Often, the brain’s response is to create its own input, in the form of a hallucination.

A hallucination is a sensory experience that does not exist outside the mind.

DOUG JOHNSON:  Other stressful conditions can lead to Third Man experiences. These include the stress of injury or of seeing an expedition partner become injured or even die.  Different scientists have studied the effects of extreme conditions on the human mind and body.

One researcher found that extreme cold can have a damaging effect on the mind. The researcher said that before the body begins to freeze, cold can cause changes in brain chemistry which lead to hallucinations.

FAITH LAPIDUS:  Another doctor believes that Ernest Shackleton’s vision was caused by a drop in blood sugar. Explorers working in extreme cold often burn more energy than they can eat. This doctor believes that low glucose levels in the blood lead to hallucinations.

Another theory says that the stress of having to pay constant attention to survive leads to Third Man hallucinations.

DOUG JOHNSON:  Researchers in Switzerland were able to recreate a Third Man experience in a laboratory setting. They sent electric signals into the brain of a young patient who suffered from epilepsy. When the electric current was on, the woman described seeing a presence or shadow nearby who did not speak or move. When the scientists stopped the electricity, the woman said the presence disappeared.

John Geiger believes brain doctors and other scientists should study this interesting issue more fully.

FAITH LAPIDUS:  While writing the book, John Geiger believed that a test of its success would be whether people accepted its subject matter.

JOHN GEIGER: “Here I was writing a book about unseen beings helping people who are in life and death struggles. That seems to me to be a fairly out-there proposition. And yet, the evidence is so overwhelming, that really nobody has surfaced to suggest that indeed this does not happen.”

DOUG JOHNSON:  John Geiger says there is a wide acceptance of the Third Man experience among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the general public.

JOHN GEIGER: “People understand that there is this phenomenon, the Third Man Factor. And, that it applies universally, it doesn’t matter what one’s faith is, it doesn’t matter whether it’s a man or a woman. It doesn’t matter whether they are at great elevation or at sea level.”

FAITH LAPIDUS:  John Geiger suggests that the brain’s effort to create a Third Man is not an accident of human brain structure, or a sign of injury in extreme conditions.

He says it may be an evolutionary characteristic developed to help us. In times of extreme hardship, the human brain may have developed a way to create a social link, the sense of a helpful and guiding partner. So, even in a person’s darkest hour, he or she can feel less alone.

DOUG JOHNSON:  This program was written and produced by Dana Demange. I’m Doug Johnson.

FAITH LAPIDUS:  And I’m Faith Lapidus. John Geiger has created a Web site where people who have had Third Man experiences can publish their stories. You can find a link to it on our Web site, voaspecialenglish.com.  Join us again next week for Explorations in VOA Special English.

설정

트랙백

댓글

미국이 중국억제를 위해 태평양 동맹 강화에 나섰다는 기사입니다.

영어만을 위해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초보적인 방법입니다.
별 재미도 없고 영어공부를 유지할만한 충분한 동기도 되지 못합니다.
영어는 어디까지나 정보와 지식을 얻거나 표현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영어를 이용하여 다른 것을 얻으십시오.
그 다른 것이 영어공부에 대한 더 강한 동기유발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다른 것도 얻고 덤으로 영어도 얻을 것입니다.
초보 때부터 이렇게 영어를 수단으로 다른 것을 얻는 훈련을 하십시오.
이것이 가장 정상적인 어학습득 방법이요 영어고수로 가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당근, 여기서 얻는 최고의 것은 바로 고급 정보와 지식이죠.
그럼 1 석 몇 조인가요??
수학이 쫌 약해서...

US, Australia Expand Military Cooperation

This is IN THE NEWS in VOA Special English.

This week, Barack Obama became the fourth American president to speak to Australia’s parliament. Mr. Obama noted the strong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he described their security alliance as "unbreakable."

BARACK OBAMA: "From the trenches of the First World War to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Aussies and Americans have stood together. We have fought together; we have given lives together in every single major conflict of the past one hundred years, every single one. This solidarity has sustained us through a difficult decade. We will never forget the attacks of nine-eleven that took the lives not only of Americans, but people from many nations, including Australia."

Mr. Obama spoke in Canberra a day after he and Australian Prime Minister Julia Gillard announced plans for expanded military cooperation. They said the goal of the expanded cooperation is to improve security in the Asia and Pacific area.

President Obama and Australian Prime Minister Julia Gillard with American and Australian troops in Darwin
Reuters
President Obama and Australian Prime Minister Julia Gillard with American and Australian troops in Darwin

Ms. Gillard said the new cooperation would strengthen the sixty-year-old ANZUS Treaty. The treaty created a defense alliance linking Australia, New Zealand and the United States.

JULIA GILLARD: "We are a region that is growing economically, but stability is important for economic growth, too; and our alliance has been a bedrock of stability in our region."

Mr. Obama said the United States is now moving from the war on terrorism to economic and security issues in East Asia and the Pacific. He said the American message to the area is, "We are here to stay."

Under the new agreement, the United States will deploy up to two thousand five hundred Marines to Australia. There also would be close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ir forces.

Officials say a major goal of the agreement is to increase the ability of the United States to quickly assist countri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They say another goal is to train and exercise with those countries, in areas like reacting to attacks at sea or disasters.

Also this week,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restated their support for a defense treaty between the two sides.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signed a declaration expressing support of the treaty during a visit to the Philippines.

Security experts have described the American moves as an unmistakable message to China. In Beijing, a Foreign Ministry spokesman expressed concern at the developments:

Chinese spokesman Liu Weimin called for discussions about the increased American troop deployment in East Asia. He said China has never taken part in any kind of foreign military alliance like those formed by the United States.

President Obama and other American officials have repeatedly said they welcome a China that is strong and successful. And they say the United States has no plan of containing China.

During the past eighteen months, China and some of its neighbors have criticized each other for claiming territorial rights in the South China Sea. China says it wants to settle territorial disputes one on one with the countries involved. However, this way of dealing with the issue has often increased tensions.

And that's IN THE NEWS in VOA Special English. Go to voaspecialenglish.com for transcripts, MP3s and now PDF files of our stories. And follow us on Facebook, Twitter, YouTube and iTunes at VOA Learning English. I'm Christopher Cruise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US-Australia-Expand-Military-Cooperation-134237168.html

설정

트랙백

댓글


찰스 다윈과 그의 진화론에 관한 흥미있는 기사입니다.

영어만을 위해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초보적인 방법입니다.
별 재미도 없고 영어공부를 유지할만한 충분한 동기도 되지 못합니다.
영어는 어디까지나 정보와 지식을 얻거나 표현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영어를 이용하여 다른 것을 얻으십시오.
그 다른 것이 영어공부에 대한 더 강한 동기유발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다른 것도 얻고 덤으로 영어도 얻을 것입니다.
초보 때부터 이렇게 영어를 수단으로 다른 것을 얻는 훈련을 하십시오.
이것이 가장 정상적인 어학습득 방법이요 영어고수로 가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당근, 여기서 얻는 최고의 것은 바로 고급 정보와 지식이죠.
그럼 1 석 몇 조인가요??
수학이 쫌 약해서...


Great Thinkers: Charles Darwin and Evolution

A marine iguana sunbathes on rocks of San Cristobal Island in the Galapagos Archipelago. The strange animals of the Galapagos made Darwin wonder about how species develop and change.
Photo: AP
A marine iguana sunbathes on rocks of San Cristobal Island in the Galapagos Archipelago. The strange animals of the Galapagos made Darwin wonder about how species develop and change.

STEVE EMBER: Welcome to Explorations, in VOA Special English. I'm Steve Ember.  This week, Barbara Klein and I tell about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inkers in science history.

Charles Darwin developed the theory of how living things develop from simpler organisms over long periods of time.  That theory is known as evolution through natural selection.

How do new kinds of life come into existence?  For much of recorded history, people have believed that organisms were created.  Few people believed that living things changed.  What process could make such change possible?

These were some of the questions Charles Darwin asked himself over years of research in botany, zoology and geology.  He was not the first person to ask them.  His own grandfather, Erasmus Darwin, believed that species evolved.  And others, like the French naturalist Jean-Baptiste Lamark, had proposed ways this could happen.  But it was Darwin who identified and explained the process, natural selection, that causes life to evolve.

BARBARA KLEIN:  Charles Darwin was born in Shrewsbury, England on February twelfth, eighteen-oh-nine. His father Robert Darwin was a doctor.  Charles' mother Susannah Darwin was the daughter of the famous potter, Josiah Wedgwood.  She died when Charles was only eight years old.

Young Charles was intensely interested in the natural world from an early age.  But his father wanted him to be a doctor.

At age sixteen, Charles was sent to study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Edinburgh.  But he did not like it.  He found medical operations especially horrible.  He later went to Cambridge University.  His father now hoped that Darwin would become a clergyman. But at Cambridge, Charles continued to follow his own interests.  There, he met John Henslow, a plant scientist and clergyman.  The two became friends.

A painting of young Charles DarwinA painting of young Charles Darwin

STEVE EMBER:  John Henslow suggested that Charles Darwin take the unpaid position of naturalist for a trip on the British ship H.M.S. Beagle. It sailed around the world from eighteen thirty-one to eighteen thirty-six. The main goal was to make maps of the coastline of South America.  The British government paid for the voyage.  But another purpose of the trip was to collect scientific objects from around the world.

BARBARA KLEIN:  The Beagle’s first stop was one of the Cape Verde Islands near the coast of Africa.  There, Darwin noted that levels of rock extending high above the sea contained the fossil remains of shells.  He thought that this was evidence that the bottom of the ocean had been lifted up by powerful geological forces over long periods of time.

The Beagle continued to the coast of South America.  In Valdivia, Chile, Darwin experienced an earthquake.  He collected examples of plants and animals.  He also collected the fossil remains of animals that had disappeared from the Earth.

But it was on the Galapagos Islands off the coast of Ecuador that Darwin found creatures that made him wonder about how species develop and change.  There, he saw giant tortoises and noted that the reptiles were different on each island.

He collected birds, each with different beaks.  Later, after he had returned to England, he would be shocked to find that these very different birds were all finches. Darwin found lizards called iguanas that lived on land and ones that fed in the sea.

Darwin noted that all these species were similar to those found in South America.  But, they all had differences, or adaptations, that helped them survive in the environment of the Galapagos Islands.

STEVE EMBER:  Darwin sent much of what he collected back to England on other ships the Beagle met along the way.  By the time he returned to England in October of eighteen thirty-six, he was already a well known geologist and naturalist.  Within a few years, he would be accepted into scientific organizations like the Geological Society and the Royal Society.

Darwin moved to London to be near other scientists.   He wrote a new version of the book about his travels.  He also edited works of others about the things he had collected on his trip.  Darwin also agreed to write several books including the "Zoology of the Voyage of the H.M.S. Beagle."  But in eighteen thirty-seven, the pressure of the work caused his health to suffer.  He developed problems with his heart.

BARBARA KLEIN:  Charles Darwin had poor health much of his life.  He suffered headaches and problems with his skin and stomach.  No one was able to find out what disease he may have had during his lifetime.  Recently, some experts have suggested that he might have become infected with a tropical disease.  Others suggest Darwin’s health problems were caused by conflict in his mind over his theory.  Poor health would later force him to leave London and settled at Down House near Kent, England.

A copy  of Charles Darwin's notebook containing his idea of an evolutionary tree.  The notebook is in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New York City.
AP
A copy of Charles Darwin's notebook containing his idea of an evolutionary tree. The notebook is in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New York City.

Darwin began work on a series of secret notebooks containing his thoughts about the evolutionary process.  He began to think that animals developed from earlier, simpler organisms.  As early as eighteen thirty-seven, he imagined this process as a tree with branches representing new species.  Unsuccessful branches ended.  But successful evolutionary changes continued to form new branches.

STEVE EMBER:  Charles Darwin’s personal life was also expanding.  In eighteen thirty-nine, he married Emma Wedgwood, his cousin.  He told her his ideas about how species evolve over time -- what he called the transmutation of species.

Emma did not agree with her husband.  But the two had a strong and happy marriage.  They had ten children together. Seven of them survived.

BARBARA KLEIN:  Charles Darwin read widely and sought ideas from other fields of study.  He was influenced by Thomas Malthus’ work,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written in seventeen ninety-eight. Malthus argued that populations are always limited by the food supply.

Darwin would later say that this work caused him to realize the struggle for limited resources was a fact of life.  He said small changes took place in individual animals.  Changes that helped them survive would continue.  But those that did not would be destroyed. The result of this would be the formation of new species.

The British philosopher Herbert Spencer described this struggle as "survival of the fittest."  But biologists use the term “natural selection” to describe the evolutionary process.

STEVE EMBER:  Charles Darwin developed his idea slowly over more than twenty years.  He was concerned that he would lose the support of the scientific community if he revealed it.  He wrote to his friend, botanist Joseph Hooker, that speaking about evolution “was like confessing a murder.”

It was not until eighteen fifty-eight that Darwin was forced to release his theory to the public.  Another naturalist, Alfred Russel Wallace, had independently written a paper that contained ideas similar to Darwin's concerning evolution.  Wallace had reached these ideas from his studies on islands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With help from Darwin's friends, the two naturalists presented a joint scientific paper to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in July of eighteen fifty-eight.  At first there was little reaction.

Then, in November, eighteen fifty-nine, Darwin released the results of all his work on evolution.  The book was called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It was an immediate success.

BARBARA KLEIN:  The "Origin of Species" was praised by many scientists.  But religious leaders denounced it.  For them, evolution opposed the explanation of creation found in the book of Genesis in the Bible.  Today, almost all scientists accept the theory of evolution.  But many non-scientists are unsure about whether humans evolved over millions of years. In the United States, public opinion studies have shown that less than half the population believes in evolution.

STEVE EMBER:  Natural selection does not explain everything about why species evolve.  Darwin did not know about Gregor Mendel’s work on heredity.  And the discovery of genetics and D.N.A. molecules took place long after his death.  Yet, Darwin theorized in a world much different from the one we know.  That is why scientists today wonder at the depth of his knowledge and the strength of his arguments.

Charles Darwin died on April nineteenth, eighteen eighty-two.  He was buried at Westminster Abbey, in London, among other heroes of Britain.

BARBARA KLEIN:  This program was written and produced by Mario Ritter. I’m Barbara Klein.

STEVE EMBER:  And I’m Steve Ember.  You can find a link to Charles Darwin's writings and research at our Web site, voaspecialenglish.com.  Join us again next week for Explorations in VOA Special English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science-technology/Charles-Darwin-and-Evolution--133910793.html

설정

트랙백

댓글


유아발달 및 양육학 분야에서 미국내 최고권위자의 이야기입니다. 아기를 키우는 분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정보가 되겠습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Dr. Spock, 1903-1998: The World’s Most Famous Baby Doctor

Dr. Spock holds a baby at a Boston baby fair in April 1993. The birthday cake was presented to Dr. Spock to celebrate his 90th birthday
Photo: AP
Dr. Spock holds a baby at a Boston baby fair in April 1993. The birthday cake was presented to Dr. Spock to celebrate his 90th birthday
 

FAITH LAPIDUS: I’m Faith Lapidus.

STEVE EMBER: And I’m Steve Ember with People in America in VOA Special English.  Today we tell about the world’s most famous doctor for children, Benjamin Spock.

FAITH LAPIDUS: Benjamin Spock’s first book caused a revolution in the way American children were raised. His book, “The Common Sense Book of Baby and Child Care,” was published in nineteen forty-six. The book gave advice to parents of babies and young children. The first lines of the book are famous. Dr. Spock wrote: “Trust yourself. You know more than you think you do”.

STEVE EMBER: This message shocked many parents. For years, mothers had been told that they should reject their natural feelings about their babies. Before Dr. Spock’s book appeared, the most popular guide to raising children was called “Psychological Care of Infant and Child.” The book’s writer, John B. Watson, urged extreme firmness in dealing with children. The book called for a strong structure of rules in families. It warned parents never to kiss, hug or physically comfort their children.

FAITH LAPIDUS: Dr. Spock’s book was very different. He gave gentle advice to ease the fears of new parents. Dr. Spock said his work was an effort to help parents trust their own natural abilities in caring for their children.

Dr. Benjamin Spock revised his legendary best-selling "Baby and Child Care" book many times
AP
Dr. Benjamin Spock revised his legendary best-selling "Baby and Child Care" book many times

DR. SPOCK: “I was always trying to lean in the direction of reassuring parents.”

Dr. Spock based much of his advice on the research and findings of the famous Austrian psychoanalyst, Sigmund Freud.

DR. SPOCK: “Freud was interested in where is the origin of neuroses, I was interested in the other side of it, how do children grow emotionally. And I think Freud has given us a very good explanation of the stages of development.”

FAITH LAPIDUS: Dr. Spock’s book discusses the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t urges parents to use that information to decide how to deal with their babies when they are crying, hungry, or tired.

For example, Dr. Spock dismissed the popular idea of exactly timed feedings for babies. Baby care experts had believed that babies must be fed at the same times every day or they would grow up to be demanding children.

Dr. Spock said babies should be fed when they are hungry. He argued that babies know better than anyone about when and how much they need to eat. He did not believe that feeding babies when they cry in hunger would make them more demanding.       He also believed that showing love to babies by hugging and kissing them would make them happier and more secure.

STEVE EMBER: “The Common Sense Book of Baby and Child Care” examined the emotional and physical growth of children. Dr. Spock said he did not want to just tell a parent what to do. He said he tried to explain what children generally are like at different times in their development so parents would know what to expect.

Dr. Spock’s book did not receive much notice from the media when it was published in nineteen forty- six. Yet, seven hundred fifty thousand copies of the book were sold during the year after its release. Dr. Spock began receiving many letters of thanks from mothers around the country.

FAITH LAPIDUS: Dr. Spock considered his mother, Mildred Spock, to be the major influence on his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He said his ideas about how parents should act were first formed because of her. He reacted to the way in which his mother cared for him and his brother and sisters.

In the first printing of his legendary book there was no mention of pregnancy or drug abuse. Dr. Spock said the addition of those topics later was a new and startling change
AP
In the first printing of his legendary book there was no mention of pregnancy or drug abuse. Dr. Spock said the addition of those topics later was a new and startling change

Dr. Spock described his mother as extremely controlling. He said she believed all human action was the result of a physical health issue or a moral one. She never considered her children’s actions were based on emotional needs.

DR. SPOCK: “And though some people have said I suppose this book is a protest against the way you were brought up, well that’s only about a third of it.”

FAITH LAPIDUS: Dr. Spock later argued against this way of thinking. Yet, he praised his mother’s trust of her own knowledge of her children. In his book, “Spock on Spock,” he wrote about his mother’s ability to correctly identify her children’s sicknesses when the doctors were wrong.

DR. SPOCK: “I think that my interest in children, devotion to children and those of my sisters and brother were all because my mother was totally devoted to her children. So I think that’s part of where I got launched from, I cared a lot about children, but I think I also thought there must be easier ways, more pleasant ways to bring up children than the rather severe oppressive way that my mother used.”

STEVE EMBER: Benjamin Spock was born in nineteen-oh-three. He was the first of six children. The Spock family lived in New Haven, Connecticut. His father was a successful lawyer. Benjamin was a quiet child. He attended Phillips Academy, a private school in Andover, Massachusetts. Later he attended Yale University in New Haven. He joined a sports team at Yale that competed in rowing boats. In nineteen twenty-four, he and his team members competed in rowing at the Olympic Games in Paris, France. They won the gold medal.

FAITH LAPIDUS: Benjamin Spock worked at a camp for disabled children for three summers during his years at Yale. He said the experience probably led to his decision to enter medical school. He began at Yale Medical School, but he completed his medical degree at Columbia University in New York City. He graduated as the best student in his class in nineteen twenty-nine.

Benjamin Spock had married Jane Cheney during his second year in medical school. They later had two sons, Michael and John.

Dr. Spock began working as a pediatrician, treating babies and children in New York City in nineteen thirty-three. During the next ten years he tried to fit the theories about how children develop with what mothers told him about their children. In nineteen forty-three, a publisher asked him to write a book giving advice to parents. He finished the book by writing at night during his two years of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Navy.

Jane Spock helped her husband produce the first version of “Baby and Child Care.” She typed the book from his notes and spoken words.

STEVE EMBER: During the nineteen fifties, Dr. Spock became famous. He wrote several other books. He wrote articles for a number of magazines. He appeared on television programs. He taught at several universities. And he gave speeches around the country to talk to parents about their concerns.

During this time, he discovered things he wanted to change in the book. He wanted to make sure parents knew that they should have control over their children and expect cooperation from them. So, in nineteen fifty-seven the second version of the book was published. He continued to make changes to “Baby and Child Care” throughout his life.

Dr. Benjamin Spock  spoke at a meeting for "Peace in Vietnam" in Fair Lawn, N.J in 1968
AP
Dr. Benjamin Spock spoke at a meeting for "Peace in Vietnam" in Fair Lawn, N.J in 1968

FAITH LAPIDUS: In the nineteen sixties, Benjamin Spock began to be active in politics. He supported John F. Kennedy in his campaign for president. He joined a group opposed to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Dr. Spock also took part in demonstrations to protest the Vietnam War. In nineteen sixty-eight, he was found guilty of plotting to aid men who were refusing to join the American armed forces.

STEVE EMBER: Dr. Spock appealed the ruling against him. Finally, it was cancelled. However, the legal battle cost Doctor Spock a lot of money. The events damaged public opinion of the once very trusted children’s doctor. Fewer people bought his books. Some people said Dr. Spock’s teachings were to blame for the way young people in the nineteen sixties and seventies rebelled against the rules of society. A leading American religious thinker of that time called Dr. Spock “the father of permissiveness.”

In nineteen seventy-two, Dr. Spock decided to seek election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He was the candidate of the small “People’s Party.”

He spoke out on issues concerning working families, children and minorities. Dr. Spock received about seventy-five thousand votes in the election that Richard Nixon won.

FAITH LAPIDUS: Dr. Spock’s marriage had been suffering for some time. For years, Jane Spock drank too much alcohol and suffered from depression. She reportedly felt her husband valued his professional and political interests more than he valued her. In nineteen seventy-five, Benjamin and Jane Spock ended their forty-eight-year marriage. One year later, Mary Morgan became his second wife.

STEVE EMBER: More than fifty million copies of Dr. Spock’s “Baby and Child Care” book have been sold since it was published. It has been translated into thirty-nine languages. The eighth edition was published in two thousand four.

Benjamin Spock died in nineteen ninety-eight at the age of ninety-four. Yet his advice continues to affect the lives of million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MUSIC)

FAITH LAPIDUS: This program was written by Caty Weaver. It was produced by Jill Moss. I’m Faith Lapidus.

STEVE EMBER: And I’m Steve Ember. Join us again next week for another People in America program in VOA Special English.

__

Sound of Dr. Spock taken from a 1982 interview on “The Alternative Information Network”, produced by Frank Morrow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Dr-Spock-1903-1998-The-Worlds-Most-Famous-Baby-Doctor-131321239.html

설정

트랙백

댓글


여성의 심장병현황과 그 예방에 관한 기사입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Knowing Women's Risk of Heart Disease

This is the VOA Special English Health Report.

Heart disease is the world's leading cause of death. Yet most cases can be prevented.

Doctors say reducing deaths from heart disease will require not only changes in the way people live. It will also require changes in public policy, and better public knowledge about differences in heart disease between men and women.

Two conditions, coronary artery disease and microvascular disease, can both reduce blood flow to the heart. Experts at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 Boston say heart disease in women is more likely to be caused by microvascular disease.

A nurse at the Heart Hospital in London
Reuters
A nurse at the Heart Hospital in London

Finding this condition may require tests other than an angiogram. An angiogram is a kind of X-ray test. Doctors use it to look for a buildup of fatty plaque material that can block arteries. Arteries carry oxygen-rich blood away from the heart to the rest of the bod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ays heart disease kills eighteen million women a year. And these are not just older women. Carrie Vincent had a heart attack after giving birth to her first child.

CARRIE VINCENT: "My God, I was thirty-one years old. Thirty-one-year-olds don't have heart attack."

Ms. Vincent is now taking her message to women in their homes through an organization called Sister to Sister.

Irene Pollin started Sister to Sister to educate women about heart disease. Ms. Pollin urges women to learn about their blood pressure, cholesterol levels and other risk factors for heart disease.

IRENE POLLIN: "The goal is really prevention, having people understand their risk, that they should really get screened, know their numbers and then do something about it."

Ms. Pollin teamed up with a heart specialist at Brigham and Women’s Hospital. Dr. Joanne Foody works  mostly on prevention efforts.

JOANNE FOODY: "The good news is we know that ninety percent of heart disease is preventable by reducing risk."

Reducing risk means not smoking. It means controlling or avoiding diabetes. It also means keeping a healthy weight and eating healthy foods. And it means exercising at least thirty minutes on most days and managing or reducing stress.

Dr. Dariush Mozaffarian at the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also has other advice about reducing the risk of heart attacks. He says people should eat more fish, whole grains, vegetables, vegetable oils and nuts, and reduce the amount of salt and trans fats in their diets. Trans fats can increase the risk of heart disease.

Heart disease increasingly affects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Dr. Mozaffarian places a lot of blame on the global epidemic of obesity.

DARIUSH MOZAFFARIAN: "People are getting chronic diseases not from eating too much, but eating poorly. And so in fact what they're not eating is actually probably mostly what's harming them."

And that's the VOA Special English Health Report. I'm Jim Tedder.

설정

트랙백

댓글


세계인구 70억 시대, 아기들의 언어습득과정과 인지학습과정에 관한 특집기사입니다.
부모님이나 부모가 되실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될 것입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Inside the Minds of Babies

Nurses hold newborn babies in Sidon, Lebanon, on Monday, the day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estimated that the world reached 7 billion people
Photo: AP
Nurses hold newborn babies in Sidon, Lebanon, on Monday, the day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estimated that the world reached 7 billion people
 

JUNE SIMMS: This is SCIENCE IN THE NEWS, in VOA Special English.  I’m June Simms.

MARIO RITTER: And I’m Mario Ritter.  This week, we examine scientific findings about how intelligence develops in babies.

JUNE SIMMS: Not long ago, many people believed that babies only wanted food and to be kept warm and dry. Some people thought babies were not able to learn things until they were five or six months old.

Yet doctors in the United States say babies begin learning on their first day of life. The Eunice Kennedy Shriver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is a federal government agency. Its goal is to identify which experiences can influence healthy development in people.

Researchers at the institute note that babie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environment. They say a baby will smile if her mother does something the baby likes. A baby learns to get the best care possible by smiling to please her mother or other caregiver. This is how babies learn to connect and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The researchers say this ability to learn exists in a baby even before birth. They say newborn babies can recognize and understand sounds they heard while they were still developing inside their mothers.

MARIO RITTER: Another study has suggested that low birth weight babies with no evidence of disability may be more likely than other children to have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merican researchers studied almost five hundred boys and girls. They were born in, or admitted to, one of three hospitals in New Jersey between nineteen eighty-four and nineteen eighty-seven. At birth, each child weighed fewer than two thousand grams.

The boys and girls had an average age of sixteen at the time of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complete intelligence and motor skill tests in their homes. Their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hildren their age.

The study found that the young people with low birth weight often had more problems with motion skills than others. These problems were more common among males, those with injured nerve tissue in the brain and those who had been given oxygen supplies for days as a baby.

JUNE SIMMS: Experts say the first three years of a child's life is the most intensive period of language and speech development. This is the time when the brain is develop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believed to develop best in an environment that is rich with sounds and sights. Also, the child should repeatedly hear the speech and language of other peopl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ays evidence suggests there are important periods of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This means the brain is best able to learn a language during this period. Officials say the ability to learn a language will be more difficult if these periods pass without early contact with a language.

MARIO RITTER: The first signs of communication happen during the first few days of life when a baby learns that crying will bring food and attention. Research shows that most children recognize the general sounds of their native language by six months of age. By that time, a baby usually begins to make sounds.  These sounds become a kind of nonsense speech over time.

By the end of the first year, most children are able to say a few simple words. But they may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ir words. By eighteen months of age, most children can say eight to ten words. By two years, most children are able to make simple statements, or sentences. By ages three, four and five, the number of words a child can understand quickly increases. It is at this age that children begin to understand the rules of language.

JUNE SIMMS: Many children grow up in homes where more than one language is spoken. It is clear that understanding two languages can help children as they grow older. However, new studies are showing the more immediate effects of bilingualism on babies’ brains.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organized one of the studies. They measured brain activity to compare babies in bilingual families to those in monolingual homes, where one language was spoken. The information they gathered is helping to explain how the early brain listens to language and how listening can influence the brain.

MARIO RITTER:

The researchers studied babies who were between six and twelve months old. The babies were not yet saying words in any language. The youngest monolingual babies were able to recognize a difference between a language used at home and another language. But by ten to twelve months of age, the monolingual babies were not identifying the sounds of the second language, only the main language spoken in their home.

In comparison, the bilingual babies did not differentiate sounds of different languages spoken to them between the ages of six and nine months. But between ten and twelve months, they could identify the different sounds of both languages.

JUNE SIMMS: Another report suggests that the effects languages have on a young brain are a result of people speaking, and not from video or audio recordings. In fact,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ays parents of young children should limit the time youngsters spend watching television or videos. The group says that spending time in front of the television offers no educational benefit or help to children younger than two years old.

Many videos are created especially for young children. They are advertised as learning aides. But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ays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such videos have any beneficial effect on babies. In fact, the group is warning that too much time in front of the television can in fact slow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Instead it suggests that parents limit the time babies spend watching video screens, including televisions and computers.

MARIO RITTER: The report was released last month at a meeting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The warning is not as severe as one the Academy made in nineteen ninety-nine. At that time, parents were advised to completely avoid television viewing for children under two years old.

The group says it now recognizes that banning all screen time is probably unrealistic in an age where video technology is everywhere. What is mor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t says, is communication and activities with people. The AAP says having the television on, even if it is not being watched directly by young children, can cause a problem.

(MUSIC)

JUNE SIMMS: Another American study has shown the effect of early education on future learning abilities. The study followed more than one thousand three hundred children from birth through the ages of ten or eleven. It found that children who received higher quality care before starting school had better language skills by those ages than children who had lower quality care.

The study is called the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It is said to be the largest, longest lasting and most complete study of child care in the United States.

MARIO RITTER: The children included in the study were born around nineteen ninety-one in ten areas of the country. Researchers examined the quality and amount of child care the children received until they were four and one-half years old. Child care included any care provided by people other than the child’s mother that lasted at least ten hours a week. This included any care given by fathers or other family members.

The researchers then examined each child’s performance in school and social development. They also measured other influences, such as the quality of classroom education and parenting.

JUNE SIMMS: The researchers examined whether the developmental qualities that had been observed in young children were still present a few years later. They found that the older children who had received higher quality child care continued to show better ability in tests of language skills.

Researchers tested the children’s ability to name objects shown in a series of pictures. The study confirmed that a link between high quality child care and better test results continued as the children grew older. It also found that the children’s ability was not dependent on the amount of time they had spent in child care.

MARIO RITTER: This SCIENCE IN THE NEWS was written by Brianna Blake. I’m Mario Ritter with June Simms, who was also our producer.

JUNE SIMMS: And I'm June Simms. You can find transcripts, MP3s, and podcasts of our programs at voaspecialenglish.com. Join us again next week for more news about science in Special English on the Voice of America.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Inside-the-Minds-of-Babies-132989898.html

설정

트랙백

댓글


세계인구가 70억을 넘어섰다는 보고와 함께 인도의 인구지도에 대한 기사입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The World at 7 Billion, and Growing

Commuters at the Churchgate train station in Mumbai, India, on Monday
Photo: Reuters
Commuters at the Churchgate train station in Mumbai, India, on Monday
 

This is the VOA Special English Health Report.

The United Nations estimates that the world reached seven billion people on Monday. No one can be sure. Th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does not expect that to happen until March.

Populations are growing faster than economies in many poor countries in Africa and some in Asia. At the same time, low fertility rates in Japan and many European nations have raised concerns about labor shortages.

Population experts at the United Nations estimated that the world reached six billion in October nineteen ninety-nine. They predict nine billion by twenty-fifty and ten billion by the end of the century.

Have an e-reader? Download this story as a PDF

China's population of one and a third billion is currently the world's largest. India is second at 1.2 billion. But India is expected to pass China and reach one and a half billion people around twenty twenty-five. India will also have one of the world's youngest populations.

Economists say this is a chance for a so-called demographic dividend. India could gain from the skills of young people in a growing economy at a time when other countries have aging populations. But economists say current rates of growth, although high, may not create enough jobs.

Also,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s failing to meet demand and schooling is often of poor quality. Another concern is health care. Nearly half of India’s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are malnourished. Sarah Crowe at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in New Delhi says these two problems "could keep India back."

SARAH CROWE: "That child is unable to really grow to its ability and will remain in a state of stunting and not be able to learn when it goes to school -- when he or she goes to school, and indeed later earn and really pay back and pay into the economy and help the country and the region move forward. We have, you know, out of every two hundred million children who start school, only ten percent complete grade twelve."

Michal Rutkowski is the director of human development in South Asia at the World Bank. He says the seven billionth person was likely to be a girl born in rural Uttar Pradesh. Uttar Pradesh is one of India’s poorest and most crowded states, with nearly two hundred million people.

He says reaching seven billion people in the world is a good time for a call to action.

MICHAL RUTKOWSKI: "I think the bottom line of the story is that the public policy needs to become really, really serious about gender equality and about access to services -- to combat malnutrition, and to provide for access to health services, water, sanitation, schooling."

And that's the VOA Special English Health Report.  I'm Jim Tedder.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world/The-World-at-7-Billion-and-Growing-133039348.html

설정

트랙백

댓글


흡연과 폐결핵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사입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하여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Study Links Smoking to Millions of TB Deaths

X-rays from a tuberculosis patient
Photo: AP
X-rays from a tuberculosis patient
 

This is the VOA Special English Health Repor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ently reported that the number of cases of tuberculosis has been falling since two thousand six. Also, fewer people are dying from TB. But a study b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ys smoking could threaten this progress.

Nearly twenty percent of all people use tobacco, and millions of non-smokers get sick from breathing the smoke. The new study predicts that smoking will produce an additional thirty-four million TB deaths by twenty-fifty.

Efforts to control the spread of tuberculosis have mainly focused on finding and treating infections. Much less effor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the causes. Dr. Anthony Fauci is the director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ANTHONY FAUCI: "Despite our control efforts, that you still have more than a million people each year, you know, dying from TB and millions and millions getting infected, we realize it's still a very important problem. So we have to do the practical thing and we have to do the fundamental research things at the same time."

Smoking does not cause tuberculosis; bacteria cause the infection. But the study says smoking affects the nervous system in a way that makes an inactive case of TB more likely to develop into an active one.

Stanton Glantz is director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s Center for Tobacco Control Research and Education and an author of the new study. He says it shows that tuberculosis cannot be controlled unless tobacco use is controlled.

STANTON GLANTZ: "It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who will get tuberculosis by about seven percent. It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projected to die from tuberculosis between now and twenty-fifty by about twenty-six percent."

The study is described as the first to identify a direct link between tobacco use and rates of TB infection and death. Professor Glantz says the results should guide those creating health policies and TB control efforts.

STANTON GLANTZ: "If you want to control the infectious disease of tuberculosis, you have to control the tobacco industry and the tobacco industry's efforts to increase tobacco use,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tuberculosis is a big problem."

The study predicts that the situation will only get worse if tobacco companies continue to sell more of their products in those countries. It says strong efforts to control tobacco would not only reduce deaths from smoking-related diseases like emphysema, heart disease and lung cancer. They could also prevent millions of deaths from tuberculosis.

The study appeared in BMJ, the British Medical Journal.

And that's the VOA Special English Health Report. For more news about efforts to control tobacco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Study-Links-Smoking-to-Millions-of-TB-Deaths-134356488.html

설정

트랙백

댓글


세계 식량 사정이 악화될 것이라는 보고와 함께 이것을 타개할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VOA에서 초급자용으로 특별 제작한 것으로 속도가 아주 느리므로
이해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UN Says Food Production Must Rise; How 'Fertilizer Trees' Could Help

Maize growing under Faidherbia albida
Photo: World Agroforestry Center
Maize growing under Faidherbia albida
 

This is the VOA Special English Agriculture Report.

The United Nations estimates that world food production will have to increase by seventy percent by twenty-fifty. A world population growing in number and wealth will require one billion tons more grain each year, and two hundred million tons more meat.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ays those gains will have to happen largely on existing land through "sustainable intensification."

Download this story as a PDF

Officials say the new report provides the first "global assessment of the state of the planet's land resources." It says large parts of all continents are experiencing damage. One-fourth of all land is described as "highly degraded." The greatest threats are losses of soil quality, biodiversity and water resources.

New agricultural methods and technology increased food production in many countries during the Green Revolution. Cropland increased by twelve percent from nineteen sixty-one to two thousand nine -- yet production grew by one hundred fifty percent.

But the new report warns that production rates have been slowing in many areas. In too many places, it says, practices that have increased production have also harmed the land and water. It calls for greater use of ways that can expand production while limiting damage to ecosystems.

One such practice might be the use of "fertilizer trees." These are fast-growing trees and shrubs whose leaves and roots help improve soil. A recent study found that about four hundred thousand farmers in southern Africa are using them.

The study appeared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al Sustainability. Lead author Oluyede Ajayi is senior scientist at the World Agroforestry Center in Nairobi, Kenya.

OLUYEDE AJAYI: "Basically these are trees that can fix nitrogen from the atmosphere and convert them into nitrates for fertilizer, for organic fertilizer, for the soil."

Farmers who planted fertilizer trees reported double the maize production of other farmers. In Zambia, the fertilized fields provided up to one hundred fourteen additional days of food.

Farmers say they need less rainwater if they use fertilizer trees. The trees reduce water runoff and soil erosion.

Mr. Ajayi says the project began when scientists were trying to identify the main threats to food security.

OLUYEDE AJAYI: "We actually got started by about twenty years ago trying to diagnose, to look at, the chief problems within the country, within the region."

The farmers themselves designed and managed part of the testing in the field, and spread the word of their successes.

And that's the VOA Special English Agriculture Report, written by Jerilyn Watson. I’m Bob Doughty.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agriculture/UN-Says-Food-Production-Must-Rise-How-Fertilizer-Trees-Could-Help-134635353.html

설정

트랙백

댓글


미국에서는 은퇴한 과학자나 공학자들이 초등학생들의 과학교육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기사입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Scientists, Engineers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Photo: Deborah Block
Teacher Fred Tenyke discusses science with the class at Georgian Forest Elementary school as retired engineer Dave Weiss, who helps apply his experience to help, looks on, in Silver Spring, Maryland, November 2011
 

This is the VOA Special English Education Report.

A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brings scientists and engineers into elementary schools to teach teachers more about how to teach science.

DAVE WEISS: "Welcome to science class. So good to see you guys today."

Dave Weiss is a retired engineer. One day each week he volunteers at Georgian Forest Elementary School in Silver Spring, Maryland, near Washington.

DAVE WEISS: "But the experiment we're going to do, we want to keep all of our variables constant."

He works with teacher Fred Tenyke on science projects for ten-year-olds.

DAVE WEISS: "Fred is so enthusiastic and he's so much fun with the kids. I can see that he really loves what he's doing. I get as much pleasure from helping the teachers as I do helping the students."

Student Jada Lockwood she says enjoys Mr. Weiss' visits to her classroom. She likes the drawings he uses to explain scientific ideas.

JADA LOCKWOOD: "Mr. Weiss, like, he would go in the back and draw, like, these pictures and, like, he helps us a lot."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sponsors the Senior Scientists and Engineers program. Dave Weiss has been a volunteer in that program for many years. The scientists and engineers help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mprove their skills.

Mr. Weiss says he and the other volunteers help teachers by providing hands-on expertise.

DAVE WEISS: "In this experiment, I think it might be confusing to the kids that we're dealing with two masses."

He notes that science is an area in which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limited experience.

DAVE WEIS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most part, your regular classroom teacher is responsible for teaching science, along with reading and math, and if they don't have a strong science background, just by nature, they're going to tend to underrepresent science in the curriculum."

Fred Tenyke agrees. He just started teaching science classes a few months ago.

FRED TENYKE: "A lot of time I'll spit out information I learned in the book, or things that are part of the curriculum. Dave helps me learn how to supplement that information so that it's more relevant to them, so that it will be more relevant to their work experience later on in life."

American fifteen-year-olds scored about average in science among countries that took part in testing by the OECD in two thousand nine. The OECD is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ave Weiss says he is concerned about such results, but hopeful for the future for American students learning science.

DAVE WEISS: "In elementary school I try to just give them a solid foundation. I hope they'll develop a curiosity about what's going on around them."

Fred Tenkye thinks volunteers like Dave Weiss are helping students do that.

FRED TENYKE: "And if you can develop a passion for science, then eventually the grades and the test scores, then that will follow."

And that's the VOA Special English Education Report. You can read and listen to this story and watch a video version at voaspecialenglish.com.  You can also find us on Facebook, Twitter, YouTube and iTunes at VOA Learning English. We offer English teaching lessons three times a day, Monday through Friday, on our Facebook page. I'm Christopher Cruise.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education/Scientists-Engineers-Help-Elementary-School-Teachers-134789768.html


 

설정

트랙백

댓글

아래 표현들을 여러번 소리내어 연습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I'm을 사용한 자신의 표현들을 수 십 혹은 수 백 가지 더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아무리 실력이 딸려도 이런 것은 누구나 가능합니다.
아주 훌륭한 회화 연습이 될 것입니다.


이런 기초표현들이 훈련이 잘 되어 있으면 자기도 모르게 말이 불쑥 불쑥 나오게 됩니다. 어려운 표현들은 아무리 많이 연습해도 실제로 말문이 잘 터지지 않습니다만 이런 기초표현들을 많이 훈련하면 자신의 예상보다 훨씬 입이 쉽게 열려버립니다.
스스로 놀라고 말것입니다. 기초표현들의 마술이죠.^^


I'm


"I'm so tired."
"I'm confused."
"I'm happy."
"I'm twenty three years old."
"I'm hungry."
"I'm nervous."
"I'm excited."
"I'm leaving work."
"I'm thirsty."
"I'm from Seattle."


"I'm extremely tired."
"I'm very happy."
"I'm terribly hungry."
"I am super excited."
"I'm very nervous."


"I'm in the shower."
"I'm in the lobby."
"I'm in a car."
"I'm in a house."
"I'm in a school."


"I'm at the grocery." (잡화점 건물 밖의 장소까지 포함)
"I'm at the mall."
"I'm at the doctor's office." 
"I'm at the park." 
"I'm at the airport."


"I'm in the mall." (상가 건물 속에 있음을 강조함)
"I'm in the park." (공원 안에 있음을 강조함)
"I'm in the grocery." (잡화점 건물 속에 있음을 강조함)


"I'm on the phone."
"I'm on my computer."
"I'm on a bus."


"I'm good at drawing."
"I'm good at video games."
"I'm good at swimming."
"I'm good at driving."
"I'm good at reading."
"I'm good at sports."
"I'm good at writing."
"I'm good at math."
"I'm good at dancing."
"I'm good at chess."
 
 
"I'm eating lunch."
"I'm brushing my teeth."
"I'm scared."
"I'm driving to work."
"I'm crying."
"I'm typing an email."
"I'm cooking dinner."
"I'm combing my hair."
"I'm hanging a picture."
"I am texting."
"I am dancing."
"I am interested in the job."
"I am exercising."
"I am sad."
"I am learning."


"I'm getting better."
"I'm getting ready for bed."
"I'm getting a tooth ache."
"I'm getting a cold."
"I'm getting married."
"I'm getting tired."
"I'm getting good at reading."
"I'm getting a new car."
"I'm getting a job."
"I'm getting a puppy."


"I'm trying to get a job."
"I'm trying to call my family."
"I'm trying to enjoy my dinner."
"I'm trying to educate myself."
"I'm trying to explain myself."
"I'm trying new food."
"I'm trying to eat healthy."
"I'm trying to understand."


"I'm gonna have some coffee."
"I'm gonna go to work."
"I'm gonna eat some cake."
"I'm gonna send out my resume."
"I'm gonna run a marathon."
"I'm gonna ask her out for dinner."
"I'm gonna stop smoking."
"I'm gonna help my friends."
"I'm gonna take swim lessons."
"I'm gonna read a book."

설정

트랙백

댓글


The Story of Aspirin (아스피린 이야기)



아스피린의 유래와 효능에 관한 재미있는 기사입니다.

이런 것은 영어공부라기 보다 건강 상식을 늘린다는 마음으로 들으시기 바랍니다.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Aspirin
Photo: AP


MARIO RITTER: This is SCIENCE IN THE NEWS in VOA Special English. I'm Mario Ritter.

BARBARA KLEIN: And I’m Barbara Klein. Today, we will tell the story of aspirin.

MARIO RITTER: People have known since ancient times that aspirin lessens pain and lowers high body temperature. But that is not all the drug can do. It has gained important new uses in recent years. Small amounts may help prevent a stroke or heart attack. One recent study showed that some people who took two aspirin pills a day had lower rates of colorectal cancer. And, some researchers say aspirin may help patients with colon cancer live longer.

But doctors also say the acid in aspirin can cause problems like bleeding in the stomach and intestines.

BARBARA KLEIN: So, how did aspirin become so important? The story begins with a willow tree. Two thousand years ago, the Greek doctor Hippocrates advised his patients to chew on the bark and leaves of the willow.

The tree contains a chemical called salicin. In the eighteen hundreds, researchers discovered how to make salicylic acid from the chemical. In eighteen ninety-seven, a chemist named Felix Hoffmann at Friedrich Bayer and Company in Germany created acetyl salicylic acid.

Later, it became the active substance in a medicine that Bayer called aspirin. The "a" came from acetyl. The "spir" came from the spirea plant, which also produces salicin. And the "in"? That is a common way to end medicine names.

MARIO RITTER: In nineteen eighty-two, a British scientist shared the Nobel Prize in Medicine in part for discovering how aspirin works. Sir John Vane found that aspirin blocks the body from making natural substances called prostaglandins.

Prostaglandins have several effects on the body. Some cause pain and the expansion, or swelling, of damaged tissue. Others protect the lining of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Prostaglandins also make the heart, kidneys and blood vessels work well. But there is a problem. Aspirin works against all prostaglandins, good and bad.

BARBARA KLEIN: Scientists have also learned how aspirin interferes with an enzyme. One form of this enzyme makes the prostaglandin that causes pain and swelling. Another form of the enzyme creates a protective effect. So aspirin can reduce pain and swelling in damaged tissues. But it can also harm the inside of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And sometimes it can cause bleeding.

But a British study released in two thousand nine suggested that taking another drug with a small amount of aspirin may help reduce the risk of bleeding. If this proves true, it would help thousands of people who are seeking to prevent life-threatening conditions.

MARIO RITTER: Many people take aspirin to reduce the risk of a heart attack or stroke from blood clots. Clots can block the flow of blood to the heart or brain and cause a heart attack or stroke. Scientists say aspirin prevents blood cells called platelets from sticking together to form clots.

A California doctor named Lawrence Craven first noted this effect sixty years ago. He observed unusual bleeding in children who chewed on an aspirin product to ease the pain after a common operation.

Doctor Craven believed the bleeding took place because aspirin prevented blood from thickening. He thought this effect might help prevent heart attacks caused by blood clots.

He examined the medical records of eight thousand aspirin users and found no heart attacks in this group. He invited other scientists to test his ideas. But it was years before large studies took place.

BARBARA KLEIN: Charles Hennekens of Harvard Medical School led one of the studies. In nineteen eighty-three, he began to study more than twenty-two thousand healthy male doctors over forty years of age. Half took an aspirin every other day. The others took what they thought was aspirin. But it was only a placebo, a harmless substance.

Five years later, Doctor Hennekens reported that people who took aspirin reduced their risk of a heart attack. But they had a higher risk of bleeding in the brain than the other doctors.

MARIO RITTER: In two thousand nine, a group of experts examined studies of aspirin at the request of federal health officials in the United States. The experts said people with an increased risk of a heart attack should take a low-strength aspirin every day.

Aspirin may help someone who is having a heart attack caused by a blockage in a blood vessel. Aspirin thins the blood, so it may be able to flow past the blockage. But heart experts say people should seek emergency help immediately. And they say an aspirin is no substitute treatment, only a temporary help.

BARBARA KLEIN: But what about reducing pain? Aspirin competes with other medicines for reducing pain and high body temperature. The competition includes acetaminophen, the active substance in products like Tylenol. Like the medicine ibuprofen, aspirin is an NSAID --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Several studies have found that men who take aspirin and other NSAIDS have a decreased risk of prostate cancer. The prostate is part of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MARIO RITTER: Researchers at the Mayo Clinic in Minnesota wanted to see how NSAIDs might affect prostates that are enlarged but not cancerous.  They followed the health of two thousand, five hundred men for twelve years.

The researchers said these drugs may delay or stop development of an enlarged prostate. They said the risk of an enlarged prostate was fifty percent lower in the NSAID users than the other men. The risk of bladder problems was thirty-five percent lower.

BARBARA KLEIN: Other studies have suggested that aspirin can help with cancer prevention and survival.   They showed that aspirin may help prevent cancers of the stomach, intestines and colon.

Researchers reported two years ago about people who had colorectal cancer. They found that aspirin users had an almost thirty percent lower risk of dying from their cancer. That was during an average of eleven years after the cancer was discovered.

Earlier this month, The Lancet medical journal published findings from a study of aspirin and cancer. Researchers followed almost one thousand patients who had Lynch syndrome – a genetic condition that makes them likely to develop some cancers. One group of patients took six hundred milligrams of aspirin a day for at least two years. These patients had a sixty-three percent lower risk of colorectal cancer than those who took a harmless substance or placebo. The longer they took aspirin, the lower their risk of cancer.

MARIO RITTER: This study seems to confirm a study released in two thousand eight. European researchers reported that aspirin may have what they called a “long-term protective effect against colorectal cancer.” Peter Rothwell of the University of Oxford led the researchers. They examined twenty years of results from four large studies. The studies involved fourteen thousand people.

The researchers found that people who took one aspirin a day for about six years reduced their risk of colon cancer by twenty-four percent. And deaths from the disease dropped by thirty-five percent.

Last year, The Lancet published the combined results of a larger observational study, also led by Professor Rothwell. This time, he and researchers examined eight studies that involved more than twenty-five thousand individuals. They found that taking a small aspirin once a day reduced death rates from a number of common cancers.

BARBARA KLEIN: Aspirin does not help everything, however. It can cause problems, like an increased danger of internal stomach bleeding and ulcers. And it can interfere with other medicines, although this is true of many drugs. Also, some people should not take aspirin. People who take other blood thinners or have bleeding disorders are among this group. Pregnant women are usually told to avoid aspirin.

And research has shown a link between aspirin use and the disease Reye's Syndrome. Children’s doctors say patients up to age nineteen should not take anything containing salicylatic products when sick with high temperatures.

Experts say most people should not take aspirin for disease prevention without first talking to a doctor because there are risks to taking aspirin. Some researchers have even said that some people get little or no protection from aspirin. So research continues on one of the oldest and most widely used drugs in the world.

MARIO RITTER: This SCIENCE IN THE NEWS was written by Christopher Cruise. Our producer was June Simms. I’m Mario Ritter.

BARBARA KLEIN: And I’m Barbara Klein. Join us again next week for more news about science in Special English on the Voice of America.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science-technology/New-Study-Suggests-that-Aspirin-Sharply-Reduces-Bowel-Cancer-Risk-134621268.html

설정

트랙백

댓글



Blue Holes: Some of the Least Explored Areas on Earth



지구상에서 가장 미지의 세상, 블루홀.

우주의 블랙홀 만큼이나 신비로운 블루홀에 관한 기사입니다.
이런 것은 영어공부를 한다고 생각지 마시고 지구의 신비에 관한
좋은 상식을 얻는다는 생각으로 들으시기 바랍니다.
영어보다는 과학 상식이 더 중요할 수 있지용^^

스크립트는 아래에 있습니다만 가급적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음성만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공부는 가급적 편하게 해야합니다.
복잡하면 오래하기 힘듭니다.
듣기공부가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점입니다.
그냥 가만히 듣고만 있으면 되니 얼마나 편합니까.
최고로 편하게 해야 가장 오래 공부할 수 있고
안전하게 고수의 자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이해가 안되면 반복해 들으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듣기 공부되죠. 발음 좋아지죠.
이해하려고 반복하다보면 어떤 것은 저절로 암기가 되니
영작문이나 회화에까지 도움이 되죠.
1 석 4 조 인가요??


Diving deep in a blue hole
Photo: ngs.org
Diving deep in a blue hole



BARBARA KLEIN: I’m Barbara Klein.

STEVE EMBER: And I’m Steve Ember with EXPLORATIONS in VOA Special English. A blue hole is a flooded sea cave with a hole that opens up at the land’s surface. These cave systems form in carbonate rock, often on islands. Some blue holes have very special rock formations and water chemistry. Far below sea level, they contain some of the harshest environments on Earth, with no oxygen and no light. Yet these areas are filled with life forms that have adapted to the extreme conditions.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se blue holes is helping scientist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biology, archaeology and geology. But exploring these blue hole environments brings danger as well as discovery.

BARBARA KLEIN: Blue holes get their name from the color some have when seen from the air. The color is usually a reflection of the sky on the water. But not all of these cave systems have blue surfaces. Some contain dark or muddy water.

Blue holes are the result of erosion in which water breaks down rock. Rain falling thousands of years ago contained chemicals which slowly wore away at the limestone landmass. These holes later filled with sea water as the sea level changed. The rising and falling of sea levels and the mixture of salt and fresh water further wore away at these cave formations. Blue holes are vertical caves. But they can also have horizontal cave formations that may be hundreds of meters long.

A blue hole in the Bahamas
bahamacaves.com
A blue hole in the Bahamas

STEVE EMBER: These flooded cave systems can be found in the ocean, or they can be found inland. Ocean caves are affected by tides, so they always have water movement. But blue holes on land are very still. They have several layers of water, chemicals, and bacteria. The top layer of fresh water comes from rainfall. This layer acts like a cap on top of the layered mixture, and keeps out oxygen from the atmosphere. The fresh water floats on a denser layer of saltwater. Underneath this is a layer of poisonous hydrogen sulfide, produced by bacteria living in the water. Underneath this layer is anoxic seawater -- water that does not contain any oxygen.

BARBARA KLEIN: Kenny Broad is an anthropologist at the University of Miami in Florida. He studie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human understanding of its risks. He has spent several years exploring underwater caves in the Bahamas. Here Mr. Broad discusses his many cave explorations during a talk at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in Washington, D.C.

KENNY BROAD: “Underwater caves are probably, I would argue, one of the least understood ecosystems on the planet. One of the reasons they are one of the least understood, they are one of the least explored. And they are one of the last places where you still physically have to go there, you can’t send in a submarine or a mode operated vehicle, some autonomous machine. You need to go there.”

STEVE EMBER: Kenny Broad helped organize the Bahamas Blue Hole Expedition. In two thousand nine, a team of scientists spent two months researching blue holes on Bahamian islands including Andros and Abaco. The trip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BARBARA KLEIN: One reason blue holes have not been fully explored is that they can be extremely dangerous. There are many safety rules that divers must follow to help ensure their survival. First, divers must have training and experience to swim in these caves.

Divers who explore a cave for the first time must establish a thin rope called a guideline. This line helps them to safely enter and exit the cave without getting lost.

Divers must also bring several light sources in case one fails. They also must bring more than one set of breathing equipment in case one device fails. And, they must pay careful attention to their air supply. The rule they follow is to use a third of their air to enter the cave, a third to exit, and a third for emergencies.

STEVE EMB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volved in diving in blue holes. In some blue holes divers must quickly swim through a layer of hydrogen sulfide to reach the horizontal caves further down. This gas causes itchy skin, dizziness, and in high enough quantities, death. Or, divers might face extremely strong currents that can suck them into an opening. If they are not careful with their movements they can disrupt an area of a cave, creating explosions of silt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see clearly. Kenny Broad shows a video of a diver forcing his body through a very narrow rocky opening.

KENNY BROAD: “It’s a mental game, it is not a physical game. This isn’t macho, and it’s not thrill-seeking. It’s more about keeping your breath rate under control.”

BARBARA KLEIN: For most explorers, though, the possibility of discovery in these cave environments makes the experience worth the risk.

KENNY BROAD: “You can jump into what looks like an insignificant little hole in the ground, and come out with information that’s of value to many different disciplines, from a scientific-academic perspective.”

Scientists are interested in these caves because oxygen-free conditions there are similar to those on Earth long ago, before oxygen existed on our planet.

KENNY BROAD: “What was life like? And when I say the ancient oceans, maybe a more dramatic way to phrase this question is ‘How did life form?’ I’m talking about life three point five billion years ago.”

He says the microbes that were present then did not leave a clear fossil record for scientists to study. So studying the organisms in these oxygen-free caves gives clues about the past.

KENNY BROAD: “So what happens here is we have a modern day analogy for what the oceans were like in terms of both the chemistry and the biology.”

A diver explores a blue hole
ngs.org
Kenny Broad dives in Dan's Cave on Abaco

STEVE EMBER: Experts are not only interested in life on our planet. Astrobiologists can compare information about these organisms and their environment to other oxygen-free environments, like those in space. They study these extreme conditions to understand how and where life might exist on other planets.

Larger organisms are equally interesting to scientists. Most are colorless and cannot see. For example, the Agostocaris cave shrimp is only about two and a half centimeters long. It has no color except an area of its digestive system. Then there is the remipede. Some scientists describe it as a living fossil. It has changed very little over the past three hundred million years. Remipedes are less than five centimeters long, but they are fierce. They use their poisonous teeth-like fangs to kill shrimp and other creatures.

BARBARA KLEIN: Blue holes also permit scientists to study climate change over thousands of years. They want to understand what those changes could mean in the future.

Some of the horizontal caves have calcite formations called stalagmites and stalactites. They formed little by little tens of thousands of years ago when sea levels dropped. Scientists can study these formations and map out the climate conditions present during every year of their growth.

(MUSIC)

STEVE EMBER: Because blue holes contain no oxygen, they also protect ancient objects from the destruction of time. For example, divers in Sanctuary Blue Hole on the island of Andros in the Bahamas found the ancient bones of native Lucayan tribe members. Experts are not sure whether this tribe placed bodies in caves as part of burial ceremonies or for other reasons.

Animal remains are also preserved in excellent condition. Divers in Sawmill Sink on Abaco Island found the three-thousand-year-old remains of a Cuban crocodile. This kind of crocodile has long disappeared from the Bahamas. They also found some ancient turtle skeletons. They were so well preserved they still had pieces of soft tissue.

BARBARA KLEIN: The Bahamas may have more than a thousand blue holes. But only about two hundred have been discovered. This includes the world’s deepest known blue hole, called Dean’s Blue Hole on Long Island. It measures two hundred two meters in depth.

Kenny Broad and his team spent time talking with native Bahamians to ask them if they knew where the team could find other blue holes. He says younger generations are generally not aware of such caves. But their parents know about them and once used them.

KENNY BROAD: “What’s interesting, though, is that when you talk to these folks’ parents, they were keenly aware of these holes because they used them as their source for drinking water. They used them for all sorts of medicinal reasons. And now they are ignored, and in fact in lots of places we can’t even drink the water because of what goes into these holes.”

STEVE EMBER: Many blue holes have become areas where people throw away waste. But these actions are polluting an important source of fresh water. Part of Kenny Broad’s goal is to raise awareness about these underground areas so local communities will take better care in protecting them.

He says these caves and fresh water sources are not given much attention because they are hard to see.

Another threat these cave systems face is rising sea levels. As sea levels rise, the careful balance of chemistry and nature in these caves could be destroyed.

BARBARA KLEIN: Kenny Broad says these blue holes must be protected for several reasons. They are important for environmental and scientific discoveries. These caves also give a few explorers an extraordinary chance to see life in a beautiful and strange environment that is like no other on Earth.

STEVE EMBER: This program was written and produced by Dana Demange. I’m Steve Ember.

BARBARA KLEIN: And I’m Barbara Klein. You can see pictures of blue holes at voaspecialenglish.com. Join us again next week for EXPLORATIONS in VOA Special English.

출처:
http://www.voanews.com/learningenglish/home/science-technology/Blue-Holes-Some-of-the-Least-Explored-Areas-on-Earth-134628763.html

설정

트랙백

댓글



•Do all exercises using your voice. Grammar exercises, reading exercises, everything should be read aloud.

•Speak to yourself. Don't worry about someone hearing you. Speak out loud in English to yourself often.

•Choose a topic each day and speak for one minute about that topic.

•Use online exercises and speak in English using Skype or other programs. Here's some practice English speaking sheets to get you started.

•Make lots of mistakes! Don't worry about mistakes, make many and make them often.

1.Be patient with yourself. It takes a while to learn how to speak English well. Remember to give yourself time and treat yourself well.

2.Do everything everyday, but only do ten to fifteen minutes of the more boring tasks. If you want to improve listening skills, just listen to the radio fifteen minutes rather than an hour. Do ten minutes of grammar exercises. Never do too much English. It's better to do just a little bit every day rather than a lot only twice a week.

3.Make mistakes, make more mistakes and continue to make mistakes. The only way you will learn is by making mistakes, feel free to make them and make them often.

4.Learn how to speak English about the things you like doing. If you enjoy speaking about the topic, it will be much easier for you to learn how to speak English well in a shorter amount of time.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esl.about.com/cs/pronunciation/ht/ht_prononce.htm


How To Improve Your Pronunciation


By 
, About.com Guide


Pronouncing every word correctly leads to poor pronunciation! Good pronunciation comes from stressing the right words - this is because English is a time-stressed language.


Difficulty: Hard


Time Required:
Varies


Here's How:

  1. Learn the following rules concerning pronunciation.

  2. English is considered a stressed language while many other languages are considered syllabic.

  3. In other languages, such as French or Italian, each syllable receives equal importance (there is stress, but each syllable has its own length).

     
  4. English pronunciation focuses on specific stressed words while quickly gliding over the other, non-stressed, words.

  5. Stressed words are considered content words: Nouns e.g. kitchen, Peter - (most) principal verbs e.g. visit, construct - Adjectives e.g. beautiful, interesting - Adverbs e.g. often, carefully

  6. Non-stressed words are considered function words: Determiners e.g. the, a - Auxiliary verbs e.g. am, were - Prepositions e.g. before, of - Conjunctions e.g. but, and - Pronouns e.g. they, she

  7. Read the following sentence aloud: The beautiful Mountain appeared transfixed in the distance.

  8. Read the following sentence aloud: He can come on Sundays as long as he doesn't have to do any homework in the evening.

  9. Notice that the first sentence actually takes about the same time to speak well!

  10. Even though the second sentence is approximately 30% longer than the first, the sentences take the same time to speak. This is because there are 5 stressed words in each sentence.

  11. Write down a few sentences, or take a few example sentences from a book or exercise.

  12. First underline the stressed words, then read aloud focusing on stressing the underlined words and gliding over the non-stressed words.

  13. Be surprised at how quickly your pronunciation improves! By focusing on stressed words, non-stressed words and syllables take on their more muted nature.

  14. When listening to native speakers, focus on how those speakers stress certain words and begin to copy this.

Tips:

  1. Remember that non-stressed words and syllables are often 'swallowed' in English.

  2. Always focus on pronouncing stressed words well, non-stressed words can be glided over.

  3. Don't focus on pronouncing each word. Focus on the stressed words in each sentence.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ko.usmlelibrary.com/entry/importance-of-english-pronunciation



영어 공부에서 발음이 얼마나 중요할까

영어 공부 제대로 하기 2008/08/17 19:47 Posted by 고수민

제가 일하는 일했던 미조리주의 병원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입니다. 제가 일을 시작하기 일년 전에 있었던 일이라고 하는데 지금도 이 이야기가 거의 전설처럼 입에서 입으로 계속 전해지고 있습니다. 약간 상스러울 수가 있으니 임산부와 노약자는 본론으로 건너뛰셔도 됩니다. 제가 일했던 병원에 중국계 의사인 닥터 푸가 있었습니다. 한자로 어떻게 쓰는지 한번도 물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영어로는 쿵푸팬더의 ‘푸’와 같은 철자인 ‘Fu’ 입니다. 전에 제가 한 번 제 블로그를 통해서 소개시켜 드린 바가 있었던 바로 그 자랑스런 한국인인 선배 레지던트가 처음 미국에 와서 일할 때 전화로 간호사랑 대판 싸울뻔한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병동에 전화를 걸면서 일이 일어납니다.

“May I speak to Dr.푸?”                        닥터 푸 좀 부탁합니다.
“Excuse me?”                                     뭐라고요?
“I’d like to talk to Dr. 푸.”                      닥터 푸 좀 바꿔달라고요.
“I didn’t get that. Who do you want to talk to?” 못 알아듣겠는데 누구라고요?
“Doctor 푸!!”                                       닥터 푸라고요!!
“Doctor who?”                                     닥터 누구요?
“푸!! F, U!”                                          푸라고요. 에프, 유!!
“F, U!”                                                에프, 유!!
“What?! ”                                            뭐야?!

이런 것도 못알아듣냐? 엿이나 먹어라!

그 후에 일어난 일은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아마 영어를 조금 하시는 분은(혹은 슬랭에 능통하신 분) 폭소를 터뜨리기에 충분한 이야기일 것 입니다만 한국에서 정규영어 교육을 받으신(혹은 저속한 말을 별로 접해보지 못하신 분)은 왜 이게 우스운지 이해가 안 가실 수도 있겠습니다. 사건의 맥락을 정리하면 일단 제 선배가 병동에 전화해서 닥터 푸를 바꿔달라고 했는데 문제는 ‘Fu’의 발음을 미국인 간호사가 잘 알아듣지 못해서 생겼습니다.

어쨌거나 전화를 받은 간호사는 그게 누구냐고 못 알아듣겠다고 계속 되물었고 답답해진 선배는 철자를 불러줘서 알아듣게 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닥터 푸의 이름 철자가 미국의 비속어인 ‘F**k you’의 앞 글자를 딴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같은 의미로 통용된다는 것을 몰랐던 선배가 몇 번이고 F, U를 반복했고 통화 상대방인 간호사가 난데없는 욕설세례에 함께 흥분해서 큰 사건이 될 뻔 했던 것입니다. 간호사 입장에서는 의사가 전화를 걸었는데 간호사 자신이 의사의 말을 도저히 못 알아들으니까 상대방 의사가 화를 참지 못하고 ‘엿먹어라’하고 욕설을 내뱉은 것으로 해석이 되었던 것입니다.

 

 

짐작하건대 간호사는 이 발음을 ‘Pu’로 알아들었음이 틀림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생각에는 F와 P가 그다지 다른 발음은 아닌데 미국인에 따라서 완전히 다른 발음으로 인식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제가 위에 영어대화에서 유독 ‘Fu’만 한글로 ‘푸’로 적은 것이 이런 이유입니다.) 마치 닥터 강이 옆에서 일하고 있는데 닥터 방을 바꿔달라는 전화를 받으면 한국사람의 반응도 이와 비슷하겠지 싶습니다. 정말 닥터 방을 말하는 건지 닥터 강을 잘못 말한 것인지 확인하느라고 몇 번이고 되물을 수 밖에 없었겠지요.
 
조금 과장하면 한국에서 미국으로 유학이나 이민오신 이민 1세대 분들은 영어발음과 관련된 이러한 에피소드가 없다면 거짓말일 정도로 흔히 일어나는 일입니다. 영어교육에 최근에 큰 변화가 있었으니까 아마 80-90년대 이전에 중 고교를 다닌 시절에 배운 영어를 가지고 미국에서 적응하면 살아야 했던 세대와 지금처럼 말하기와 듣기가 충분히 강조되는 시대의 교육을 받은 세대의 영어가 같으리라고 보지는 않습니다만 한국인에게 영어의 발음은 정말 극복하기 어려운 장벽이었습니다.

대학생으로 부터 온 편지

최근 아래와 같은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한번 읽어보시지요.

 

현재 대학1학년 재학중인 이병민(가명)이라고 합니다. 경기도권 대학4년제 다니고 있구요.

좀 전에 영어 공부하다가 궁금해서 이렇게 질문 드리는데요. 제가 obligation 란 단어를 '오블리게이션' 이렇게 발음해왔거든요? 근데 이 발음이 맞나 확인 겸 네이버 영어사전에서 성우가 말하는걸 들어보니 '아블러게이션'이더군요. 발음기호도 그렇게 되있었구요..
 
궁금한 건,   꼭 발음기호에 나와있는 대로 발음해야 되는지 입니다. 오블리게이션 이라고 발음하는 건 틀린 거에요? 요즘에 영어공부를 하면서 자꾸 느끼는 건데요, 평소에 제가 알던 단어를 발음하는데 혹시나 해서 네이버사전에서 원어민이 하는 발음을 들어보면 다 틀리거든요?  또 하나의 단어를 예를 들어보면 criticize 이 단어를 크리티씨즈 라고 읽어왔는데 네이버사전에선 크리터싸이즈 라고 하더군요.

제가 발음하는 게 그냥 잘못된 건가요? 단어 외울때 옆에 발음기호대로 꼭 발음해야 정상인가요?  궁금해요 ~

제가 전에 제 글 영어공부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에서 영어공부 초기에 반드시 발음을 되짚어서 공부해봐야 한다고 한 적이 있습니다. 영어공부를 시작하려고 하는 초급자들은 반드시 영어의 정확한 발음을 알아야 하고, 이미 알고 있더라도 정말 자신이 정확한 입술의 모양과 혀의 위치를 잘 알고 있는지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고 나서 그 정확한 발음에 입각해서 책을 읽어야 한다고 했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위에 편지를 주신 대학생 분은 그냥 자신이 하던 대로 편하게 발음을 한 것이 아니고 자신의 발음이 사전과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조언을 구해오신 것이니 제 권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신 것이 분명하고 많이 칭찬받아 마땅한 분 같습니다. ^^

영국식과 미국식 영어의 차이 중에 한가지

일단 위 질문에 대한 답변의 일부로서 이런 이야기를 해야 하겠습니다. 영어 발음을 공부하다 보면 영국식(호주나 뉴질랜드도 비슷할 것 같습니다만) 발음과 미국식 발음의 차이를 느낄 때가 있는데 한가지 예를 들어 알파벳 ‘o’를 발음하는데 있어 미국은 ‘아’처럼 발음하고 영국은 ‘오’처럼 발음하는 경우를 흔히 봅니다. 그래서 ‘아블리게이션’과 ‘오블리게이션’의 차이가 생길 수 있겠죠. (편의상 한국말로 발음기호를 적는 것을 용서하시기 바랍니다.)

 

 

근거가 100% 확실한 이야기는 아닙니다만 제가 알기로는 18세기에 영어에서는 ‘o’를 원래 발음인 ‘오’ 대신 ‘아’로 발음하는 것이 일시적 유행이었다고 합니다.(물론 발음기호상 거꾸로 된 C 아시죠? 그 발음인 ‘오’라는 발음으로 시작되는 단어만 그렇다는 것입니다. ‘오’발음이 아닌 obscure 업스큐어, oak 오우크 등은 해당이 되지 않으며 발음이 ‘오’로 시작해도 orphan등은 아ㄹ펀이 되지 않고 그냥 올펀입니다) 어쨌거나 그런 연유로 object는 압젝트, observation는 압서베이션, occupy가 아큐파이로 되었던 것이죠. 미국으로 이때 이민 온 사람들은 이런 발음의 트랜드에 따라 발음을 하게 되었고 자손에 그대로 이어져 지금까지도 이렇게 발음을 하는 것이고 영어의 본토인 영국에서는 이런 트랜드가 사라져서 원래 발음이 복귀되면서 다시 ‘아’ 발음이 ‘오’로 돌아왔다고 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오블리게이션이든 아블리게이션이건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영국식 영어냐 미국식 영어냐의 차이일 뿐이고 둘 다 맞는 발음으로 인정되는 것이니까요. 우리가 주로 배우는 미국식 발음이 옳고 영국식 발음은 틀렸다는 것은 편협한 생각으로 보입니다.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는 둘 중 하나를 택해야 하니까 뭘 택하느냐는 선택의 문제가 약간 골치가 아플 뿐입니다.

발음이 틀리면 의사소통이 안되는 것은 당연

하지만 영어로 의사소통에 있어서 본질적인 문제는 다른 곳에 있습니다. 어느 나라 식 발음으로 영어를 배웠건 간에 외국에 나가면 의사소통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죠. (전체적인 영어의 기초실력이 부족한 것 말고 그냥 발음문제에만 한정한 이야기입니다.) 나는 분명히 ‘friend’라는 의도로 발음을 했는데 ‘priend’로 들은 외국인은 도대체 이게 무슨 소리인가 고민하게 됩니다. 한국사람을 많이 겪은 외국인(한국의 원어민 강사 등)은 비록 priend로 들리더라도 재빠르게 두뇌 내에서 friend로 바꿔서 알아듣는 연습이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연습이 되어 있지 않은 사람은 끝끝내 못 알아 듣게 됩니다.

저도 처음에는 도무지 쉬운 발음 조차도 알아듣지 못하는 중서부 지방의 시골 미국인들 때문에 답답해서 죽을 지경이었는데 나중에는 이해를 해 줄 수 밖에 없었던 것이 이 사람들은 다양한 영어를 접해보지 않아서 이해의 대역폭이 넓지 않습니다. 약간의 상상력으로 발음의 스펙트럼을 확장시켜서 해석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이죠. 나중에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사는 (일설에는 미국보다 외국 출신이 더 많다고 합니다.) 뉴욕에 와보니 서로 서로 희한한 발음의 영어로 잘 들 의사소통을 하고 있었고 미국인이더라도 제 발음으로 못 알아 듣는 사람을 거의 만나지 못했습니다.

제가 처음에 인도 사람들과 일을 할 때 인도식 영어가 알아듣기가 너무 힘들어서 고생을 했습니다. 뭐라고 상대방이 하면 연신 ‘excuse me? Sorry? Pardon me?’를 남발해야 했고 못 알아 듣는 것이 참 미안하더군요. 나중에 익숙해지니(알아듣는 스펙트럼이 넓어지니) 점차 그냥 전형적인 미국인의 영어를 듣는 기분으로 들어졌습니다. 그럼 발음이 이렇게 다양한데 도대체 뭐가 표준이냐는 문제가 생깁니다. 철썩 같이 믿고 있던 미국식 영어도 표준이 아니라면 그냥 아무렇게나 발음해도 듣고 있는 상대방이 알아서 알아들어야 하는 것일까요.

발음이 덜 중요한 극히 예외적인 상황

다시 여담인데 전에 오랜 전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자유메달을 수상하고 한국과 미국의 저명인사들 앞에서 영어로 연설을 하신 적이 있었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야 말로 콩글리쉬의 상징일 수 밖에 없는 것이 오랜 수감생활을 하시는 동안 책으로만 영어를 독학으로 익히셨다고 하니까 외국인들로서는 발음을 알아듣기가 녹녹하지 않았을 것은 뻔한 노릇입니다. 하지만 다들 어떻게든 알아듣고 박수도 치고 잘 지나갔다고 합니다. 오히려 이 자리에 참석한 한국인들이 연설을 알아듣기 힘들어 고생했다고 하죠.

또 정치평론가로 유명한 어떤 대학교수님이 영어공부에 대해 쓰신 것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언젠가 이분이 미국에 교환교수로 가서 학생들에게 강의를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수업 말미에 어떤 미국대학생이 손을 들더니 발음 때문에 강의를 못 알아 듣겠다고 불평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보통 사람이면 이런 경우 부끄러워서 쥐구멍이라도 찾고 싶은 심정일 것 같은데 이 교수님은 오히려 못 알아듣는 것은 너의 사정이니 재주껏 알아듣든지, 못 알아듣고 낙제하든지 알아서 하라고 하고 그냥 강의를 했다고 합니다. 너무 요약하다 보니 이 교수님이 지나치게 거만하게(?) 말씀하신 것처럼 들리는데 그런 것은 아니었고 제가 읽으면서 받은 느낌은 이 대학생이 아마도 시골출신이어서 외국인의 영어를 별로 들어보지 못했거나, 잘 알지 못하는 나라에서 온 교수를 조금은 비하하는 의도로 이렇게 말한 것이 아닌가 하고 이해를 했었습니다.

 


위의 두 가지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인도 낯 설은 액센트의 영어에 대한 이해도가 차이가 많긴 하지만 자신이 아쉬운 입장이 되면 노력해서 알아들으려고 노력을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예를 우리 모두에게 적용시킬 수는 없습니다.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는(일단은 우리가 아쉬운 입장인 것도 사실이고) 우리 자신의 입장을 미국인 혹은 세계인에게 좀 더 정확하고 쉽게 전달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위에 질문을 보내신 대학생에게 답장을 한 내용의 일부를 좀 보겠습니다.

세계화의 시대에 더 강조되는 정확한 발음의 중요성

 

발음이 고민이시군요. 물론 사전에 있는 대로 발음을 연습하고 그대로 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만 각국사람들이 발음의 편차가 큽니다. 우리가 표준으로 생각하는 미국의 영어도 사실 정답이라고 우기기가 힘들지요. 하지만 영어도 언어이고 언어는 커뮤니케이션이 기본이므로 내가 무슨 말을 하든지 남이 알아들어야 의미가 있을 겁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누구나 사전의 발음기호대로 발음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그래야 개개인이나 인종간의 발음의 편차로 인한 의사소통의 장애가 최소화되지 않겠습니까.


결론을 정리하자면 사전에 있는 대로 발음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대부분의 사전은 영국식과 미국식의 발음이 다 표기되어 있으니 아무 방식이나 편한 대로 선택하시면 되지만 대개 미국식으로 배우셨을 것이니 미국식으로 발음하는 것이 편한 것이 대다수이리라고 봅니다. 누구나 사전대로 영어를 배우지만 미국사람과 똑 같은 발음을 하지 못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어느 정도의 편차를 인정해야 하고 저 개인적으로는 원어민의 발음에 90% 비슷한 사람라면 99% 비슷한 발음을 만들기 위해서 피나는 노력을 하기 보다는 90% 비슷한 발음이라면 정확한 문법과 세련된 표현을 익히는데 같은 시간을 더 투자하면 더 인정을 받게 된다고 봅니다. (전에도 누누히 강조했지만 세련된 표현보다 더 중요한 것은 말에 담긴 내실입니다만)

제가 자동차에 관심이 많아서 이런 비유를 해보겠습니다.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자동차 관리를 잘 하기를 원한다면 외관에 대해서는 자주 세차를 해주고 가끔 왁스를 발라서 광을 내주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더 높은 광택에 집착해서 수십 만원짜리 코팅을 하고 싶을 때도 있을 겁니다. 코팅을 하는 것 자체를 나무랄 것은 없는데 만약 자동차의 내부가 엔진오일도 갈아야 하고 타이밍벨트도 교환하는 등 각종 정비를 해야 할 상황인데 예산은 제한적인 상황이라면 외관에 대해서는 세차 정도로 만족하고 코팅에 들여야 할 돈을 내부정비를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낫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차가 번쩍거려도 엔진이 고장 날 상황이면 돈을 쓰는 우선순위가 어디인지는 자명한 것이죠.

하지만 완벽한 발음에 집착하지는 말아야

의외로 많은 영어학습자들이 영어공부 시에 영어표현을 풍부하게 하는 것보다는 원어민과 완벽하게 같은 발음에 집착해서 지나친 시간과 돈의 낭비를 하는 경우를 보았기 때문에 든 생각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발음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해서는 절대로 안됩니다만 미국(혹은 영국) 영어만 공부해서 세계 각국 사람의 영어를 어떻게 알아들을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다음과 같이 답할 수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온 사람들은 제 각각의 고유의 액센트가 있고 영어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구태여 액센트를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영어의 발음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즉, 그 발음에 익숙해지고) 영어의 기본 실력이 늘어난다면 중국인의 영어이건, 일본인의 영어이건, 더 높은 질의 의사소통 가능합니다. 같은 이야기인데 약간 다르게 해석해보자면 익숙하지 못한 액센트의 영어를 잘 알아듣기 위해서는 단지 그 액센트를 많이 듣는 경험만이 필요한 것이 아니고 자기 자신의 영어수준이 다른 사람들의 어려운 발음을 여유롭게 감안하고 알아들을 수 있도록 충분히 높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 오늘도 무진장 길어졌군요. 정확한 발음이 중요한 이유를 말하려다가 완벽한 발음보다도 내실이 중요하다는 해괴한 결론이 나버렸습니다. 제가 주장하는 정확한 발음과 완벽한 발음의 차이라든가, 어느 정도의 발음이 필요한지등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을 기약하겠습니다. 읽어주신 여러분 죄송+감사 드립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lifidea.tistory.com/entry/Talent-is-Overrated-%EC%9E%AC%EB%8A%A5%EC%9D%80-%EC%96%B4%EB%96%BB%EA%B2%8C-%EB%8B%A8%EB%A0%A8%EB%90%98%EB%8A%94%EA%B0%80-deliberate-practice



월드 클래스의 비밀: 단순 반복이 아닌 주도면밀한 연습(deliberate practice)


Review : 2011/03/08 19:50   By LiFiDeA
 Deliberate Practice, 자기개발
일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어떤 분야건 정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10,000 시간(혹은 10년) 정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연구결과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하지만, 10년의 노력을 기울이고도 정상에 오르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과연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얼마전에 읽은 'Talent is Overrated'라는 책 (번역서 : 재능은 어떻게 단련되는가?) 의 저자 제프 콜빈은 정상에 오른 사람들이 '주도면밀한 연습(deliberate practice)'을 한다는 면에서 일반인들과 구별된다고 주장합니다.


Deliberate Practice


이 책의 핵심 개념은 주도면밀한 연습(deliberate practice)입니다. 저자는 보통 연습과 주도면밀한 연습의 차이를 1) 적절한 난이도를 가진다 2) 취약한 부분에 집중된다 3) 견디기 힘들 정도까지 반복된다 4)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는다 등으로 설명합니다. 즉, 다음 글에서 묘사하듯이 자신이 약한 부분을 찾고, 이를 적절한 피드백을 받으면서 힘겨울 정도까지 반복하며 보완해나가는 과정이 주도면밀한 연습입니다.
"For the superior performer the goal isn't just repeating the same thing again and again but achieving higher levels of control over every aspect of their performance. That's why they don't find practice boring. Each practice session they are working on doing something better than they did the last time."
누구나 본능적으로 자신에게 편안한 일을 익숙한 방식으로 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처럼 자신이 취약한 부분을 한계치까지 계속 반복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저자는 특히 피드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제대로 된 피드백이 없는 연습은 '무릎까지 오는 커튼을 쳐놓고 볼링을 치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장기간의 연습 끝에 찾아오기 마련인 타성도 극복해야 할 대상입니다. 이에 대한 저자의 설명을 들어봅시다.
Great performers never allow themselves to reach the automatic, arrested development stage in their chosen field. The essence of practice, which is constantly trying to do the things one cannot do comfortably, makes automatic behavior impossible.
주도면밀한 연습은 이처럼 Comfort Zone에 머무르려는 인간의 본성에 반하며, 의지만으로 가능한 일도 아닙니다. (예컨데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피드백은 전문가를 항상 곁에 둘수있는 극히 제한된 사람에게만 허락되는 기회입니다.) 이렇게 보면 어느 분야건 정상에 도달하는 사람들의 수가 극히 적은 것도 이해가 갑니다.

 
Why Does It Work?


저자는 장기간에 걸처 주도면밀한 연습을 반복할 경우, 상황의 미묘한 차이를 분간해내는 지각 능력이 생기고,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이 쌓이면서 새로운 지식을 흡수하고 기억하는 능력도 향상된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해당 분야에 대한 '살아있는 지식'이 쌓이는 과정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묘사합니다.

Constantly trying to extend one's abilities requires amassing additional knowledge, and staying at it for years develops the critical connections that organize all that knowledge and make it useful.

즉, 끊임없이 능력을 개발하면서 지식을 쌓아가는 과정에서 정상급 성과를 내는데 필수적인 지적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것입니다. 

 

Deliberate Practice & Knowledge Worker

 


위에서 설명하는 주도면밀한 연습의 개념을 들으며 운동선수나 음악가 등의 훈련을 떠올리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저는 얼핏 정확한 계량화가 어려워 보이는 일반 업무에도 이런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즉, 1) 자신의 핵심 업무를 그 구성요소로 나누고, 2) 각 구성요소별 평가 및 연습방법을 고안하고, 3) 취약점을 중심으로 꾸준히 연습하고, 4) 적절한 피드백을 받으며 이를 계속한다면, 주도적인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대학원생인 저의 주된 업무라고 할 '연구'를 예로 들어봅시다. 연구의 구성요소는 다음 몇가지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1.흥미있있고 해결가능한(tractable) 문제를 찾고
2.관련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여
3.기존에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해결책을 고안하고
4.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한 후
5.출판 / 발표 등의 형태로 커뮤니케이션한다
위에서 소개한 각각의 요소에 실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고, 그 중 2) '지식 습득' 이라는 측면이 스스로 취약하다고 가정해 봅시다. 학문적 지식 습득의 대표적인 형태는 논문을 읽는 것인데, 논문을 읽는다는 행위에 대한 '주도면밀한 연습'을 다음과 같이 설계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에게 벅찬 양을 정해놓고 꾸준히 읽는다.
■논문당 시간을 정해놓고 읽는다.
■여러 기준으로 논문을 평가해보고, 주변 사람들과 비교해본다.
■리뷰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
위와같이, '논문읽기'라는 단순한 행위에도 주도면밀한 연습의 개념을 도입하면,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로 만들 수 있습니다. 논문 하나도 이런 식으로 읽다보면, 힘은 들어도 시간에 따라 발전해가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Epilog


이 책의 저자는 '주도면밀한 연습'이라는 개념을 많은 일화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우리 고전에도 나태함을 경계하고 주변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이며 스스로를 연마해가는 절차탁마의 자세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리는 하나로 통하는가 봅니다. 10년이라면 길게 느껴지지만, 20세에 시작하면 30대에는 정상급 전문가가 될 수 있을테니 해볼만한 일이 아닐까요? 주도면밀한 노력의 단순한 개념에 비해 그 적용은 쉽지 않으니, 다음 논문과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eduhow.tistory.com/entry/숙어-암기가-아닌-이해로-정복하자



숙어, 암기가 아닌 이해로 정복하자.



영어학습자료 2010/11/14 18:57
쉬운 말이 이해하기 더 힘들다는 말씀 들어 보셨나요? 미드나 외화를 보실 때 분명 하나 하나의 단어는 다 아는 것들인데, 들리는 것 같기도 한데, 도대체 문장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고 느끼신 적이 없으세요? 예를 하나만 들어 보겠습니다.

 

(1) My roommate didn't feel like going out tonight, but he finally gave in.


 '룸메이트가 오늘 밤에는 나가고 싶어 하지 않았지만, 결국에는 ??? '


give 와 in. 두 단어 모두 너무 쉽고 뜻도 알지만, 이 문장이 '결국엔 어쩔 수 없이 (찜찜해 하며) 룸메이트가 자기 뜻을 굽혔다'는 뜻이라는 것을 이해하기는 힘든 일입니다. 더군다나, 이 문장의 이면에는 '나는 나의 룸메이트에게 오늘 밤 같이 나가 놀자고 엄청 조르고 설득했는데, 결국엔 싫어 죽겠다는 룸메이트를 끌고 같이 나갈 수 있었다. 내가 이겼네~ 야호!" 이런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혹은 이런 표현을 수 없이 들어서 이해할 수 있다고는 하더라도, 영어 화자가 아닌 우리가 이런 표현을 직접 대화에 사용한다는 것은 더욱 힘든 일입니다. 아래는 한국인 두 명에게 같은 뜻으로 문장 (1) 의 뒷 부분의 영작을 부탁했을 때 얻은 (어색한) 답입니다. 


(2)  My roommate didn't feel like going out tonight, but he finally abandoned/went out due to me.


우리는 이와 같이 하나의 단어로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고, 동사 + 전치사 혹은 동사 + 부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표현을 쓰는것에 아주 미숙 합니다. 이를 영어에서는 phrasal verbs 라고 부르고 한국에서는 숙어라고 표현하는데, 숙어는 아주 쉽고 기본적인 동사가 전치사 혹은 부사와 뜻을 합해 하나의 뜻을 이루는 경우를 말합니다. 숙어는 결코 뜬금없는 뜻을 가지는 경우는 없으며 전치사나 부사의 뜻을 잘 알면 충분히 잘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 (1)의 경우 , 상대방이 자기의 똥고집을 포기 하고, 내가 원하는 것을 그의 자리/시간에 들여 놓을 수 있게 (in) 자리를 내어 주었다 (gave) 라는 의미에서 "뜻을 굽히다"라는 숙어가 되었습니다.

 
제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phrasal verbs를 얼마나 자유롭고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지가 미국인과 외국인의 영어를 구별해 주는 한 가지 잣대인 것 같습니다. phrasal verbs가 사용되는 부분에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를 쓰면 때로는 너무도 어색하고 우스워 지는 표현이 많이 있습니다.


마치 우리가 "고집 불통이군!" 이라고 표현해야 할 상황에 "참 곧은 지조가 드 높은 사람이군!"이라고 말하면 어색하지 그지 없어지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인 처럼 영어하기'라는 거차한 제목을 붙여 봤는데, 좀 더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 phrasal verbs를 많이 사용해 보시길 적극 권장하는 뜻에서 입니다. 한 예로  "up"들어간 phrasal verbs들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Up"은 [1] '목표점'이 있고, [2] 그 목표점이 어떤 상태의 '극한인 상황'이며, [3] 사람의 노력이나 행동에 의해 그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에 쓰입니다.


아래의 숙어들을 up을 의미를 생각하며 이해해봅시다.


(3) warm up: 준비 운동(한국에서 워밍업이라고 많이 쓰는 표현)
      : 몸을 운동을 할 수 있는 완벽한 상태로 끌어 올리다.


      use up: 다 써서 없애 버리다.
      : 어떤것이 모두 없어지는 그 지경(?)까지 다 써버리다.   
  
      tear up: 갈기 갈기 찢어 완전히 흔적을 없애 버리다.
      : 찢어서 그것이 형태를 잃어버리는 그 순간까지 다 찢어 버리다.


      set up:  공식적인 모임/연회 등을 준비하다. 정돈되고 조직화된 무언가가 포함되어야 함         (예: 회의에 총 5개의 좌석과 5개의 랩탑 준비, 저녁 만찬을 위해 정식으로 테이블을 꾸밈,          기말 고사 준비를 위해 계획표를 철저히 짬)
      : 어떤 일/행사를 할 수 있는 최적의 상황까지 세팅을 완성하다.


      make up: 상대를 용서하고 화해하다./ 재시험을 치르다. (make-up test)
      : 원래의 좋은 상태가 될 때 까지 관계를 다시 정립하다./시험에서 통과하기 위해 다달해야
      하는 그 목표점까지 가도록 다시 시험을 치르다.


      make someone up: someone에게 화장을 시키다. (우리가 흔히 쓰는 메이컵)
     :(목표점 기준) 부족한 얼굴 :)이, 볼만한 상태 혹은 목표한 아름다운 상태가 되도록 하다.
 
     look up: 문서나 자료를 찾아 보다.
     :찾으려고 하는 그것이 나올 때 까지 살펴 보다.


     hang up: 전화를 끊다.
     :(고전 영화 속, 벽에 걸어 다이얼을 돌리는 오래된 전화기를 생각하세요.)전화기가 원래 있      어야 하는 그 지점에 전화기를 다시 메달아 놓다.  


(3)은 미국인들이 꽤 많이 쓰는 숙어들인데, 보시다시피, 동사와 전치사 up의 조합으로 이해 할 수 있는 뜻들 입니다.


전치사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있으면 많은 숙어들을 이해 할 수 있으며, 이것을 익숙하게 쓰는 것 또한 어려운 일은 아니라고 봅히다.


영어 회화를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숙어를 암기 덩어리로 두려워 하지 마시고, 전치사를 우선 잘 공부하신 후 숙어를 이해하고 애용하도록 노력해 보셨으면 합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단어가 부족해도 영어 잘하는 사람은 있다


영어학습자료 2011/04/07 11:15
 
"단어만 많이 알면 게임 끝" 이라는 식의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문법 모르고, 발음 이상하고, 이것 저것 다 틀려도 그저 단어만 왕창 알면 의사 소통은 가능하다는 말이 흔하게 믿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물론, 식당에 가서 예를 들면, "number 32, chicken, spicy"라고 문장아닌 단어의 나열만 하셔도, 32번 메뉴를 치킨으로 좀 맵게 만들어달라는 뜻은 전달 되리라고 봅니다.

설령 영어 단어를 다 알면 살아가는데 지장은 없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영어 화자가 아닌데, 어찌 모든 필요한 단어를 다 외우고 다니겠습니까.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도 막힐 때가 있는법이죠. 미국에서 살면서 아직 제 단어 량이 부족하구나 하고 절실히 느낀 곳은 바로 병원입니다. 가장 절박한 상황인데, 단어는 정말 한 없이 부족하니 답답한 상황입니다.

특별한 병이 아니라도 흔히 생기는 상황을 예를 들어 봅시다. 아래 문장을 읽으시고, 미국 의사에게 어떻게 말 할지 한 번 생각나는대로 소리내어 말씀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에서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은 사람이예요. 오늘은 자극적 음식을 먹지도 않았는데, 아랫 배가 계속 아리아리하면서, 설사도 나오지 않는데 계속 배뇨 기운이 느껴지고, 식은땀이 나네요. 어꺠와 목 연결되는 뒷 골 부분도 좀 당기구요. 대장 왼쪽 부분이 특히 아파요.

 

 쉽지 않으시죠? 우선은 의학 전문 용어 처럼 느껴지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이나 '대장'과 같은 단어는 알 길이 없고, 아는 단어 같은데도 그냥 쓰면 되는지 자신이 없는 단어들도 많습니다. 예를들어, '아래' 도 알고 '배'도 아는데, 그럼 아랫배가 아프다고 말할때 under stomach 이라고 해애 하나 down belly라고 해야 하나? (이렇게 말하면 엄청 웃긴 표현이 됩니다 ^^) 어떻게 아픈지 '아리 아리 하다'라고 구체적으로 말해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도저히 모르겠고...
 
이럴 때 사람들의 행동 특성을 관찰해 보면, (가) 포기파: 모르는건 말 안한다. (나) 대충파: 대강 얼버무리며 나의 손동작으로 알아 주길 바란다. 그리고 (다) 노력파: 아는 단어로 풀어 말한다. 가 있습니다. 아래가 세 종류의 사람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설명하는 예시 입니다.

 

(가)  포기파: "I have stomach ache, it's serious" 이렇게 말한 후 적당히 관련된 약을 주리라 기대하고,  증상에 잘 맞지 않는 약을 처방 받을 경우, 스스로의 영어 부족을 질책하며 눈물을 삼킨다.

(나) 대충파: "You know my stomach, as you know, I have great pain. you know what I mean...  some part here, something like that... " 말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가나 정확히 무슨 말인지 모를 불필요한 행간어를 많이 넣는다. 유창하게 들릴지는 모르겠으나, 듣는 사람이 이해 할 길이 없다.

(다) 노력파: "My doctor in Korea told me that my stomach is very sensitive. Actually it's not stomach exactly, but the thing under the stomach which is relevant to move bowels (or you can even say  poo :)). 매우 단어량이 적은 사람의 예로, 쓰인 단어는 아주 초급이지만, 영어 화자가 들으면 무슨 의도인지 알 수 있다.

 

단어를 모를 경우 (다)노력파 처럼 말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 또한 중요한 언어 능력 입니다. 어린이 언어 습득에서 거의 동일한 양의 단어를 가진 어린이의 대화술을 관찰한 결과가 있습니다. 아이들의 출발 시점 (실험 참가 당시 아는 단어 수) 은 유사했고, 그 어린이 들이 위와 같이 세 그룹으로 나누어 졌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른 후 단어 증가 량을 조사했는데, 노력파 어린이의 경우 단어가 폭증한 반면, 포기파와 대충파는 증가 수준이 현저히 낮았습니다.
'여드름'을 설명하는데 "그 얼굴에~ 엄청 아프고, 빨갛고 딱딱하고 못생긴게 나서..." 라고 깜찍하게 설명한 것이 노력파 어린이들의 특성이었습니다.

우선 왜 노력파의 단어가 많이 늘어나는 것일까요? 피드백에 그 답이 있습니다. 풀어 설명하게 되면 그 설명을 들은 상대방 (대부분 어른 영어 화자)은 올바른 단어로 대응하는 것이 일상적 대화의 흐름 입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여드름을 위와 같이 설명하면

You mean pimples?
Ah, pimples!
 
와 같이 단어를 알려주는데, 이렇게 들은 단어는 우리머리에서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그 단어를 스스로 풀어 설명하고 즉각 그 단어를 들음으로써, 스스로의 사전을 만든 것이니까요.  즉 자기 경험이나 자기 주관이 녹아난 아주 생생한 뜻으로 단어 뜻을 익혔고, 그것을 말로 설명했으며, 그 설명에 즉각적으로 답을 얻었기 때문에 머리에 콕! 입력이 되는 것입니다.

자, 그럼 노력파와 같은 능력을 가지려면 평소에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제가 제안해 드리는 방법은 단어 게임입니다. 


(1) 혼자 할 경우
가.  눈을 팽팽 돌리며, 내가 모르는 물건이 보일 경우 정지. 재빨리 10초안에 그 단어를 스스로 설명해 보세요. 즉각 대응력이 중요하므로, 절대 단어 카드를 미리 만들거나 하진 마세요. 그러면 단어 카드에 단어를 쓰는 순간 이미 머리에서는 그 단어의 뜻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나. 한글 신문을 읽거나 책을 읽을 때 어려운 (혹은 영어로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바로 소리내어 영어로 뜻을 설명해 보세요.

(2) 함께 할 경우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골탕먹일 생각으로 아주 어려운 단어를 던져 주세요. 그 말을 듣는 즉시 상대방은 뜻을 풀어서 설명해 보세요. 역시 '즉각적 대응력'을 키우는 것이므로 시간 제한을 두고 최대한 빨리 대응 하도록 하세요. 10초 안에 설명을 못끝내면 한 대 맞는다거나...

(참고: 어린 아이와 함께 놀이를 하실 경우, 아이가 단어를 잘 설명할 경우 매번 극찬을 아끼지 말아 주세요. 아이의 학습력은 훨씬 잘 늘어난답니다.-긍정적 피드백이 있는 경우와 피드백이 전혀 없는 경우, 부정적 피드백을 주는 경우를 비교한 연구는 상당히 많습니다. 특히 어린이 언어 학습에 칭찬은 필수, 필수적입니다^^)

 


 한 번 연습 해 볼까요? 아래 물건 셋이 길을 걷다 눈에 들어왔다 가정하고 그림을 보자 마자 즉각 시작, 10초안에 설명을 마쳐 보세요.

시작 !




 




외국어를 공부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익히고 연습하는 습관을 일상화 하는 것일테지요. 눈에 들어오는 사물, 글자도 놓치지 않고 이렇게 연습하다보면 모르는 단어도 막히지 않고 설명하는 능력이 늘어 나게 되고, 단어 량도 많이 증가 하실 겁니다. 
우리 모두가 한 순간도 막히지 않고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그 날까지, 함께 화이팅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eduhow.tistory.com/entry/영어-쓰기의-8부-능선-관사-the-a-용법-예제

(유학생이 쓰는) 영어 쓰기의 8부능선, 관사 뛰어넘기


영어학습자료 2011/04/05 22:55
유학 4년차, 영어 쓰기가 많이 익숙해진 지금도 매번 지적받는 사항이 있으니 그것은 관사, 그중에서도 정관사와 부정관사(a / the)의 사용입니다. 영어 쓰기를 공부할 때 그냥 무턱대고 많이 쓰다보면 나아지는 부분도 있지만, 관사만큼은 유학 초기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외국 친구들에게 물어보면 "그냥 감으로 아는 것이지 설명하기 힘들다"고 하니 그 역시 별로 도움이 안됩니다.  더 읽으시기 전에 관사 용법에 대한 다음 테스트를 풀어보세요. 주요 문제 몇가지에 대한 해설은 글을 읽으시면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관사 용법 테스트 :
http://a4esl.org/q/h/9901/cw-articles.htm
http://a4esl.org/q/h/vm/fampeople.html 

관사, 대강 쓰면 안될까?

관사야 어떻게 쓰던지 의미전달은 되니 적당히 쓰면 안되냐고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글로벌한 전문가로 성장하기를 원한다면 그렇게 넘길 수는 없습니다. (해외 기업 취업 관련해서는 Filldream님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관사 사용은 너무나 빈번히 일어나므로 제대로 숙지하지 못할 경우 (특히 학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어권 독자들에게) 글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저의 경우, 예전에 지도교수님이나 다른 리뷰어에게 논문 Draft를 보냈을 때, 관사 실수때문에 글의 내용에 제대로 집중하기 힘들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글의 내용에 대해 커맨트를 받아야 할 상황에서 관사 교정만 잔뜩 받은적도 있습니다.  (관련 포스팅 참조)

이처럼 사소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보니, 관사 사용에 자신이 없을 경우 작성한 글을 원어민 친구들에게 Proofreading받게 됩니다. 미국 생활 초기에는 이런 식으로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지만, 작성하는 글의 양이 많아질수록, 전문 분야의 글일수록 이는 점점 어려워집니다. 글을 봐줄 수 있는 친구를 항상 찾을 수 있는것도 아니고, 이메일 등 모든 글에 있어서 그렇게 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높은 위치에 올라 조직 전체에 메일을 보내야 할 일이 생겼을 때, 관사 실수를 남발한다면 리더로서 좋은 모습이 아닐 것입니다.

관사, 재대로 알아 보자

그래서, 관사의 용법을 한번 제대로 공부해보기로 결심을 했습니다.  사실 학교에서 혹은 문법책에서 수없이 공부했던 내용일진데, 그렇게 공부하고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동안의 접근법에 무언가 문제가 있다는 반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영문/언어학 전공의 선생님들의 개인지도를 받을 수 있는 MIT Writing Center에 일주일 간격으로 수차례 약속을 잡았습니다. 저의 계획은 관사 용법에 대한 개별적인 규칙의 암기가 아닌, 일종의 사고의 틀(mental framework)을 형성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Step 1 : 기본 규칙을 숙지하자

이렇게 전문가의 지도를 받기로 했지만, 명색이 박사과정 학생이 문법의 기본 규칙부터 물어볼 수는 없다고 생각해서 사전 학습을 했습니다. 우선 정관사가 '특정한'  대상을, 그리고 부정관사가 '임의의' 대상을 지칭한다는 것 정도는 아실 겁니다. (관련 포스팅 참조)  화자와 청자라는 관점에서 설명하자면, 정관사는 보통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알려진 대상을, 그리고 부정관사는 그렇지 않은 대상을 가리킵니다. 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관사 사용에 대한 많은 자료를 찾았는데, 그중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자료가 관사 사용법을 요약해놓은 다음 다이어그램입니다. (이를 포함하는 원문은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이든 일단 전체를 관통하는 큰 그림을 아는 것은 큰 도움이 됩니다. 관사는 (대부분) 명사 앞에 붙는 것이니 명사의 종류만 알면 이 표를 사용해 해결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예컨데 대문자로 시작하는 명사는 Proper Noun으로, 그리고 셀수없는 물질 / 추상명사는 Uncountable Noun으로 간주하고 해당 규칙을 적용하면 됩니다.

위 표에서 불분명한 부분이 General vs. Specific한 명사를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처음 등장한 단수명사앞에 a를, 그 이후에 이를 다시 지칭할 경우 the를 사용하는 것은 아시겠지만, 처음 사용되는 명사이더라도 수식어나 문맥을 통해 한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수식어의 경우 어떤 수식어가 뒤어 오느냐에 따라 한정되는 정도가 다른데,  전치사 of가 뒤에 오는 경우가 가장 한정적이며, for / in / at등 다른 전치사, that절, to부정사의 순으로 한정의 의미가 약해집니다. 전치사 of의 수식을 받는 명사에 대부분 the를 붙이는 이유입니다.
The equipments of the health club was clean in general. (of는 앞에오는 명사를 강하게 한정하기에 the를 붙입니다.)
You must sign an agreement to join the club (to는 약한 한정의 의미를 갖기에 an을 붙입니다.)


또한 General vs. Specific의 구분이 Uncountable vs. Countable을 선행한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즉, 비가산명사(water, dirt, sand)라도 구체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경우 the를 앞에 붙이게 됩니다.
He drank water. (water는 특정한 물을 지칭하지는 않습니다.)
He fill the cup with some water. And he drank the water. (물질명사인 water가 앞에 사용된 특정한 water를 지칭합니다.)


때로는 General vs. Specific의 구분을 위해 해당 분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알아야 할 때도 있습니다. 노벨상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다면 다음 문장에서 정확한 관사를 사용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Einstein won the Novel Prize in Physics in 1921. (해당 년도의 물리학 노벨상은 단일하기에 the를 씁니다.)
Roentgen won a 1901 Novel Prize. (해당 년도의 노벨상은 여러개이니, 그중 하나를 가르키기 위해 a를 씁니다.)


Step 2 : 보조 규칙을 익히자

영어에는 이러한 기본 규칙을 보완하는 추가적인 규칙이 존재합니다. 사례를 통해 이를 알아봅시다. 우선, 고유명사가 일반명사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I want to drink a Coke. (고유명사인 Coke가 콜라 한병이라는 일반명사로 사용됩니다.)
Mother Teresa was a Roman Catholic nun. (Roman Catholic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nun을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소유격은 정관사와 같이 쓰지 않습니다. 소유격 자체가 '한정'의 의미를 담고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Mother Teresa received her novel Peace Prize in 1979.
Einstein is known for his theory of relativity.
Einstein is known for the theory of relativity. (소유격이 없다면 the를 써야합니다.)


이밖에도 많은 규칙이 존재합니다만, '뉴욕의사의 백신영어' 저자이신 고수민님의 글을 비롯한 온라인상의 자료를 글미에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할까 합니다. 단, 문법 규칙이라는 것은 적용범위가 넓고 예외상황이 적은 경우에만 유용하다는 점을 기억합시다. 이런 의미에서 스스로 글을 쓰면서 자주 의문점을 느꼈던 규칙이 아니라면, 일일히 암기하기보다는 Step 3에서 설명하는대로 '직관'력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입니다.


 Step 3 : 나머지는 '직관'으로 해결하자

 관사 사용이 규칙대로 된다면, 지금처럼 난제는 아니었을 겁니다.  하지만 관사 사용에는 수많은 예외 및 관용어구가 존재합니다. 이를 각각 모두 기억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뿐 아니라, 막상 필요할 때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문법책에서 가르치는 관사 용법이 그렇게 길고 복잡한 것은 이런 예외상황을 모두 규칙으로 가르쳤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컨데, 고유명사앞에 the를 붙이는 '예외상황'에 대한 다음 '규칙'을 살펴봅시다.

Use the with the proper noun (name) of a historical event, historical period, highway, building, hotel, museum, river, ocean, sea, point on a globe (Examples: the Equator or the East), desert, forest, gulf, or peninsula. Only use the with the name of a country if the name is plural, as in the Netherlands, or if it is a phrase, such as the Dominican Republic.
위에서 열거하는 열 몇가지 경우를 모두 암기하는 일은 (80년대) 수험 영어에서나 필요했을 일입니다. 실제 영어 쓰기에서는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해 쓰는것이 보통일테니 위 단어를 쓸일이 많지 않을뿐더러, 어디에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요즘은 필요할 때마다 검색을 통해 정확한 용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South Africa (남아공)의 경우에는 the를 앞에 붙이지 않으니, 위 규칙이 절대적인 것도 아닙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규칙'에도 적용이 애매한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앞서 General vs. Specific을 구분하는 규칙을 설명했지만, 종종 그 구분이 문맥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아래 문장을 살펴보면서, 밑줄친 부분에 왜 the가 필요한지 생각해봅시다. 참고로 제가 치른 온라인 테스트의 틀렸던 문제에서 발췌한 문장입니다.
Look for a health club near your house, and check out the exercise instructors and personal trainers. You should evaluate the equipment as well.

 

제가 Writing Center선생님께 물어본 결과 앞 문장에서 a health club이 등장했기에, 이 문장의 exercise instructors는 거기 소속의 사람일 것이며, 따라서 충분히 specific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the를 써야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of절과 같은 명확한 단서가 없는 경우에도 문맥에 따라 정관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관사 교육에 대한 또다른 오해는 많은 경우 '하나의 정답'이 존재하는 것처럼 설명된다는 것입니다. 관사에 대한 서적에서 발췌한 다음 문장을 살펴봅시다. 책에서는 the가 정답이라고 가르치고 있지만, 나라에 따라서는 다수의 공용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a dominant native language역시 틀린 답은 아니라는 것이 제가 상담한 선생님의 말씀이었습니다.
In some countries, English is the dominant native language.

 
즉, 많은 경우 관사 사용은 옳고 그름의 문제라기보다는 '화자의 의도'를 얼마나 잘 전달하느냐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예컨대 윗 문장에서 the를 썼다면 해당 화자는 나라별 공용어는 하나라는 자신의 관점을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관사 용법에 무작정 규칙을 적용하기보다는, 자신의 표현의도에 따라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감각'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이런 이유에서 통/번역 등 영어 구사를 직업으로 하지 않는 일반인에게는 Step 2까지의 규칙을 외우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이상의 상황에 대해서는 '지식'이 아닌 '직관'을 통해 해결하는 편이 더 나을 것입니다. 좋은 영문을 많이 접함으로써 관사 사용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것입니다. 제가 상담을 받았던 선생님께서는 뉴욕타임즈 기사와 같은 좋은 영문을 '소리내서' 읽는 방법을 추천하셨습니다. 시청각을 모두 동원하여 관사의 용법을 느낌으로 익히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은 실제 네이티브 스피커들이 관사를 익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글을 마치며

이 글에서는 영어 쓰기 완성에 있어서 가장 난제라고 할 수 있는 관사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관사 용법에 대한 필수적인 규칙을 몇가지 소개하였지만, 문법책의 구절을 외는 것 보다 '감각'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우리가 영어를 처음에 접하는 것이 학교공부를 통해서이다보니, 자꾸 '공부' 마인드로 영어를 대하게 되고, 이것이 영어 학습에큰 장애가 되지 않나 합니다.

이 글을 작성하면서 온라인상의 수많은 자료를 참조했습니다. (예문의 출처를 일일히 밝히지 못한 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그중 도움이 많이 되었던 글을 아래 소개합니다. 특히 관사에 관해서는 아래에도 링크한 '뉴욕의사' 고수민님 영어 포스팅을 추천합니다. '영어전문가'가 되기위한 영어학습 방법과 일반인의 영어학습 방법이 달라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합니다. Filldream님의 영어 강의에도 원어민처럼 듣고 말하는데 도움이 되실 내용이 많습니다.

< 관사 사용법 가이드 >
위에 사용한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관사 사용 가이드 (영문)
'뉴욕의사'의 관사 용법 시리즈 (1편)
네이버 블로그 : 정관사 the의 용법


저는 영어 전문가도 아니고, 한국에서 태어나 중학교때 영어 공부를 시작한 평범한 유학생입니다. 많은 부분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쓴 글이지만, 저를 포함하여 관사 용법에 대해 '본능적인 공포감'을 느끼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마지막으로 아래 질문에 대한 독자님들의 의견을 구할까 합니다. 댓글이나 다음 글을 통해 답변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관사 이외에 영어 쓰기에서 어려운 부분은 무었입니까?
-. 관사 공부에 가장 도움을 받은 자료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 특히 햇갈리는 관사의 용법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ko.usmlelibrary.com/41


영어 학습법의 가장 깊이 숨겨진 비밀

영어 공부 제대로 하기 2007/11/21 00:36 Posted by 고수민
 
방금 극장에서 베오울프를 보고 들어 왔습니다. 대충 80%-90% 정도 알아들었던 것 같습니다. 제가 영어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수년전에 20-30% 알아들었으니까 장족의 발전을 한 거지요. 한국에서 영화볼때는 자막을 보면서 보니까 잘 알아듣는다고 착각을 할 때도 있었는데 3년 전 미국 와서 극장가보고는 역시 아직도 멀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50% 정도나 알아들었을까요. 그래도 그런 영어실력가지고 미국에서 한국인도 없는 미중부 소도시에서 직장(병원)생활 한거보면 운이 좋기도 좋았습니다. 지금은 조금 더 여러 가지 면에서 제 영어생활에 여유가 생겼지요.

영어에 관해 글을 쓴다는 사람이 100% 알아들어도 시원치 않을 판에 겨우 80-90% 알아듣는다는 자격이 한참 부족한 제가 이런 글을 쓰는 가장 큰 이유는 전에 제 글에서 살짝 언급을 했지만 영어를 가르치는 사람들 혹은 영어교육으로 돈을 버시는 분들에 대한 불만 때문입니다. 최근 블로거의 대열에 동참한 이후 영어공부에 관한 여러 포스트들을 관찰했습니다. 온라인 세상에도 오프라인 세상과 마찬가지고 정말 추천하고 싶지 않은 선생님들이 많더군요. 한국의 사설 영어교육 시장이 10조원이라지요.(교육부 추산, 2006) 영어 교육으로 돈 벌이하는 사람이 너무나 많고 남들보다 튀기 위해서는 때로는 파격적인 주장이 가장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주장들의 많은 부분이 영어학습자들의 시간과 특히 비용을 과다하게 소비하도록 만든다는 것입니다. 돈을 그렇게 많이 쓰고도 많은 사람들은 그만한 가치가 있었을 것이라고 믿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 교육비로 들어가는 돈은 가장 절약하기가 어려운돈 아닙니까. 미래의 가치에 투자하니까 얼마나 많이 들어도 결국은 보상이 될 거라고 믿는 것이죠. 멀고 먼 나라 이야기 하는 것도 아닙니다. 제 경험이기도 하죠.

책과 테이프, 학원, 외국 연수, 방송 매체, 각종 캠프, 각종 영어공부를 위해 만들어진 전자제품, 심지어정부에서 만든 영어마을까지 어마어마한 영어 학습시장에서 살아남아야 하니까 과대광고는 일상적인 일이 되었고 지금의 저처럼 영어 공부는 그저 우직하게 단순하게 해야 된다고 하면 생존 자체가 안 되는 것도 어찌 보면 시장의 순리일 수 도 있습니다. 매력없어 보이는 상품은 선택이 안되니까. 하지만 시장은 시장이니까 그렇다고 치고 그럼 왜 영어학습자들에게 그런 자극적인 방법들 말고 돈 별로 안 쓰고 정상적으로 공부(많이 읽고, 많이 듣고, 많이 작문해보고, 많이 말하는)하는 것이 좋다는 주장을 해줘서 그나마 밸런스를 잡을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목소리는 이처럼 없을까요. 왜 모든 사람이 무슨무슨 학습법이나 값비싼 외국연수에만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유학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원정 매춘하는 여대생이 있다는 이야기듣고 기절하는 줄 알았습니다. 어쩌다가 이렇게까지 되었나요.)

지금 영어를 잘하는 거의 모든 사람들도(교포나 외국에서 유년기를 보낸 사람 말고 그냥 한국에서 자라서 한국에서 교육받고도 영어 잘하는 사람들) 아마 무슨무슨 특이한 학습법 한 번씩은 시도해보고 돈도 쓰고 했을 겁니다. 하지만 결국은 저처럼 같은 교훈(우직하게 정상적으로 공부)을 얻게 되었다고 봅니다. 그런데 이 사람들은 영어를 생활의 도구로써 익힌 보통사람으로써 영어가 의사소통의 도구로 큰 불편함이 없어지면 자기가 겪었던 과정을 다 잊게 되고 그저 공부하다보면 의례 겪을 수밖에 없는 시행착오로 치부해버립니다. 이들은 모두 영어는 그저 열심히 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을 몸소 체험으로 알고 있지만 말이죠. 반면에 이러한 사람들이 영어교육자(혹은 영어교육 사업가)가 되면 그 정상적인 공부는 돈벌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누구보다도 잘 아니까 그냥 열심히 하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결국 무슨무슨 학습법이 다시 개발이 되는 거죠.

그럼 어떤 학습법이 그나마 믿을만하고 어떤 학습법이 사기성이 높은 걸까요. 어떤 학습법이 좋다 나쁘다는 말하지 않겠습니다만 여러분이 판단하세요. 일단 몇 달만 하면 된다는 식으로 이 방법이면 금방 영어에 통달한다고 약속하면 말이 안 되죠. 지나치게 어떤 조그만 원칙에 집착해서 예를 들면 단어공부나 발음공부등 이거 하나가 되면 다른 건 저절로 다된다는 식의 약속을 하는 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돈을 지나치게 많이 쓰게 만들면 그것도 못 믿을 일입니다. 공부는 내가 하는데 왜 큰 돈을 갖다 바쳐야만 결과가 나옵니까. 간혹 이런 학습법으로도 효과를 보았다는 사람은 항상 있기는 있습니다. 그런 것을 보면 더욱더 믿고 싶어지죠. 이 방법으로 한 달을 하니까 귀가 열리더라는 식. 냉정히 상식으로 판단합시다. 이 세상에 오줌을 마시고 당뇨, 고혈압 다 고쳤다는 사람 없을 것 같습니까? 별의 별 사람이 다 있는 법입니다. 문제는 그 특정 학습법이 그렇게 좋으면 왜 수많은 학습법이 해마다 쏟아져 나옵니까.

영어공부의 방법론에 대해 영어교육으로 돈 버는 사람들 말고 저처럼  영어를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하는 생활인의 주장이 좀 더 많이 나와야 된다고 봅니다. 아직 부족해서 영어공부에 대한 주장을 펼치기가 부끄럽다고 숨지 말고 영어를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헛된 희망을 품게 해주는 장사꾼들의 주장으로부터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목소리를 높여야 됩니다. 기회가 되면 번역가, 통역사, 교수, 외교관, 아리랑 티브이 앵커든 영어에 일가를 이룬 분들이(영어교육으로 돈 버는 분들 말고) 영어를 어떻게 했나 찾아보세요. 모두들 한결같이 증언합니다. 무슨무슨 학습법이나 값비싼 해외연수가 아니고 그냥 상식에 맞게 공부한 겁니다. 마치 수능만점자가 하루에 8시간자고 학교수업에 충실하고 과외같은거 안했다는 소리로 들릴지는 모르지만 영어에서 만큼은 왕도가 없습니다.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듣고, 많이 말하기.
단순 무식하지만 큰 비밀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오늘의 주제]
무료 숙식이 모든 호텔직원들에게 제공됩니다.


[어구]
식사(유료) : board
(유래 : board 널빤지 → 식탁 → 식사)
숙식 : room and board (=board and lodging = bed and board)
남에게 식사를 제공하다 : provide (or give) a person board


[영작]
Free room and board are provided for all hotel staff.
 

[비슷한 표현들]
They will receive room and board plus a wage.

The government agency will provide room and board to the disadvantaged young people while they complete their studies.

Cost for a course including full board and lodging is 175.

In 1989 the board and lodging allowance varied from 140 to 230 a week.

As a result, my telephone and fax bill is much greater than the bill for board and lodging.

You get a big salary incentive and free board and lodging too.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www.afn.co.kr/archives/tips/tip11-2.htm


자녀의 영어지도
- 가정이 '영어의 바다'가 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 例
 
'직접 가르치고 싶지만 영어를 못하는데 어떻게 하라는 말인가'하고 반문할 부모님들도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언어를 학술적으로만 인식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녀에게 회화나 문법을 가르치고 연습문제를 풀어주는 것만이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자녀의 영어실력이 부모님보다 훨씬 뛰어나더라도 나름대로 도와 줄 수 있는 여지는 많이 있습니다.

입장료를 내고 뮤지컬이나 연주회에 가야만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유행가일지라도 스스로 불러 보는 편이 음악성 발달에 도움이 되고 값비싼 외국 그림책을 사 주는 것보다 서투르더라도 엄마가 크레파스로 그려준 그림에 더 많은 사랑이 깃들어 있는 법입니다. 자녀의 건강증진을 위해 전문가가 운영하는 헬스클럽에 보낼 것인지 온 가족이 함께 자전거를 타거나 조깅을 즐길 것인지 고민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격식에 얽매여 걱정만 하다보면 어느새 훌쩍 커 버린 자녀가 자신의 전철을 밟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는데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부모가 자녀의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핵심은 '함께 공부'하는 것이 아닌 '함께 즐기는 것'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즉 공부라는 느낌이 들지 않으면서도 즐기는 와중에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꾸준히 적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물론 영어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지만 그것이 어렵다면 최소한 즐겁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더우기 난데없이 '이제부터 우리말을 쓰면 벌금을 물리겠다'는 등 현실성이 없거나 강제적인 방법은 부작용이 크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어떤 일이건 스스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지 무턱대고 끌어 당기다가는 영영 흥미를 잃게 되어 아예 시작조차 하지 않은 것만도 못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외국어는 어린 시절부터 하는 것이 좋다'는 말을 '영어유치원이나 과외 등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급하다'는 의미가 아닌 '부모가 일찍 참여할수록 좋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남에게는 문법, 영작, 통역술 등 전문적이고 기능적 측면의 교육을 위탁하는 것으로 충분한데 이는 언제라도 가능한 일입니다.

아래는 자녀와 더불어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제시한 것으로서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실행하기 어렵거나 조금은 극단적이라 생각될 수 있는 방법도 있겠지만 '영어라도 잘 하게 하자'는 마음에서 자녀를 조기유학 보낸 채 노심초사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리적, 경제적 부담이 적을 것입니다. 항체(영어의 습득)를 만들기 위해 직접 병(조기유학 등)을 앓지는 않더라도 예방주사(가정에서 영어의 생활화)를 맞는 아픔 정도는 감수한다는 자세로 온 가족이 협력한다면 반드시 좋은 결실을 맺게 됩니다.

젖먹이 시절부터 우리말을 가르친 부모님이 자녀의 영어습득에 있어서도 첫 걸음마 상대가 되어 준다는 것은 너무도 아름다운 일입니다.

● 온 가족이 모여 팝송이나 영어동요를 부른다.

영어가 능숙한 분이라도 자녀들과 영어로 대화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색할 것입니다. 사실 이는 영어를 모국어나 그에 준해 장기간 사용해 오지 않은 이상은 피할 방법이 없습니다.

반면 노래방에 가서 'Yesterday' 등의 팝송이나 'Marry Had a Little Lamb' 같은 영어동요를 부르는 것은 비교적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기타나 피아노 등 생음악 반주가 있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으나 노래방에 가거나 가수의 음반을 틀어놓고 함께 부르다보면 '노래'라는 즐거운 경험을 통해 '영어'라는 이질적인 요소를 친근한 벗으로 삼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모자녀간의 친목도모에도 예상 외로 큰 도움이 됩니다.

부모님의 발음이 별로 좋지 않더라도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팝송을 부르는 주요한 목적은 영어에 대한 흥미유발과 친근감 형성이지 발음교정이나 문법학습, 혹은 가수수업 등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온 가족이 부담없이 즐기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처음에는 Rock 등의 장르 보다는 흘러간 명팝송이나 발라드 계열, 애니메이션 주제가 등 함께 부르기 쉽고 친근한 곡이  적당합니다. 또한 자녀가 너무 어려 직접 노래 부르기 힘든 경우라도 클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영어동요를 많이 불러주는 편이 좋습니다.
 

● 노래방에서 탄생한 영어귀신

실제로 영어노래를 즐기기 위해 주말마다 노래방을 찾는 가족이 늘고 있습니다. AFN Korea 시청 20년째인 양모씨(서울거주)의 경우, 과거에는 주말을 직장동료나 친구와 함께 어울리는 일이 많았으나 현재는 가족이 외식 후에 노래방 가는 것을 가장 큰 낙으로 삼고 있다고 합니다.

즉 특별한 행사가 없는 한, 토요일 오후면 온 가족이 모여 각자 부를 노래 중 한 곡씩 가사를 발표(주요 단어의 의미, 문장의 해석, 내용 토의 등)하는 간단한 '사전 스터디'를 거친 뒤 저녁식사를 하고 노래방에 가는데 자녀가 서너살 때 우연히 시작하게 된 이 방법은 맏이가 대학입시를 바로 앞둔 지금까지도 집안의 전통처럼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계기를 통해 우연찮게 영어에 흥미를 붙이게 된 자녀들은 AFN을 시청하고 미국인 친구들을 사귀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력을 배양하여 해외연수나 거주경험이 전혀 없음에도 현재 '팝송사전', '영어귀신' 등의 별명으로 불리운다고 합니다.

여기서 팝송을 즐긴 것은 단지 동기부여일 뿐이고 정작 중요한 것은 이를 계기로 자녀들 스스로 영어에 흥미를 붙여 평소에 꾸준히 공부했다는 사실과 부모님 또한 '알아야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생각에 학원을 다니고 인터넷과 서점을 뒤지는 등 나름대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사실입니다. 더욱이 매주 토요일의 저녁 식사시간은 그간의 주요한 학습결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토의하는 등, 영어학습에 유익한 이정표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 가족끼리 각자 편한 언어로 대화한다.

회화가 가능한 영어교사의 비율도 그리 높지 않은 현실에서 자녀와 무조건 영어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은 무리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정에서 각자 자유로이 우리말과 영어를 혼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즉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은 영어만 사용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 영작이 가능한 표현이라면 영어로, 그렇지 않다면 주요 단어만 영어로 하는 등, 격식없이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입니다.(단 난해한 문장, 단어 등의 경우에는 대화 상대방의 수준에 따라 쉬운 영어나 우리말로 반복해 주는 배려가 필요함)

주요 단어 및 표현들만 영어로 된 국영문 혼용서적을 통해 적지 않은 분들이 좋은 효과를 거두고 있음과 현재의 핵가족화 및 고학력자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가정 내에서의 언어 혼용은 시도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 물론 이런 대화 방식은 영어단어를 섞어 쓰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잘난 체하는 것처럼 들릴 수도 있으나 영어의 생활화라는 목적으로 때와 장소를 분간해 사용한다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재미교포의 경우에도 - 특히 심각한 대화시에 - 부모님(우리나라에서 살다 이민간 경우)은 우리말로, 자녀들(미국에서 나고 자란 경우)은 영어로 각기 사용하기 쉬운 말을 쓰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즉 우리말이나 영어나 알아듣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자신의 깊은 속내를 표현하려면 아무래도 오래 쓴 언어가 편리하므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다만 언어를 혼용한 대화시 상대방이 영어로 말하는 부분(단어든 문장이든)을 대충이라도 알아듣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청취력이 필요합니다. '나는 못하니 너나 해라'하면서 자녀에게만 영어를 강요하기보다 간단한 회화를 배울 정도의 성의를 보이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언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동시에 다른 어떤 분야와도 다른 특징은 그 습득이 인터액티브(Interactive)한 과정 - 예를들어 질문-답변 등의 순서로 상호 반응하며 의사를 소통하는 과정 - 을 통해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영어로 생각만 하는 것 보다는 독백이나마 입을 사용하는 편이 낫고 어설픈 영어로라도 두 사람 이상이 대화하는 경우에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입니다.

2개국어 혼용시 통상은 부모가 자녀에게 영어로 말해주는 비율이 높게 시작하나 자녀가 영어에 흥미를 붙이게 되면 길어야 2~3년안에 부모의 실력이 딸리게 됩니다. 부모님이 어느 정도까지 공부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정답은 없으나 오랜 시간 자녀의 대화상대가 되고자 한다면 특히 어휘 및 청취력을 보충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얘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자녀의 영어실력 향상에는 많은 도움이 됩니다.

물론 부모가 직접 자녀의 영어 대화상대가 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고 자신의 서툰 영어와 어색한 발음에 대한 불안감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어설프게라도 시작하는 것이 완벽할 때까지 기다리다가 아무 것도 못하는 것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부모님 스스로도 틀리는 것을 겁내지 말고 자녀에게도 과감히 표현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잘못 알고 있거나 틀린 부분이 있더라도 교재나 매스컴, 혹은 미국인과의 대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고쳐집니다. 더욱이 요즘에는 굳이 미국인을 만나지 않더라도 서적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올바른 표현, 실제로 쓰이는 표현들을 쉽게 접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 재미나는 일, 일상적인 일을 영어로 한다.

주지하시는 바와 같이 언어는 특별히 시간과 교재를 정해 학술대상으로 공부하기 보다는 일상을 통해 자연스럽게 습득함이 바람합니다. 즉 외국어에 대한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공부'라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 채 반복연습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특히 어차피 해 오던 일들(TV 시청, 신문잡지 구독, 독서 등)을 영어로 언어만 바꾸어서 하는 것도 좋은데 이는 습관의 힘을 빌릴 수 있으므로 절반은 성공한 셈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즐겨보던 TV 시리즈는 AFN을 통해 시청하고 영자신문과 잡지를 구독하며 베스트 셀러나 만화 등을 원서로 읽는 동시에 영어일기 및 메모, 펜팔, 채팅 등을 활용함으로써 읽고 듣는 수동적 영역은 물론, 말하고 쓰는 능동적 어학능력 계발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일상생활을 영어와 연관시키면 처음에는 매우 힘든 것이 사실이지만 오래지 않아 '영어의 생활화'가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영어일기나 영문논술 등 과거 영어 전문가의 도움 없이 어려웠던 일들도 현재는 친절히 설명된 각종 참고자료를 통해 독학이 가능해졌을 뿐 아니라 인터넷의 보급으로 누구나 펜팔이나 채팅 등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므로 마음만 먹으면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한 것입니다.

무엇이든 능숙해지기 전에는 힘들고 하기 싫은 법입니다. 더우기 언어의 습득에는 오랜 연마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지겹다는 생각이 들지 않고 꾸준히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물론 즐기며 영어를 습득할 수 있다면 더욱 좋지만 최소한 영어의 사용이 중단되지 않도록 일상에 접목시킬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참고로 어떤 활동이든 모든 가족이 함께 - 진심에서 우러나와 - 즐긴다면 더욱 좋습니다. 무슨 일이건 여럿이 함께 하면 거부감도 덜하고 공감대 속에 서로 밀고 끌어주면서 혼자로는 불가능한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AFN의 예를 들면 쉽고 재미있는 시리즈(PG 등급 이하)나 뉴스 매거진 등을 가족이 함께 시청하며 자유롭게 의견을 나눔으로써 미국인들의 사고방식과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녀의 논리적 사고방식 배양과 시사상식 함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영어와 일상을 접목시킨 다른 예를 들면 자녀 이름의 한국 정보 웹 사이트를 만들어 관리를 시킨다거나(내용이 영문으로 되어있을 뿐 아니라 방문객과 e-mail 등을 주고 받음) 자녀의 취미와 관련된 영어잡지를 구입해 주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1차적인 대상은 '즐거움'이고 영어는 즐거움을 가져다 주는 도구(필요악)로서 재미있는 일을 하는 와중에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게 됩니다.

무슨 일이든 거창하게 목표를 잡고 단기간에 끝낼 욕심으로 무리하기보다 일상 속에서 착실히 연마해 나갈 때의 성취가 높게 마련이며 오랜 시일이 소요되는 언어의 습득에 있어 꾸준한 노력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영어의 생활화'란 우리의 일상과 밀접한 만큼 외국에 대한 거부감이 있거나 강요당하는 경우에는 심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아동에 따라 적용방법, 시기 및 정도를 달리 할 필요가 있습니다.
 

● 말하는 시계로 숫자에 강해졌다!

해외거주 경험이 없는 정모씨(서울 거주)는 몇 년 전 미국출장을 다녀 온 동료직원으로부터 말하는 시계(Talking Clock; 알람이나 현재시각 등을 말해줌) 하나를 선물 받았는데 영어로만 나온다는 것을 알고는 실망해서 무심코 자녀(4세 및 2세)의 방에 놓아 주었다고 합니다.

며칠 후 저녁을 먹다가 영어를 전혀 접해보지 못한 자녀들이 시계(15분 마다 현재시각을 말해주는 상태)에서 나온 소리를 앵무새처럼 따라하는 것을 듣고 정모씨는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몇 년이 흐른 지금 숫자에 관한 한, 아이들 입에서는 영어가 먼저 튀어나온다고 합니다. 물론 숫자개념이란 사고영역 중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자연스런 반복의 효과를 실감하기에는 충분한 예(例)가 아닐 수 없습니다.
 

● 특히 영,유아에게는 직접 목소리를 들려주는 것이 제일 좋다.

■ 영어로 속삭여주기

영아기에는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더라도 부모님이 계속 속삭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에게 해줄 말이란 '참 예쁜 아기네', '사랑해', '이제 기저귀 갈아야겠네...'등 간단한 문장들로서 미국 거주 경험이 없는 부모라도 서적, 인터넷 등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여 적절한 현지식 표현을 들려줄 수 있습니다.

아기에게 반복해서 들려줄 문장들을 정리해 보면 많아야 A4지 서너 장이고 기본 단어 몇 개로 이루어진 단순한 표현들이므로 누구라도 금방 익힐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시절에는 단순한 표현들을 반복한다는데 의미가 있으므로 문장의 길이나 문형의 다양성 등에 집착하지 말고 한두 단어로 이루어진 말일지라도 기회가 될때마다 속삭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영어동화 읽어주기

유아들은 부모님이 직접 동화를 읽어주는 것을 매우 좋아합니다. 부모의 입장에서도 스스로 영작을 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영어 동화책을 읽어주면 되므로 노력에 비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물론 원어민의 발음으로 된 비디오나 오디오 교재도 좋으나 영, 유아의 교육을 지나치게 시청각 자료에만 의존하면 성격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부모님의 시선과 체온을 느끼며 목소리를 들려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집중력 향상의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말을 알아듣기 시작하는 유아의 경우, 평소에 우리말만 쓰다가 동화책을 영어로 읽어주면 거부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므로 처음에는 주인공과 관련된 한 두 단어(명사)만 영어로 바꿔 들려주고(예를들면 '옛날옛적에 Snow White이라는 Princess가 살았대요...') 부자연스러움을 느끼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점차 영어의 비율을 높여가면 좋습니다. 즉 영어 동화책에서 처음에는 주요 단어만 남기고 우리말로 번역을 해 주다가 나중에는 차차 원본의 내용대로 읽어주면 되는데 부모님이 조금만 예습을 한다면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동화를 구연하는 경우, 줄거리에 못지 않게 전달방식도 중요하므로 제3자의 입장에서 남의 이야기를 듣게 한다는 느낌보다는 자녀를 등장인물로 만들어 준다는 발상이 필요합니다. 특히 성대묘사, 소품의 준비 등이 병행되거나 아빠가 함께 참여하면 그 효과는 더욱 큽니다.

● 영어로 단어 게임 등을 해 본다.

팀당 2인1조가 되어 한 사람에게는 단어의 정의를 말하게 하고 다른 한 사람은 무슨 단어인지 단어를 추리하도록 하여 일정한 시간(30초~3분)내에 많이 맞춘 팀이 이기는 게임이 있습니다. 이 역시 폭소와 함께 정신없이 설명하다보면 가족간이라도 어색함을 느낄 겨를이 없습니다. 만일 자녀가 한 명뿐이라면 자녀-엄마, 자녀-아빠 등으로 팀을 나누어 진행하면 됩니다.

이러한 게임의 주 목적은 문제에 나오는 단어 자체가 아닌, 어떤 개념에 대하여 영어로 신속히 설명하는 요령을 익히자는 것이므로 굳이 어려운 문제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국내의 영어학습자들은 Car, Girl, Dream 등 쉬운 단어를 설명하면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경향이 있는데 상대방이 속히 단어를 맞출 수 있도록 쉬운 표현으로 다양하게 말을 바꾸어 가며 설명해야 하므로 좋은 연습이 될 것입니다.

다만 이 게임은 국어-영어 혼용 대화와 마찬가지로 가족 전원이 영어의 초보자인 경우 적용하기 어렵다는 난점이 있는데 이러한 상황이라면 영어 의사소통의 필요가 없는 크로스워드 퍼즐(Crossword Puzzle; 문제도 영어로 된 것) 중 초보수준(미국의 초등학생용 등) 등의 대안(代案)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www.afn.co.kr/archives/tips/tip10.htm



발음 교정 방법

- 발음에 필요한 근육을 바디빌딩 하듯이 계발해야
 
발음은 우리의 의사를 최종적으로 표현해주는 것으로서 매우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우리가 영어발음을 하면서 범하기 쉬운 오류들과 발음 교정 방법을 간략히 소개합니다. 물론 우리말로 영어발음을 표기함에는 무리가 있을 뿐 아니라 비교설명 등을 위해 과다하게 강조된 부분도 있으므로 참조하시되 실제 미국인의 발음을 듣고 연습하여 체질화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완벽한 발음을 하기위해 너무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어떤 분야든 처음부터 완벽하게 될 수 없듯 발음 역시 꾸준히 교정해 가는 것이며 무리하다가 싫증을 느끼기 보다는 아예 안 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억양(높낮이) 없는 영어 구사는 절반을 손해보고 들어간다.
- 억양과 리듬을 떼고는 존재하지 못하는 영어발음

영어는 단어와 문장 모두에 우리말보다 훨씬 강하고 리드미컬한 억양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억양은 영어와 뗄 수 없는 한 부분으로서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구사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합니다. 단어나 문장은 '스펠링에 따른 발음 + 각 부분의 강세'가 그림자처럼 붙어다니는 것으로서 억양없이 문장을 읽는다면 로봇의 발음처럼 어색하게 들립니다.

특히 우리말에는 억양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영어구사시 억양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넘어가기 쉽지만 억양없는 영어(읽기, 쓰기 제외)라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습니다. 심지어는 미국인들 간의 대화에서도 막써씔린(amoxicillin; 경구용 반합성 페니실린 제제의 일종인 아목사실린) 등 생소한 용어의 경우 묵음 때문에 제대로 못알아듣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무리 문법, 어법적으로 완벽한 문장일지라도 높낮이 없이 평탄하게 발음하거나 어색하다면 식민지 발음으로 밖에 들리지 않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실제로 한국인들이 미국인과 대화를 나누며 '내 영어 중에서 가장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운 게 어떤 점이죠?'하고 물으면 그 답은 '문법, 어법적으로 틀렸다'기 보다는 액센트(accent), 즉 발음을 위시하여 말투나 억양이 어색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그러나 '억양'이라는 개념에 익숙치 않은 우리들은 'accent'를 단순히 'pronunciation'이라는 의미로 받아 들이므로 단순히 혀만 굴리면 미국식 회화가 가능한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예를들어 '스파게티'로 통용되는 'spaghetti'를 '스퍼게리'로 발음해봐야 크게 나아진 점이 없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스퍼게리'라는 일견 완벽해 보이는 발음에는 최소 네 군데의 오류가 있기 때문인데 1. 'sp'처럼 자음이 겹치는 경우 두 자음 중의 하나는 묵음화되고(여기서는 '스'가 아닌 'ㅅ'만 남음) 2. 역시 'sp'처럼 자음이 겹치는 경우 두 번째 자음은 경음화되어 '퍼'나 '파'가 아닌 '뻐'나 '빠'에 가까운 발음이 되며 3. '게'에 강세가 오므로 '게'가 아닌 '게'라고 심할 정도로 강조를 해야 하며 4. '리'는 원래 '티'가 변한 것이므로 '리'도 '티'도 '디'도 '히'도 아닌 혀를 차면서 '리'발음(즉 '리' 발음이되 원래 '티' 발음의 흔적은 남아야 한다는 의미)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결국 'ㅅ뻐게리' 내지는 'ㅅ뻐겔히'라는, 우리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발음을 해 줘야 억지로라도 비슷하게 들립니다.

단어를 암기하거나 문장을 구사시 의식적으로 억양을 확인하고 새로운 문장이나 단어를 습득할 때에도 억양을 항상 문장과 뗼 수 없는 요소로서 함께 습득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아무리 단순한 영어발음이라도 우리말로 100% 표현할 수는 없다.
애초부터 음가(音價)가 다르다는 점을 인정해야...

world나 acquaintance 등은 발음이 어렵고 복잡하지만 good, bad 등은 한글로 100% 표기가 가능하다고 믿는 분들이 많습니다. 바로 이러한 착각 때문에 우리의 외국어 발음에 더 이상의 발전이 없는 것으로서 'bad'을 '배드'(혹은 밷), 'good'을 '굳'으로 표기하는 것은 'world'를 '월드'로 쓰는 것 만큼이나 틀린 것입니다.

궂이 표기를 해 보자면 'bad'는 'ㅂ애-앋', 'bus'는 'ㅂ아ㅅ', 'boy'는 'ㅂ오이'로 그리고 'car'의 경우 'ㅋ아ㄹ'라는 발음에 가깝습니다.

외국어 발음을 우리말 음가에 억지로 맞추는 순간 콩글리쉬로 전락하고 맙니다. 'She is a bad girl.'을 '쉬 이즈 어 밷 걸'하고 억양 하나 없이 발음하면 매우 깔끔하여 소위 '우리네 정서'에 맞지만 왠지 김치냄새가 나는 것을 피할 수 없습니다.

한국말에서는 구수한 된장 냄새가 나야 정감있고 자연스럽듯 영어에서는 -역겨울지라도- 버터냄새가 펄펄 풍겨야 합니다. 외국어란 홈그라운드(우리나라)가 아닌 현지에서 잘 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질감이 들더라도 외국어 상태 그대로 발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영어발음을 우리말로 아무리 정확히 표기하더라도 결국은 '우리말 발음'의 틀에 끼워 맞추는 것이므로 의미가 없습니다. 외국어 발음을 학습함에 있어 '말을 따라한다'라기 보다는 우리말 발음 체계를 잠시 잊고 마음을 비운 채 '새소리나 파도소리를 흉내낸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문법보다 발음이 더 중요한 이유
'영어정복'이라는 전투에서 최후의 점령 목표는 '발음'...

미국에서 수 십년간 거주하며 영어를 지도해 온 분들은 영어의 대부분이 발음과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어정복에 있어 끝까지 문제가 되는 것이 발음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즉 외국인들도 미국에서 30년 이상을 살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에 있어 현지인과 비슷한 실력이 될 수 있으나 발음만은 끝까지 애를 먹이는데 이는 이미 굳어진 발음체계가 무의식적으로 모든 영어단어를 우리말에 존재하는 발음으로 변환시키려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문법적으로 거의 완벽한 문장을 구사하는 이민자들 중 적지 않은 수가 출신 국가별로 독특한 사투리를 섞어 발음함으로써 듣는 사람을 피곤하게 하는 실정입니다. 특히 자기 딴에는 유창한 영어를 구사한답시고 빠르게 말하는 경우, 더욱 알아듣기가 어렵게 되고 심지어는 다른 사람들이 대화를 기피하는 일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한국인들의 영어학습 코스를 보면 읽기-듣기-말하기-쓰기의 순서로 완벽에 가까워지며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경우라도 콩글리쉬를 탈피하고 감칠 맛 나는 현지 표현을 사용하게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을 추가로 요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거쳐 미국 유수의 신문사에서 편집진으로 일할 정도가 되더라도 발음만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교포 2, 3세의 경우에도 우리말을 할 줄 아는 사람들의 발음은 미국인의 발음과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어색함은 우리나라 해외방송 아나운서들의 발음을 들어보면 금방 느낄 수 있습니다.

오디오 앰프의 경우에도 음질이 앰프 자체보다 스피커의 성능에 더 좌우되듯 외국어를 구사할 때에도 스피커의 역할을 하는 발음의 중요성은 정확한 문장의 구사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일부 어학 교재들이 발음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영어 초보자들이 학습을 시작하기도 전부터 발음에 대해 필요이상의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한 배려이므로 결코 안심하지 말고 항상 발음의 중요성을 명심하여 철저히 연습해야 할 것입니다. '영어 정복'이라는 전투에 있어서 최후에 점령해야 할 고지가 바로 '발음'이며 발음을 제대로 하지 않고서는 아무리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더라도 영어의 절반 이상 정복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억양을 거침없이, 묵음은 주의깊게
- 어설프게 혀를 굴리기보다는 정확한 콩클리쉬 발음이 더 나을 수도...

한국인들의 영어 발음시 문제점은 상기에 언급한 억양이 없다는 것(이 경우 묵음이 아예 없음), 묵음을 너무 심하게 하는 것, 그리고 혀를 잘 못 굴리는 것 등 다양합니다.

우리가 억양을 무시하기 쉽다는 점(특히 책을 통해 공부한 독학파의 경우 모든 스펠링을 공평하게 발음함)은 이미 언급한 바 있는데 듣기, 말하기 공부를 하는 분들 중에는 들리는 그대로 발음을 함으로써 실제로는 발음이 되어야 하는 부분까지 생략해 버리거나 잘못 혀를 굴리다 보니 상대방이 이해하는 비율이 콩글리쉬보다도 떨어지는 수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 귀에 안들린다고 멋대로 생략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예를 들어 'probably'를 '프롸블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는데 - 아칸소를 비롯한 일부 지방 출신의 사투리가 아닌 한 - 잘 들어보면 '프롸-버블리'가 다 들립니다. 다만 '버'라는 발음이 매우 약하게 발음되므로 초보-중급자의 귀에는 제대로 들리지 않을 뿐입니다.

'obviously'의 경우에도 '아ㅂ-븨어슬리라고 발음되나 우리는 '아비어슬리'라고 'b'와 'v'를 합쳐 버리거나(과다한 생략) '오브비어슬리'(콩글리쉬)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b' 발음을 하는 둥 마는 둥 넘어가지만 대부분 완전히 생략하지는 않는다는 점입니다.

다행히도 'probably'와 'obviously' 등의 경우 '프롸-블리', '아-븨어슬리'로 발음해도 미국인들은 지장없이 이해합니다. 그러나 AFN 뉴스에서 'celebrity'가 '썰레-버리'로, 그리고 'statistics'가 '써티-스틱'처럼 들린다고 자신도 미국인 앞에서 '썰레버리'나 '써티스틱' 등으로 발음하면 상대방은 못 알아듣게 됩니다. 천천히 잘 들어보면 축약된 상태이긴 하나 '썰레브러리'('브러'가 '버'로 들림), '스터티스틱스'('스터'가 '써'로 들림)처럼 모든 발음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기 때문입니다.

영어학습을 하다보면 '인딕트멘트'(indictment)나 '유틸리티'(utility) 등과 같이 무억양의 콩글리쉬를 구사하던 초보자들이 AFN 등의 내용을 조금씩 알아듣게 되면서 자신의 귀에 들리는대로 '다잇먼'나 '틸러리'처럼 과도한 억양으로 발음하게 되므로서 '콩글리쉬보다도 이해도가 떨어지는 영어'로 전락하는 시기가 있으나 꾸준히 공부하면서 제자리를 찾게 됩니다.

다만 처음에는 AFN 등을 시청하며 발음을 습득할 때 사전에 표시된 발음을 참조하여 너무 축약된 형태로 잘못 익히지 않도록, 즉 과감한 높낮이로 억양을 구사하면서도 필요한 발음까지 무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지방에 따라 'often'을 '오웊튼'으로 발음하는 등, 우리가 묵음으로 알고 있는 스펠링을 발음해 주는 사람들도 있는데 따라 할 필요는 없습니다.
 

▶ 자신의 목소리를 스스로 모니터링 해 본다.
자신이 읽는 목소리로 청취 연습을 하며 발음향상을 꾀하는 피드백(Feed-back)훈련이란?

영어문장을 눈으로만 읽는 경우, 두뇌는 시각적으로 입력된 내용을 분석합니다. 물론 큰소리로 읽는 경우에도 정보처리는 주로 시각적인 해석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러한 메카니즘을 조금만 변형시켜 보면 발음의 향상을 전제로 한 말하기/듣기 동시훈련이 가능합니다.

즉 영어청취가 어느 정도 가능한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눈으로 들어온 정보를 머리 속에서 바로 해석해 버리지 말고(즉 의미의 분석을 잠시 유보한 채) 우선 입으로 우회(by-pass)시켜 발음만 하고 그 소리에 의해 청각적으로 입력된 정보를 사용, 의미를 분석해 보라는 것입니다.

물론 눈으로 들어온 정보의 의미를 애써 해석하지 않은 채 입으로만 발음한다는 것이 다소 부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인의 발음을 웬만큼 알아들을 수 있는 실력이라면 이러한 발음-청취 동시훈련이 자신의 목소리를 들으며 얼마나 알아들을 수 있는지, 또한 어느 부분이 어색한지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참고로 이러한 발음-청취의 동시훈련이 가능해지기 전에는 다소 번거롭고 두 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기는 하나 워크맨 등을 사용하여 녹음된 자신의 발음을 시간이 좀 지난 후 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임)

상기의 발음-청취 동시훈련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게 되면 읽거나 말하는 동시에 스스로 듣는 것이 자연스럽게 가능해질 뿐 아니라 시각 및 청각정보 분석 모드 사이를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발음상 자신의 약점이 드러나게 되므로 미국인처럼 발음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해 나감으로써 비교적 단시일 내에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연습은 글을 읽을 때 뿐 아니라 원고없이 영어로 말하는 경우도 적용할 수 있는데 자신이 말하거나 읽는 소리를 들으며 청취 및 발음향상 훈련을 한다는 것이 언뜻 이해가 가지 않을 수 있으나 스스로 말한 내용을 마치 다른 사람이 얘기한 것인 양 조금만 더 유심히 들어보려 노력하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종의 '피드백(feed-back)'훈련으로서 자신의 발음과 말투를 스스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며 보다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부단히 변신해 가는 것입니다.
 

● 듣거나 말할 때 적용되는 기본 규칙들을 숙지한다.

항상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영어발음에도 대략 통용되는 규칙이 있습니다. 'AFN 학습법' 항목 중 '▶ 기본 발음규칙'에 게재한 내용들은 미국인의 발음에 공통적인 내용 중 몇 가지를 예(例)로 든 것으로서 지방에 따른 차이나 예외도 있으나 듣기와 말하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 내용을 참고로 하여 실제 미국인들의 발음을 들으며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www.afn.co.kr/archives/tips/tip9.htm

말하기, 쓰기실력 증진방법
-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
 
읽기나 듣기의 경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비교적 단시일 내에 눈에 띄는 실력향상을 이룰 수 있으나 자신의 생각을 말이나 글로 조리있게 표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또한 대부분 읽기-듣기-말하기-쓰기의 순서로 부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는 외국어 교육의 현실을 감안할 때 대부분의 영어시험 고득점자들조차도 말하기와 쓰기 때문에 고생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방법과 영어의 마지막 관문이라 할 수 있는 작문 등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 꾸준히 연습하다 보면 의외로 빠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독해와 청취 이상으로 시간을 투자하라.

'꾸준히 연습하라'는 것은 어떻게 보면 미련할 정도로 당연한 말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학 학습자에게 있어서 '읽기'와 '듣기'에 비해 '말하기'와 쓰기' 실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학습의 난이도 자체를 떠나 말하고 쓰는 공부를 게을리 한데도 기인합니다.

우리 주변에는 읽고 들을 기회가 말하고 쓸 기회보다 훨씬 많은데다 말하기와 쓰기는 학습 자체도 힘들고 귀찮다보니 은연중에 회피하게 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즉 카세트 테입이나 AFN만 켜 놓아도 청취연습이 되고 사전을 찾아가며 영어 원서의 의미를 대충 파악할 수 있지만 말하기 및 쓰기의 경우에는 이보다 훨씬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하지 않으면 눈에 띄는 실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인생에 있어 외국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대부분의 학습자들의 경우, 읽고 듣는데 투자할 시간도 모자라는 형편이고 영어를 잘 한다는 분들(=각종 영어시험 고득점자)도 득점에 유리한 읽기, 듣기만 골라 편식을 하다보니 여간 고수가 아닌 한 말하기, 쓰기는 회피하게 되어 결국 반벙어리 수준에서 제자리 걸음을 하게 됩니다.

원어민의 경우, 고차원적(울음, 손짓, 몸짓 수준 이상의)인 요구나 기분을 표현하기 위해 부모의 얘기를 흉내내며 조금씩 말을 배워갑니다. 물론 처음에는 '엄마', '물' 등과 같은 단어의 나열에 불과하고 문법적으로도 엉터리지만 부모나 선생님이 올바르게 수정해 준 표현을 흉내내며 반복하는 과정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단어의 쓰임새와 나열 규칙(=문법)등을 습득('영어의 엔진'을 구축)하며 대여섯 살만 되도 상당한 수준의 언어를 구사하게 되는 것입니다.

'유아들에겐 언어를 습득하는 특별한 능력이 있고 이는 10세경에 사라지게 된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성인들의 핑계거리로 애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언어와 관련하여 성인과 유아 사이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차이를 무시한 채 모든 것을 '사라진 언어습득능력' 탓으로 돌릴 수는 없는 것입니다.

즉 성인들이 외국어 학습을 하는 경우, 이미 고속도로(=모국어)가 운행중임에도 불구하고 생소한 자갈밭(=외국어)으로 가는 것과 마찬가지인 바 이질감과 반발심이 생기는 것은 물론, 어학 이외에도 신경써야 할 일들이 많지만 이제 막 사고(思考)의 틀을 형성하기 시작한 유아들의 경우에는 아무 생각없는 순진무구함, 거리낌없는 욕망의 표현, 특유의 호기심과 모방력 등에 부모의 헌신적인 도움까지 맞물려 유일한 의사표현의 길(자갈밭)을 비교적 쉽사리 개척해 나간다고도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더욱이 외국어의 모든 요소(발음, 어순, 표현 등)가 모국어의 틀에 끼워 맞춰지며 학문적인 성격을 띄게 됨은 물론, 사고(思考) 과정에서 외국어 성분에 대한 무의식적인 텃세가 작용하는 어른들과는 달리 모국어가 머릿속에 충분히 자리잡고 있지 못한 아이들의 경우에는 보다 친근감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외국어를 대할 수 있는 이점도 무시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요컨대 유아들은 언어를 '수단'으로서 파도소리를 흉내 내듯 배우나 성인은 외국어를 '목적'으로서 일단 모국어화(母國語化) 시킨 후에야 받아들이는 데에도 언어습득 능력 차이의 상당부분을 설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연으로 돌아가 마음을 비우면 어떤 것으로도 채우기 쉽지만 인공적인 잡념과 배타성으로 가득찬 마음 속에 이질적인 요소가 자리잡기란 쉽지 않은 법입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성인의 경우에도 호기심과 흡수성(모방력), 그리고 암기력이 뛰어나고 체면에 얽매어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모국어의 틀에 구속되지 않을수록 외국어를 배우기 쉬운데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되어 언어습득 능력을 결정짓게 됩니다.

오히려 성인이 된 후에 외국어 학습을 하면서도 기억력이 증진되거나 머리가 맑아지는 등의 경험을 하며 '언어를 습득하는 특별한 능력'을 부러워하기 보다는 '하면 된다'는 신념이 더 중요함을 깨닫게 된다고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읽고 듣기만하는 반쪽짜리 영어, 수동적인 영어, 소극적인 영어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말하고 쓰기'에 의도적으로 시간을 할애하여 꾸준히 연습을 해야 할 것입니다.

또 한가지 명심해야 할 사실은 '시간을 때운다'는 안일한 생각으로는 발전이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학원 수업에 참여하더라도 다른 학생들의 대화만 듣지 말고 과감히 대화에 참여해야 합니다. 시간, 공간적인 제약이 있다면 간편한 '전화 회화' 코스 등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말하기' 초보 탈출법
'영어 엔진'을 만들어 시동을 걸자!

'듣기'는 웬만큼 되나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바로 튀어나오지 않아 고생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즉 상당한 수준의 듣기, 읽기 실력을 자랑하면서도 정작 영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기본 문장들을 정리하여 암기함으로써 '말하기'의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국제 전화 한 통화를 제대로 못하고 FAX로 만족스러울 만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초보자의 경우 말하기와 쓰기를 훈련하기 위해서는 흉내낼 만한 재료와 적극적으로 실행하려는 의지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수동적으로도 학습이 가능한 읽기와 듣기와는 달리 말하기, 쓰기는 자신이 손수해 보지 않으면 실력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우선 문형별로 간단한 문장들을 모아서 완전히 암기가 될 때까지 꾸준히 반복합니다. 처음에는 한 두 단어로 이루어진 간단한 표현들로 시작하는 것이 좋고 한꺼번에 너무 많이 암기하면 곧 망각하게 되므로 하루에 3~5개씩 꾸준히 암기해 나간다면 점점 영어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됨을 발견할 것입니다.

수백개의 기본 문장들만 확실히 암기하고 있다면 일상적인 의사소통에는 큰 지장이 없게 됩니다. 이러한 기본 문형들로 출발하여 외국인이나 전문적인 교재 등의 도움을 받으며 실력을 쌓아 간다면 영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점점 쉬워지는 동시에 머지 않아 감칠 맛 나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단 누누이 강조하는 것처럼 생활영어 회화를 공부해 오듯 '암기를 위한 암기'로 끝나서는 별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일단 암기된 문형은 미국인과의 대화, 혹은 영어로 생각하는 연습 등 의식적인 반복 훈련을 거쳐야 비로소 자기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기 위해서는 하나의 문장이라도 의문문, 명령문, 도치문 등 여러 가지로 전환시켜 보는 동시에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다양한 문형들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도록 평소에 철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확실히 '듣기'와 '읽기' 보다는 '말하기'와 '쓰기'가 어렵습니다. 듣고 읽는 경우 단어의 뜻만 알면(머리속에 영한 사전만 있는 것으로 충분) 해석이 되지만 말하거나 쓰는 경우에는 단어 실력은 물론이고 올바른 단어를 선택하는 동시에 스스로 문장을 만들어야(머리속에 한영사전은 물론 용법/문형사전도 필요)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머릿속의 영한, 한영사전 및 용법/문형사전이 바로 '영어엔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영어엔진의 성능이 우수하면 영어를 잘 알아듣는 것은 물론 어떠한 우리말 표현이라도 즉각 영어로 변환해 줄 수 있으므로 성능(기통과 배기량 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항상 닦고 조이고 기름 쳐 유사시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 기본 문형연습과 생활영어(현지표현)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연습한다.
어떠한 표현이라도 바로 영어로 옮길 수 있도록 항상 영어로 생각하는 훈련을 철저히

기본 문형연습과 생활영어(현지표현) 습득은 상호 보완적 역할을 하는 요소로서 어느 한쪽이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즉 기본 문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생활영어만 암기하다보면 영작은 물론 대화시에도 금방 밑천이 바닥나 조금만 전문적인 주제가 나와도 혀짤배기가 되기 쉬우며 반대로 기본 문형연습은 충실한 반면 현지표현 습득에 게으른 경우에는 딱딱하고 틀에 박힌 영어를 구사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문형연습을 통해 문장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현지표현을 가미하여 생생한 느낌을 불어넣는다면 회화나 영작은 물론이고 문법까지 정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인사나 음식 주문, 자기소개 등과 같이 틀에 박히고 가벼운 표현을 할 수 있다고 만족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몇 가지 주제에 대해서는 비교적 유창하지만 조금만 다른 얘기를 꺼내도 난처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문형연습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상황별로 암기하는 식의 훈련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어떠한 사건이나 사물(예를 들어 자신의 취미나 어제 보았던 영화 내용)에 대해서도 유창한 영어로 서술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미국사람이 갑자기 ~에 대해 물어오면 어떻게 대답하지?'하는 식으로 주변의 사물이나 사건에 대해 끊임없이 영어로 기술해 보는 연습을 생활화해야 하며 의문이 생기거나 모르는 점은 나중에라도 한영사전 등을 통해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머리 속에서 영어로 설명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다보면 영작에 익숙해지는 것은 물론, 가끔 영어로 생각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놀라게 될 것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영어학습자들이 읽기/듣기 연습에 치우쳐 있는 것을 고려할 때 따로 시간을 내어 말하기 연습을 하기 곤란하다면 신문을 읽거나 방송을 들으며 문장을 따라 말해 보거나 혼잣말(영어)로 대화하듯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말하기/쓰기 연습이 병행될 수 있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 쉬운 말로 표현한다.

쉬운 말을 쓰면 위신이 떨어지는 것도 아닌데 굳이 어려운 단어를 고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을 하건 글을 쓰건 궁극의 목표는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100% 이해시키는 것을 명심하고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문장을 구사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물론 초보자 시절에 한영사전을 놓고 1:1 단어변환식으로 영작하다보면 의미가 분명한(것 처럼 느껴지는) 한 개로 된 단어를 선호하게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전치사 등과 이리저리 얽혀가며 무수한 의미를 만들어내는 숙어 표현은 이미 기본 단어의 용법이 생활화된 원어민에게는 대단히 편리한 반면, 우리들에게는 더 혼란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 단어짜리 단어를 많이 사용하다보면 한국식 영어(콩글리쉬)가 될 가능성이 높아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예를 들면 '먹어 보자'하면 될 것을 '섭취를 시도하자'라는 어려운 문자로 표현해봐야 고상하다고 칭찬받기는커녕 웃음만 사게 되는 것입니다.

같은 말을 하더라도 미국인이 사용하는 쉬운 표현을 사용해야 비로소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본동사를 포함한 2어동사, 전명구(전치사+명사로 이루어진 구) 등 가급적 쉬운 말을 쓰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또한 AFN을 시청할 때에도 미국인들이 대화를 나누는 것을 유심히 관찰하며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간단하면서도 생생한 표현들을 습득하도록 노력합니다.

특히 정보의 홍수 속에 모든 것이 바삐 돌아가는 요즘에는 난해하고 장황한 표현의 남용으로 인해 상대방을 피곤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절제 속의 풍요로움'을 명심하며 간결하나 유창한 표현을 구사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다만 '쉬운 말로 표현한다'는 것이 구어체와 문어체를 혼동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말할 때와 쓸 때의 표현을 적절히 구분하는 것은 쉬운 말로 표현하는 능력 이상으로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 쉬운 말로 돌려서 표현한다.
적절한 표현이 떠오르지 않을 경우, 기초적 표현만을 써서 의미를 통하게 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은 예상 외로 많지 않으며 복잡하고 어려운 문장의 경우에도 대부분 대응되는 영어 관용구가 있어 한 덩어리로 변환이 가능하므로 어느 정도의 실력이 되면 단어 수준으로 영작하는 것보다 오히려 쉬울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어, 숙어의 데이터 베이스가 머리 속에 구축되기 전에는 쉬운 표현이라도 정확히 어떻게 말해야 할지 고민스럽거나 심지어는 적절한 영어 표현이 전혀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기본단어로 이루어진 우회적 표현을 사용하여 일단 의미를 통하게 하도록 합니다.

예를들어 '너 핸드폰 어쨌니?'에 대한 대답으로 '엄마한테 뺏겼어'라고 말하고 싶은데 '빼앗다, 압수하다' 등의 표현이 생각나지 않는 경우, 우선 '응 지금 엄마가 갖고 계셔'하고 임시변통을 한 다음, '실은 전화요금이 10만원이나 나왔거든. 그래서 엄마가 화났어'라 부연한다면 상대 미국인은 엄마가 '갖고 있다'는 의미를 과다하게 통화한 벌칙으로 압수해 '보관 중'이라는 의미로 알아듣고 '너 뺐겼구나' 하며 씩 웃을 것입니다.

이렇듯 가급적 기초적인 표현으로 어떤 사물이나 사건을 설명하는 좋은 예(例)가 사전이며 이러한 '형용'에 능한 사람은 현재의 외국어 실력에 관계없이 우수한 어학적 재능을 타고 난 것입니다.
 

● 의식적으로라도 어법을 확인한다.

유창하게 말하고 쓰려면 문법 및 어법 실력이 필수적이며 문법을 잘 안다는 것은 한마디로 '미국 사람이 쓰는대로 단어를 골라 나열할 줄 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문법서적은 가능한 한 빨리 훑고 나서(1단계) 각각의 문법사항에 대한 활용례(活用例)를 실제 대화나 문장 을 통해 깨달은 후 (2단계) 나아가서는 자신이 자유롭게 활용(3단계)하는 동시에 나름대로 문법적 체계를 세우는 수준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문법공부를 했다'는 말이 겨우 1단계를 거쳤음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실제로 활용하는 수준과는 거리가 멀고 '점수는 높은데 영어를 못한다'는 아이러니에 빠지는 것입니다.

책만 파며 공부해 온 '나홀로 파'의 경우, 준비도 안 된 채 무작정 뜨고 보자는 '현지파'에 뒤지지 않을 만큼 문제가 많으므로 실제의 문장이나 대화를 통해 의식적으로 단어의 올바른 용법을 관찰 및 생활화함으로써 취약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영어 학습자들에게 독학은 반드시 필요하며 학습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나 이렇게 습득한 단편적인 지식들을 실전 훈련(미국인 회화 등)을 통해 자기 것으로 만들고 어색한 부분을 끊임없이 수정, 보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원어민과의 대화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 말만 잘하는 미국의 거치처럼 되는 것은 의미가 없어...

몇 년간 미국사람과 대화를 나누면 저절로 영어가 정복되는 것으로 막연히 생각하는 분들도 많으나 원어민이라도 도움을 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회화가 마치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오해하면 안 될 것입니다.

어학학습의 최종목표가 자유로운 의사소통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그러나 말만 잘 하는 미국의 거지처럼 되지 않기 위해 고급 영문해석이 가능해야 함은 물론, 고품격의 영작도 깔끔하게 해 치워야 하는 바, 보다 세련되게 말하는 연습을 해야 하는 것은 물론, 명문(名文)을 무수히 읽고 직접 써 봐야 하는 것입니다. 특히 글을 제대로 쓴다는 것은 무척이나 어려운 일입니다. 우리말의 경우에도 말을 잘 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작가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글 쓰는데 자신있는 사람은 드뭅니다.

말은 우선 글 자체가 짧고 단문 위주이므로 틀릴 부분이 많지 않은데다 본래 더듬거나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도 많으므로 대충 말하더라도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게다가 듣는 순간 순간이 중요하므로 내용 전체를 검토해야 드러날 수 있는 오류들에 덜 예민한 것이 사실입니다. 반면에 작문의 경우에는 글이 길어지므로 단어들을 문법적, 논리적으로 올바르게 나열하기도 힘들 뿐 아니라 기승전결의 구성이 빤히 드러나고 스펠링을 포함한 문장 전체가 한 눈에 들어오므로 조금이라도 틀리면 상당히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에 관한 이야기를 잘 하려면 국내에서 발행되는 영자신문이나 홍보책자 등을 참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림세력', '영호남'과 같은 고유명칭, 혹은 그에 준하는 용어를 갑자기 영어로 옮기려면 상당한 실력자라도 곤란한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www.afn.co.kr/archives/tips/tip8.htm


청취력 증진방법
-'듣기'가 가장 쉬웠어요.
 
● 믿음과 확신을 갖고 합리적인 청취계획을 세워 꾸준히 실천한다.


'듣기'는 꾸준한 청취훈련을 통해 누구든 비교적 단시간 내에 실력 향상을 거둘 수 있는 분야입니다. 즉 자신의 생각을 어법에 맞도록 조리있게 표현해야 하는 '말하기'나 '쓰기'에 비해 '듣기'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반복 학습(AFN의 청취 등)만으로도 상당한 실력향상을 거둘 수가 있으므로 초보자들도 비교적 부담없이 도전해 볼 만한 것입니다.

'말하기'나 '쓰기'의 경우에는 우선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여러 단어(물론 이들 단어를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중 올바른 단어를 찾아내야 하고, 이렇게 선정된 단어들을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해야 하는 '창조'의 과정인 반면 '듣기'는 발음 식별이 된다는 가정하에 단어의 의미만 안다면 대충이나마 알아 들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훨씬 험난한 과정들이 기다리고 있는 영어 학습이라는 산(山)에서 '듣기'라는 완경사에 겁을 먹는다는 것은 본격적인 등산로에 진입하기도 전에 포기해 버린다는 의미가 됩니다. 처음 AFN을 시청할 때는 전혀 알아듣지 못하더라도 쉬운 프로그램부터 꾸준히 보면 머지 않아 한 단어씩 들리게 되며 그때부터는 실력의 향상에 가속도가 붙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비교적 쉽다는 '듣기'라도 몇 개월 공부로는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간혹 영어교재 회사로부터 며칠만에 귀가 뚫린다는 감언이설을 믿고 성급한 기대 속에 공부하다가 이내 싫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으나 최소 2~3 개월은 아무 것도 들리지 않을 각오를 하고 AFN이나 다른 교재를 학습해야 합니다.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내용을 몇 달 간이나 들어야 하는 것은 상당히 괴로운 일이나 누구나 언제라도 한 번은 거쳐야 하는 과정이므로 최선을 다해 시청하도록 합니다.

장기전인 어학 학습의 경우, 벼락치기식의 공부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설령 며칠 밤을 새워 공부한 덕에 영어시험 점수가 높게 나왔다고 하더라도 이는 '태평양에 물 한컵 붓기'로서 실제 미국인과의 의사소통에서 도움이 되는 것은 실로 미미하며 오히려 쉬엄쉬엄 매일 한두시간씩 꾸준히 공부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더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AFN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본 웹사이트에 게재되는 '일일 및 주간 방송편성표' 등을 이용하여 직접 시청할 프로그램과 녹화가 필요한 심야 프로그램 등을 구분하여 귀가 후와 주말 등을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당할 것인지 숙고해야 합니다.

또한 상황이 열악하다고 포기한다면 끝끝내 영어공부는 불가능하므로 주변 여건만을 탓하지 말고 주어진 현실 속에서 가능한 방법을 찾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 잘 듣고 싶다면 우선 많이 읽어라.
읽을 수 없는 내용은 들을 수도 없어...

글로 써 주면 아는데 단지 미국식 발음을 못 알아 들어서 청취가 안 된다고 자위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그러나 캡션으로 공부해 보시면 알 수 있듯 어학 학습자의 대부분은 내용을 써 줘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충분한 단어실력도, 문형연습도 되 있지 않은 상태로서 한마디로 독해를 비롯한 영어의 기본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부지런히 단어와 독해공부를 하고 시사 상식을 넓히는 것이 청취력 향상을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남한사람이 북한 사투리를 듣고 모르는 단어도 대충 짐작하며 넘어갈 수 있고 미국인이 영국 영어를 들어도 거의 의미를 파악하듯 기초가 튼튼하다면 발음 식별에는 무리가 없으나 독해력을 비롯한 영어의 기본실력을 증진시키는 데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꾸준히 공부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 '듣기'가 '읽기'보다 쉽다?

동일한 사건을 보도하는 경우, TV나 라디오 등의 방송뉴스 내용은 신문기사에 비해 훨씬 쉽습니다. 즉 단어 하나하나를 직접 확인하면서 읽을 수 있는 신문 기사와는 달리 한 번 듣고 이해해야 하는 방송뉴스에는 평이한 단어들은 물론, 단순하고 짧은 문장들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신문을 읽으며 다른 일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나 방송 시청/청취와 동시에 독서, 화장, 설거지 등을 하는 경우는 흔하므로 보다 많은 시청자들을 부담없이 이해시킬 수 있도록 내용의 난이도를 낮추고 있는 것입니다.

문자매체인 신문, 잡지 등은 문장도 길거니와 문체도 난해하고 고수준의 단어가 사용되는 빈도도 높습니다. 특히 기사성 문장에 비해 수필이나 논설 등은 작가의 글 솜씨를 뽐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국인들에게도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 AFN 뉴스를 대부분 알아듣는 분들에게도 TIME이나 Newsweek지의 기사가 난해하게 느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상기의 내용들을 감안할 때 영자신문을 대충이나마 읽는 실력이라면 - 발음식별이 가능하다는 가정하에서 - TV 뉴스를 듣는 것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단 내용을 써 줘도 모를 정도의 초보 수준이라면 독해 및 어휘실력 보충이 듣기 연습 못지 않게 필수적일 것입니다.
 

● 연음 식별 등의 청취요령을 짚고 넘어가면 학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위에서 '듣기'란 비교적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반복훈련만으로도 비교적 단시간 내에 실력향상을 거둘 수 있다고 한 바 있으나 영어 듣기에 필요한 기본 상식들을 별도로 짚고 넘어가는 경우, 직접 시행착오를 거치며 깨달아 가는 것에 비해 훨씬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즉 조금씩 내용을 알아듣게 되어 학습에 흥미가 붙고부터는 무조건 청취하기보다 방송언어의 특성, 시사어휘, 연음 식별법 등, 듣기에 필요한 요령을 집중적으로 훑고 넘어감으로써 불필요한 노력을 많이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음법을 익히는데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 필요한 경우, 캡션이나 원고(Transcript) 등의 도움을 받는다.

특히 국내에서 나고 자란 영어학습자의 경우, 캡션이나 방송대본 등을 참조하는 것이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성장한 학습자들의 경우, AFN의 단어를 모두 알아듣는 것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므로 캡션 등으로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혼자서라도 AFN을 반복해서 청취하면 문형에는 익숙해질 수 있으나 자주 나오지 않으면서도 중요한 일상 단어의 경우, 그때그때 캡션 등으로 확인하고 넘어가지 못하면 언제나 다시 나올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내용은 아무 도움없이 청취하더라도 생소한 단어나 문형은 확인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캡션이나 원고에 얼마나 의존할 것인가'라는 명제와 관련, 무조건 처음부터 홀로서기만 강요하는 것은 아기에게 손도 붙잡아주지 않은 채 회초리만 가지고 '일어나서 걸으라!'고 명령하는 것과 다를 바 없으며 반면 너무 오랫동안 캡션이나 원고만 믿는 것은 초등학교 학생에게 불필요한 걸음마를 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비유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어느 정도의 걸음마는 필수적이나 그 도를 지나치면 불필요한 의존심을 키워주고 홀로서기에 방해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캡션 학습법에 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영어학습법-2' 메뉴 중 '학습장비'의 '▶ 캡션 관련 장비'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처음에는 문장이나 단락 단위로 대강의 의미만 파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단 최종 목표는 관사 하나까지도 분간할 수 있는 수준이라야...

처음부터 관사나 전치사 하나까지 정확히 알아듣고 넘어간다는 식으로 무리하다보면 학습자체에 싫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우선 발음에 유의하면서 핵심단어에만 신경을 써서 문장이나 단락 단위로 의미를 파악하도록 노력합니다. 받아쓰기 등의 특별한 연습 없이도 꾸준히 듣기만 하면 비교적 쉽게 이 수준에 오를 수 있습니다. 서서히 의미가 파악되기 시작하면 학습에 흥미가 생기면서 가속도가 붙게 되므로 여세를 몰아 문장의 의미만 파악하던 것에서부터 차차 구체적인 단어들까지, 문장이나 단락 단위로 이해하던 것을 전체 내용까지 짚고 넘어갈 수 있도록 본격적으로 연습합니다.

차츰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이 파악되면 단어 하나도 놓치지 않는 수준이 되도록 집중적인 훈련을 시작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나고 자란 경우 미국에서 수십년을 살더라도 완벽한 청취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데 이는 주로 문화적인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써 미국에서 성장하지 않다보니 아무리 오래 살더라도 생소한 어휘나 풍습이 계속 튀어 나오기 때문입니다.

또한 관사까지 정확히 받아 쓰려면 우선 자신이 관사 하나까지 정확한 수준으로 영작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말 청취를 하더라도 100%의 단어를 알아듣는다기 보다는 문맥을 통해 추측 및 재구성하는 문장이 있는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청취방법의 예(例)는 '영어학습법-2' 메뉴 중 '▶ AFN 학습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일부러 악조건을 만들어 학습해 본다.

듣기에 어느 정도 자신이 붙으면 간혹 일부러 음질이 떨어지는 AM 방송을 청취하기도 하고 미국인과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거나 녹음 테입을 빠른 속도로 재생해 듣는 등, 악조건으로 청취연습을 해 두는 것이 실제 상황에서 도움이 되는 수가 있습니다.

이는 일부러 모래 주머니를 메고 뛰는 연습을 해 두면 체력단련이 되어 모래 주머니를 벗고 실전에 임할 때 유감없이 실력을 발휘하며 질주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 듣기 공부에는 어떤 소스(Source)가 좋을까?

초보자 시절에는 동일한 내용이라도 영상의 여부, 음질과 녹음상태 등 '매체'에 따라 이해도가 큰 차이를 보이나 듣기 수준이 높아지면서 이해도는 주로 '주제'와 관련이 깊어집니다.(즉 단어와 문장을 알아들으면서도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 시기가 온다는 의미임)

듣기 공부를 할 수 있는 소스에는 실제로 미국인의 현장 강의를 듣는 것 이외에도 AFN, 비디오, CD-Rom, 혹은 카세트 등 각종 교재나 전화 등을 통한 방법 등이 있으며 학습자의 수준이나 성격에 따라 제각기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적합한 수준의 내용이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습니다.

단 초보자 시절에는 음질이 선명하고 영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딱딱하지 않은 주제를 다룬 교재가 좋습니다. 다만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교재란 없으므로 결국은 취향에 따라 스스로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대부분 학습자들의 경우 영상이 포함된 교재를 선호하는 반면, 시각정보에 의해 주의가 산만해지는 것을 원치 않아 음성 교재만을 이용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입니다.

AFN으로 학습하는 경우, 처음에는 길이가 짧고 부담이 없는 공지사항이나 뉴스, 흥미를 유지할 수 있는 싯컴(Sitcom; 시트콤)등으로 시작하는 편이 무난합니다. 특별히 '뉴스' 등의 보도물을 필요 이상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나 사실 잘 알지도 못하는 남의 나라 소식이 처음부터 재미있을 리 없으므로 각자의 개성에 따라 영어에 흥미를 돋구는 프로그램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욱이 보도물은 캡션(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영문자막)을 보며 학습하는 경우에도 실제 말하는 내용보다 글자가 늦게 나오므로 기대만큼의 효과를 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어느 경우든 충분한 기간동안 미국인과 함께 거주하는 등의 이상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따로 시간을 내어 듣기 공부를 해야 하므로 자신이 처한 상황과 성격 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찾아 공부하되 그 방법이 지닌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이해도(理解度)에 대하여

참고로 똑같은 사람이 말하는 경우, 표정을 보며 직접 듣는 것이 가장 이해가 잘 되고 TV에서 얼굴을 보며 듣는 것이 두 번째, 그리고 가장 이해하기 힘든 것이 전화나 무선교신(無線交信)처럼 목소리만 듣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의사소통에서 언어가 차지하는 비율은 일부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표정, 분위기, 공감대등의 바디 랭귀지이기 때문입니다.

TV는 얼굴과 입 모양이 화면으로 나오지만 바로 옆에서 얘기해 주는 만큼 실감 나지는 못하며 멀리 떨어져 관람하는 연극의 경우에도 이해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사실은 예능분야의 상식이므로 아나운서는 물론, 배우 등의 연예인들은 카메라, 혹은 마이크를 거치는 과정에서 의미 전달이 줄어드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특별히 발성 및 감정이입 연습을 하게 됩니다. 연극 등을 보면 캐쥬얼하게 얘기하는 것 같아도 발음과 발성면에서 일반인들과는 큰 차이가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국의 오디오 기술자들은 시청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명료한 음질을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 하고 있습니다.
 

● 단편적인 어휘력보다도 문화적 상식에 치중한다.

뉴스 등 시사물을 청취시 특히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항들의 예(例)를 다음과 같이 나열해 보았습니다.

- 미국 대통령 및 영부인
  과거, 현재 및 후보, 미래 후보감
- 각료(장, 차관 등)
- 상, 하원 의원
- 저명인사
  정부기관, 종교계, 연예계, 범죄자
- 전세계의 모든 나라들
  수도, 국기, 언어, 통화, 은행, 기타 특징
- 미국의 모든 주(州) 및 수도, 모든 중소 도시
  도시별 주요 지역, 기관, 병원, 교육기관, 유지들
- 산간지방, 정상, 바다, 강, 호수, 지방의 하천 등 지리적 정보
- 기상 관련 용어
- 신체 각 부분별 명칭(신체 내부장기 포함)
- 도량형
- 주요 문학, 음악, 미술작품 등
  유행가, 동요 등 포함
- 국제연합(UN)을 비롯한 세계의 지도자
- 국제 및 미국 내의 주요전쟁
  제1, 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중동전, 남북전쟁, 시민전쟁, 독립전쟁 등
- 국제적 연맹, 조직 및 기구명
- 연방 및 각 주의 최고재판소 판사명 및 주요 판결
- 군부 지도자, 합참의장, 주요 군사기지, 주요 무기명
- 국립공원들
- 단과/종합대학 및 팀 이름
- 모든 프로 스포츠 팀 및 별명, 선수 및 코치
- 스포츠 용어, 상(賞), 아마추어 및 프로 연맹
- 자동차의 종류 및 특징
- 주요 기업, 상표, 주식용어 및 무역기관
- 다양한 명도와 채도의 색상명
- 주요 동식물
- 음식
  주요한 음식의 명칭 및 그에 따르는 양념(소스)
- 미국 역사, 세계사
- 미국의 학제(學制)
- 주요 종교
  주요 종교별 경전, 성지, 건물, 기념일 및 행사
- 주요 경축일 및 이벤트
- 기본 화학약품
- 주요 의약품 및 제조원
  합법적, 불법적 양자
- 주요 성(姓) 및 이름
- 유행하는 전문용어
  철학 및 종교, 정치, 컴퓨터 용어
- 주요 이디엄
  영어 및 불어 등 영어화된 외래어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www.afn.co.kr/archives/tips/tip7.htm


독해력 증진방법
- 독해력은 어학의 기초체력
 
● 직독직해는 독해의 생명
영어의 우리말화(化)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모두의 적(敵)

초보자들은 영어, 특히 긴 문장을 읽으며 중간 중간 의미 단락별로 끊어서 슬래쉬(/)표시를 해 두고 한 단락씩 해석 후, 나중에 의미를 합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버릇이 들면 직독직해(直讀直解)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직독직해란 문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미 지나간 문장으로 다시 시선을 돌이키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읽는(=시선이 가는) 동시에 내용의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로서 영어를 잘 못하는 경우에도 해석을 느리게 할 망정, 이미 지나간 문장으로 시선을 돌이키지 않도록 의식적인 훈련이 필요한 것입니다.

물론 직독직해를 하다보면 영어의 어순이 우리말과 달라 'I love you'의 경우, '나는 사랑한다. 너를'과 같이 어색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통역이나 번역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나는) 그대를 사랑합니다'라는 식으로 어순을 재구성할 필요는 없습니다. 국내 출신의 영어학습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번역상의 기교보다 오히려 '나는 사랑한다. 너를'이라는 어순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때까지 많은 영문들을 읽는 훈련이 시급한 실정이기 때문입니다.

직독직해란 좁게는 영어식 어순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며 나아가서는 말하기, 쓰기 등 자신의 의사를 영어로 표현하기 위해 영어로 생각하는 버릇을 들이는 훈련입니다. 따라서 긴 문장만 보면 끊어 읽기 표시부터 한다거나 관계대명사니 목적어니 하면서 문장의 앞뒤로 왔다갔다 하며 우리말 어순에 맞춰 해석하는 암호해독식 독해는 영어학습에 있어서 첫 번째로 손꼽히는 금물입니다.

다양한 장르의 문장들을 섭렵하는 동시에 영어로 생각하는 훈련을 쌓다 보면 어느새 영문 구조에 친숙해져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 모르는 단어가 많은 경우에는 자주 나오는 단어만 사전을 찾아보고 나머지는 그냥 넘어간다.

미국에서 발행된 각종 신문잡지 및 단행본 등을 읽다 보면 특별히 어휘에 제한을 둔 아동용 서적이나 영어 교재를 제외하고는 상당한 실력자에게도 생소한 단어들이 의외로 자주 나옵니다. 더욱이 초보자의 경우에는 동화책을 읽는 경우에도 계속 사전을 찾아야 하다보니 이내 싫증을 느끼기 쉽습니다.

항상 강조되는 말이지만 영어 정복이란 단거리 경주가 아니라 끈기와 인내를 필요로 하는 마라톤에 비유할 수 있듯 지금 이 순간에 한 두 단어 더 챙기는 것 보다는 영어에 흥미를 유지하면서 내일도 모레도, 그리고 다음 주에도 꾸준히 학습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독해 교재는 자신의 수준에 알맞은 내용(어휘와 문장 등)이 좋으나 부족한 실력이나마 아동용, 혹은 학습용 교재보다는 리더스 다이제스트나 베스트 셀러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간행물로 학습하려는 분들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자사전을 이용하거나 번역본의 내용을 참조하는 등, 학습과정의 고통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전의 도움을 받는 경우에도 여러번 반복해서 나오는 단어만 찾는 등, 처음부터 100%의 이해를 바라지 말고 대략적인 의미를 파악해 나간다는 마음가짐으로 마지막 페이지까지 독파하는 것이 모르는 단어를 다 찾다가 몇 페이지 못 읽고 포기하는 것보다 현명한 것입니다. 더욱이 자신의 수준보다 훨씬 어려운 내용을 읽는 경우, 사전을 대충 찾으며 넘어간 경우나 모르는 단어를 다 찾고 넘어간 경우나 이해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어학과 같은 장기간의 학습이 필요한 경우에는 구간마다 어느 선에서 만족할 것인지, 어느 정도의 속도를 유지해야 무리없이 끝까지 오를 수 있을지 고려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나친 욕심으로 무리하다보면 탈진해서 포기하기 쉽고 운좋게 지나가는 트럭을 얻어 타고 산중턱까지 오른 사람들은 정상까지 이어지는 암벽을 타는데 필요한 기초체력도 등정 훈련도 부족한 것입니다.

반면에 산중턱까지 땀 흘리며 스스로 올라 온 사람들은 지금까지의 페이스를 유지하면서 꾸준히 노력해 나간다면 누구라도 정상에 오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본 웹사이트의 '학습자료 - II' 코너에 게재되는 '아름다운 이야기'들도 시사용어나 전문용어 등이 거의 없는 일상적인 주제를 다룬 것으로 읽기 교재로서 더 없이 적합한 내용들입니다.
 

▶ 숙어의 경우, 한 가지 뜻에만 너무 구애받지 않는다.

영어로 말하거나 작문을 하는 경우 쉬운 단어로 구성된 숙어를 애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독해나 청취시에 숙어, 혹은 숙어에 준하는 단어들의 조합이 나온 경우 하나의 의미에만 집착하다보면 의외로 함정에 빠지기 쉽습니다.

즉 해석이 잘 안되면 하나의 의미만 고집하지 말고 숙어를 이루는 각 요소의 기본적인 의미로 돌아가 보는 유연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본 웹 사이트에 게재된 아름다운 이야기 중 The Woman in the Kitchen을 읽다보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Yet I realized today, ten years after her death, what pioneer strength she had to transform a life that others would call ordinary into something wonderful for those of us blessed to call her daughter, sister, wife and mother.

상기 문장에서 파란색으로 표기된 'had to'를 보고 자동으로 '~해야 하다'로 받아들인다면 올바른 해석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즉 'had to'를 '~해야 하다'로 본다면 '그녀는 평범하다고 일컬어질 삶을 뭔가 대단한 것으로 바꿔야 했다.'라고 해석되면서 그 앞에 나오는 'what pioneer strength'라는 문장이 오갈 데 없게 되는데 원어민과는 달리 대부분의 숙어를 인위적으로 암기한 우리들은 이러한 오류를 범하기 쉽습니다.

what pioneer strength she had/ to transform a life that others would call ordinary into something wonderful...

그러나 위와 같이 'had'와 'to'를 쪼개어 'had'는 '가졌다'로, 'to'는 '~하기 위한', 혹은 '~하는' 등 본래의 의미로 생각해 보면 '평범하다고 일컬어질 삶을 뭔가 대단한 것으로 바꾸는데 그녀가 발휘했던 비범한 힘'으로 바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즉 상기의 예를 콩글리쉬 문법으로 쉽게 설명하자면 '잘못 끊어 읽은 것'이 됩니다.

직독직해라 해서 영어 단어가 나올 때마다 그 단어까지 포함해서 번역이 완료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상기의 글에 보면 빨간 색으로 표기된 'transform' 의 의미는 역시 빨간색으로 된 'into'와 그 뒤의 문장들이 나올 때 비로소 완전한 의미로 해석이 됨을 알 수 있으며 우리가 한글로 된 문장을 읽거나 미국인이 영어문장을 읽는 경우에도 역시 완전한 의미의 직독직해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원어민의 경우에도 현재 시선이 머무는 단어에 비해 의미 파악은 몇 단어 가량 늦은 것이 보통이며 특히 어순이 다른 외국어를 자기 나라말로 번역하기 위해서는 의미 형성의 유보기간이 더 필요합니다. 동시통역사들도 문형에 따라 몇 단어가량 통역을 보류하고 있다가 문장이 완료되거나 문형 및 어순상 나중에 의미의 추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비로소 입을 여는 것입니다.

언어는 살아 숨쉬는 것입니다. 영문 독해시 직독직해를 하면서도 단어들의 특정한 조합 등에 너무 얽매이지 않는 유연성이 필요합니다.
 

● 학습이 아닌 상식배양이라는 생각으로

아무리 재미있는 내용도 일단 학습이라고 생각하면 지겨워지는 것이 인지상정입니다.

따라서 전문적인 독해 교재는 최소한의 내용만 참조하고 실제 독해의 대부분은 신문잡지나 동화, 혹은 베스트셀러 등 일반적이면서도 흥미로운 것을 선택하도록 하며 공부한다는 마음보다는 '어차피 우리말로라도 읽을 내용을 원본으로 읽으며 영어공부까지 겸한다'는 느긋한 자세로 학습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국내에 번역판이 나와 있는 서적의 경우,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도 맞춰 갈 수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는데 대표적인 예를 들면 해리 포터(Harry Potter),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와 같은 베스트/스테디 셀러 등이 있고 실제로 많은 영어학습자들이 미국 서점가에서 인기있는 책들을 구해 읽으며 좋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현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점에는 베스트/스테디 셀러는 물론 영시(英詩)와 소설 등의 문학작품, 전기문, 리더스 다이제스트나 가이드 포스트 등의 교양지, 디즈니 동화를 위시한 아동물, 공포물 및 드릴러, 영한대역 성경, 그리고 유머집과 성인물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취향이라도 만족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서적들이 산재해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영한 대역을 읽거나 영문판과 한글판을 함께 구입한 경우, 해석이 도저히 안되는 부분만 조금씩 참조하는 것이 좋고 단락마다 먼저 영문으로 읽어본 후에 우리말 해석과 비교하며 제대로 파악했는가 확인해야 합니다. 초보자의 경우, 이렇게 한 단락씩 의미를 확인하고 넘어감으로써 엉뚱하게 비약해 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물론 원서의 경우, 번역판을 읽는 것보다 오래 걸리고 힘도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불편함이 나중에 다른 사람과의 차이를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친구들은 '지금 편한 것'을 선택했기 때문에 몇 년 후에도 번역된 책을 읽고 있을 것이나 본인은 몇 년 간 적지 않은 세금을 냈기 때문에 머지 않아 원어의 감동을 만끽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대부분의 학습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정독도 숙독도 아닌 다독(多讀)이므로 읽을 거리를 선택할 때 따분하거나 수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되도록 피하도록 하며 AFN 시청과 함께 시사잡지를 구독하는 등, 다양한 장르의 내용을 접하며 상식을 쌓아 두는 것이 좋습니다.

● 항상 자신이 강사라는 생각을 갖는다.

어떤 분야나 마찬가지이나 영어 역시 다른 사람들의 학습을 도와주면서 급격한 실력의 향상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가르친다는 것은 배움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즉 알고 있다고 막연히 생각해 왔던 내용들도 막상 남에게 설명하다보면 정리가 안 되거나 앞뒤가 틀리는 점이 발견될 뿐 아니라 아는 것과 모르는 것, 그리고 어중간하게 알고 있는 것이 명확해지므로 스스로 부족한 점을 찾아 보완하는 과정 속에서 혼자 공부하는 것에 비해 현격히 실력이 향상되는 것입니다.

영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동료들에게 도움을 주며 본인의 실력은 더욱 향상되므로 일석이조인 것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출처: http://www.afn.co.kr/archives/tips/tip5.htm


어휘력 증진방법
- 단어, 숙어 실력은 어학의 근본
 
● 기본 단어는 별도로 공부해 둔다.

원래 사전 자체를 암기하는 것은 노력에 비해 효과가 적으며 '죽은 영어를 배우는 지름길'이라는 말까지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 단어만을 대상으로 학습용 사전을 정리하고 넘어가는 것은 본격적인 실력향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어떤 분야든 초기에 필요 최소한의 암기는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일반 사전은 활자도 작고 휴대하기도 불편하며 중요 단어만을 선별하기도 곤란하므로 핵심 단어와 주요 용례가 망라된 수능사전(약 10,000단어 수록) 등을 구입하여 우선 순위(빨간 활자, 중요표시 등)별로 공부하면 됩니다.

이러한 학습용 사전들은 비단 어휘 뿐 아니라 주요 문법/어법사항부터 영작방법 및 문형정리에 이르기까지 초보자가 하루라도 빨리 따라 잡아야 할 기본 사항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첫 걸음을 내딛는데는 물론,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전 분야에 걸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새로운 어휘는 외국인과의 대화나 신문, 방송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우리나라에살면서 기본 단어들까지도 이러한 방법(회화 및 매스컴 등)만을 통해 암기하려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기본 단어를 모르는 상태에서라면 당연히 내용을 이해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 영어에 흥미를 잃기 쉬울 뿐 아니라 극히 중요한 단어라도 의외로 오랜 기간동안 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을 감안할 때 소위 '독학생의 비애'(어떤 분야는 상당한 수준인 듯 하면서도 기본이 안 잡힌 부분이 곳곳에서 드러남)에 직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인 어휘는 사전 등을 통해 따로 정리하고 넘어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입니다.

다만 '어휘를 정리한다'는 것이 '완전히 암기하고 넘어간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신문, 방송을 보다가 '이 단어는 사전에 있었는데...'하는 기억만 나면 절반은 성공한 셈입니다. 암기 후 망각해버린 단어일지라도 실제상황에서 접하는 경우 한번 더 사전을 찾아보는 것으로 암기의 사이클이 종료되며 반영구적으로 기억에 남게 됩니다. 따라서 사전을 통해 임시로 암기해 둔 단어를 실제 생활에서 가능한 한 많이 접하는 것이 관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 번 본 단어는 형광펜 등으로 표시해 두면 나중에 눈에 잘 띄게 됩니다. 형광펜으로 표시가 되어 있음에도 기억이 나지 않는 단어를 발견하면 다시 외우려고 의식적인 노력을 하게 되므로 효과가 향상됩니다. 형광펜도 한 가지 색상만 사용하면 나중에는 사전의 거의 모든 단어가 같은 색으로 표시되어 집중 효과가 감소하므로 여러 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암기 시기별 등으로 구분이 가도록 하면 좋습니다.

이러한 기본 단어는 빨리 정리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편이 좋지만 초보자의 경우에는 상당한 학습기간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너무 초조해 하지 말고 끈기있게 공부하도록 합니다.

참고로 어휘력 배양은 TOEIC을 위시한 각종 시험에서 가장 손쉽게 점수를 올릴 수 있는 비결입니다. 단어문제의 경우, 꼼꼼한 분석과 다양한 어학 지식의 복합적 응용을 요하는 문법 및 독해문제와는 달리 그 의미만 알면 바로 맞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기억에 남도록 의식적으로 활용한다.

어학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무엇을 외우든 '암기를 위한 암기'로 끝나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기계적인 암기란 부자연스러운 방법으로서 '외국어 습득'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기본적인 사항을 빨리 훑고 넘어가기 위해 최소한의 사항만을 외워두자는 것입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 '단어의 뜻을 기억했다는 것'과 '단어가 자기 것이 된 것'을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단어를 자기 것으로 만들었다'는 뜻은 그 단어의 의미를 이해한 것은 물론, 스스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암기와 독학만으로 언어를 정복할 수 있다는 생각은 가봉한 옷을 입고 돌아다니며 자랑하는 것과 같아 콩글리쉬를 면할 수 없음은 물론 남들의 웃음만 사게 됩니다.

암기란 단어, 문형, 문법을 막론하고 중요한 단편적 지식들을 임시로 외워 두는 작업에 불과합니다. 실제의 공부는 이렇듯 일시적으로 기억해 둔 단편지식들을 미국인들과의 대화나 신문, 방송 등을 통해 유기적으로 엮어가며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인 것입니다.

특히 어휘 습득의 궁극적인 목적은 어떤 단어가 나왔을 때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 특히 동사 - 용법에 거의 구애받지 않고 암기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명사와는 달리 - 의 경우 문법, 어법에 맞도록 사용할 수 있어야 함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단순히 단어의 의미만을 암기하나 차츰 예문 등을 주의깊게 관찰하며 대략적이나마 그 용법을 익히고 그 후에는 해당 단어를 실제로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암기 자체보다도 실제 상황에서 그 단어에 접하는 경험이 중요한 과정이므로 외운 단어를 활용하여 문장을 만들어 본다거나 미국인과의 대화에서 그 용법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을 찾아 공부한다.

미국인들에게 한국인의 영어에서 어떤 부분이 가장 부족한지 물으면 발음과 말투가 어색하고 문법이 약하다는 대답도 많지만 어휘가 딸린다는 납득하기 어려운 지적도 의외로 흔히 받게 됩니다.

어휘가 딸린다는 것은 우리가 쉬운 단어만 알고 있어 고차원적인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거나 어휘수 자체가 부족하다는 뜻이 아니고 쓸데없이 어려운 단어는 많이 알고 있으면서도 현지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기본 단어들에 취약하다는 의미입니다.

Shredder(문서세단기), Carousel(공항의 화물 운반용 원형 컨베이어 등), Sequel(영화 등의 속편), Outlet(전원 컨센트), Commissary(매점), Pogo Stick(스카이 콩콩), K-12(유치원~고3), SUV(RV;레저카), Urinal(소변기), Manger(말구유), Meadow(초원) 등 미국 내에서 흔히 통용되는 단어나 표현 중 상당 부분은 국내에서 접할 기회가 의외로 적은데다 사전 등에서도 그다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어 영어를 잘 하시는 분들도 현지에서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Vocabulary 33,000' 등에 나오는 어려운 단어를 암기하면서도 'Bobby pin' 이나 'Sneaker' 같은 기본 어휘의 의미를 모른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렇듯 기초 공사도 없이 건물의 높이에만 집착하다보니 '영어의 귀재(鬼才)'라 칭송받는 사람들이 디즈니 만화 하나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치부를 드러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본 단어 암기와 더불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품들, 일상생활에 관한 표현들에 항상 궁금증을 갖고 탐구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다행히 요즘은 국내의 어학 학습자들이 취약하기 쉬운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나와 있으므로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단편적인 어휘력보다도 문화적 상식에 치중한다.

초기의 어학학습은 문법, 독해 등 '어학을 위한 어학'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력이 늘면서 문화적 상식과 소양이 점점 중요한 요소로 부각됩니다.

초보자 시절에 말 자체를 알아듣지 못하여 이해가 불가능한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청취나 독해실력이 향상된 후 문장의 의미는 알면서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즉 한 단어도 빠짐없이 받아쓰면서도 무슨 뜻인지 이해를 못한다면) 심각할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국제 결혼한 한국 여성 등의 경험담을 들어보면 남편 친구의 부인들과 담화를 나눌 때 청취는 되지만 이해가 안 가는 말이 많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그네들로서는 매우 중요한 senior prom 등에 관한 추억을 얘기할 때 재미있는 것 같기는 하나 왠지 와 닿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세상을 살아 온 과정이나 정서가 다른데서 야기되는 당연한 문제겠지만 공통의 화제범위가 좁아지고 주눅이 드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단어 뿐 아니라 문화에 주안점을 두고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화적 상식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나 결국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 까지 배우는 내용들이 아닐까 합니다. 특히 국가를 초월한 공통 상식이 있는 반면, 한 나라에서의 상식이 다른 나라에서는 전혀 통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단편적인 어휘력 향상에 머물지 말고 해당 국가의 문화적 상식까지 배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발음은 미식(美式), 영식(英式) 중 하나를 택하여 통일한다.

아직도 극장에 가 보면 '미션 임파서블 2, 톰 크루즈 주연'이라고 영/미발음이 혼재되어 있는데 이는 우리네 발음의 현주소를 극명(克明)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즉 '오퍼레이션' 등 예전부터 외래어로 사용되었거나 유럽, 일본 등지를 통해 유입된 단어는 영국식이 많고 '닷 컴(dot com)' 등 컴퓨터 분야를 비롯한 최근의 용어들은 미국식으로 표기되는 경향이 있다보니 같은 사람의 입에서도 똑같은 'body'가 '보디가드'와 '바디랭귀지'로, 그리고 'pop'이 '뽀빠이'(pop eye)와 '팝콘'으로 발음되는 촌극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더욱이 요즘은 위와 같은 만국식(萬國式) 발음에 콩글리쉬까지 가세하여 외국어 표기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는데 비근한 예로 비버리힐즈(베벌리힐즈), 킴 베씬저(킴 베씡어), 캐빈 코스트너(캐빈 카스너), 패트리어트(페이츄뤼엍), 텔레토비, 해리포터, 돈가스, 그리고 콩글리쉬의 대명사인 핸드폰과 그 약자인 H.P.(명함 등에 사용됨), 레포트(report)등을 들 수 있습니다.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현지인들처럼 구사하려는 경우, 가장 어려운 것 중의 하나가 발음으로서 미국에서 수십년 이상을 살아 거의 완벽한 영어를 구사하는 경우에도 한국식 발음이 그대로 남아있는 수가 많은데 이는 이미 굳어진 발음체계가 무의식적으로 모든 영어단어를 우리말에 존재하는 발음으로 변환시키려 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익숙해진 발음이나 말투를 나중에 고치는 것은 시간적으로도 낭비이거니와 무척 어려운 작업이므로 어느 나라식 영어를 구사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하고 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발음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용은 '영어학습법-1' 메뉴 중 '▶ 발음 교정방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